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 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3개의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만 3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936198
김해 :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24. 2
2024
한국어
경상남도
; 26 cm
지도교수: 황인옥
I804:48032-20000074709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 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3개의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만 3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 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3개의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만 30세 이상의 성인학습자이고, 설문 조사는 대상자들이 다니고 있는 부산지역 대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포한 후 취합한 것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총 311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자료 18부를 제외한 293부가 최 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 평균은 3.79점으로 나타났고, 사회적지지의 평균은 4.11점, 대학생활적응의 평균은 3.9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수업참여도,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업참여도의 하위요인인 수업준비하기와 대학 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사회체험(p>.05)을 제외한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p<.05, p<.01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 다. 셋째, 수업참여도 전체(p<.001)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참여도 하위요인 중 수업활동하기 (p<.01), 의사표현하기(p<.001), 수업확장하기(p<.01), 수업열정 (p<.001)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업준비하기는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다. 넷째, 사회적지지 전체(p<.001)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하위요인 중 친구지지(p<.01), 특 별한 사람 지지(p<.001)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 가족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참여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성인학습자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역량 향상과 더불어 대학의 학습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학습동기부여과 성인학습자 융합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그 리고 성인학습자 스스로도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자신의 대학 생활을 기록해보는 슬기로운 성인학습자 되기 대학생활 기록 프로 젝트를 통해 자기반성적 학습을 유도하고, 성인학습자들을 대학생활 의 새로운 도전기에 적극 참여하고자 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지지를 높일 필요가 있다. 성인학습자가 여유와 쉼을 얻고, 스스로 마인드 컨트롤 할 수 있는 내면의 힘을 가지게 해주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마인드셋 교육과 일반학생, 선배, 후배 협동수업으로 멘토링 프로그 램을 운용하여 성인학습자에게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서로 공유하 고 멘토링을 함께 한 사람들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함으로써 여러 학생들과도 소통하며 대인관계를 증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야 한다. 또한 학생지원센터에서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프로 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성인학습자의 마음 건강 챙김은 물론 수업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