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中外合作 교육프로그램 工學전공 學習者 대상 專攻深化韓國語 교육과정 改善 方案 연구 = Improvement Plan of the Major Int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Engineering Learners in Chinese-Foreign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blems of the major int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fered for engineering learners in the Chinese-foreign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s and explores improvement. As of January 2023, there are a total of 206 such education programs with Korea, among them, engineering programs have the largest share at 41%. Nevertheless, there are few studies on engineering learners in such program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such group of learners with specific academic purposes were selected as a research target and I focus on the relevant major int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identify a direction to improve the current curriculum, the architecture major 3+2 program by Chengdu University and Yeungnam University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cturers and students of the Major Intensive Korean course. As a result, this curriculum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for specialized lectures given by professors from Korean universities, with improvements in four aspects of the curriculum provision, syllabus, faculty, and evaluation. After assessing the needs of the lecturers and students, the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and the feasibility confirmed through an interview with the teaching managers.
      번역하기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blems of the major int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fered for engineering learners in the Chinese-foreign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s and explores improvement. As of January 2023, there are a total of 206 such edu...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blems of the major int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fered for engineering learners in the Chinese-foreign cooperative education programs and explores improvement. As of January 2023, there are a total of 206 such education programs with Korea, among them, engineering programs have the largest share at 41%. Nevertheless, there are few studies on engineering learners in such program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such group of learners with specific academic purposes were selected as a research target and I focus on the relevant major int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identify a direction to improve the current curriculum, the architecture major 3+2 program by Chengdu University and Yeungnam University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cturers and students of the Major Intensive Korean course. As a result, this curriculum should be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for specialized lectures given by professors from Korean universities, with improvements in four aspects of the curriculum provision, syllabus, faculty, and evaluation. After assessing the needs of the lecturers and students, the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and the feasibility confirmed through an interview with the teaching manag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소소, 2023,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 공학전공 학습자 대상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어문연구, 197 : 301~330 본고는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에서 공학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3년 1월 기준 한국과 공동 운영 중인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이 총 206개에 이르며, 그 중에서 공학전공 프로그램이 점유율 41%로 가장 많다. 그럼에도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 공학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이 특수 학문 목적 학습자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들에게 제공되는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에 주안점을 두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청두대-영남대 건축전공 3+2 프로그램을 연구 사례로 선정하여 이 프로그램에서 개설되는 <전공심화한국어> 교과목의 강의 교사와 수강생에게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 교육과정은 한국대학 교수특강을 대비하는 목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운영 체계, 교수요목, 교수진, 평가 방식 네 가지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 강의자의 제안과 수강생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가늠한 후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고, 그 실행 가능성을 교학관리자와의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유소소, 2023,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 공학전공 학습자 대상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어문연구, 197 : 301~330 본고는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에서 공학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유소소, 2023,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 공학전공 학습자 대상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어문연구, 197 : 301~330 본고는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에서 공학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3년 1월 기준 한국과 공동 운영 중인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이 총 206개에 이르며, 그 중에서 공학전공 프로그램이 점유율 41%로 가장 많다. 그럼에도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중외합작 교육프로그램 공학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이 특수 학문 목적 학습자 집단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들에게 제공되는 전공심화한국어 교육과정에 주안점을 두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청두대-영남대 건축전공 3+2 프로그램을 연구 사례로 선정하여 이 프로그램에서 개설되는 <전공심화한국어> 교과목의 강의 교사와 수강생에게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 교육과정은 한국대학 교수특강을 대비하는 목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운영 체계, 교수요목, 교수진, 평가 방식 네 가지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한다. 강의자의 제안과 수강생의 요구를 종합적으로 가늠한 후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고, 그 실행 가능성을 교학관리자와의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 교육학 사전" 도서출판 하우 2014

      2 "한국교육개발원"

      3 김홍중, "한국고등교육 해외진출 분석과 함의" 한국교원대학교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2

      4 변성좌, "중국의 중외합작대학(中外合作办学)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20

      5 구자억,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정책 사례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264, 2012

      6 최형식, "중국의 ‘중외합작판학(中外合作办学)’정책과 국내 대학의 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중국문화학회 (39) : 223-244, 2013

      7 "교육부 홈페이지"

      8 정미혜, "공학계열 내용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대학 입학 전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9 조형일, "공학 한국어 1" 소통 2022

      10 周云楠, "面向韩国语能力考试的中韩"2+2"合作班听力教学研究 以河海大学文天学院中韩合作办学项目为例" 内蒙古自治区北方文化研究院 (27) : 13-, 2017

      1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 교육학 사전" 도서출판 하우 2014

      2 "한국교육개발원"

      3 김홍중, "한국고등교육 해외진출 분석과 함의" 한국교원대학교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2

      4 변성좌, "중국의 중외합작대학(中外合作办学)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20

      5 구자억, "중국의 외국대학 유치정책 사례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264, 2012

      6 최형식, "중국의 ‘중외합작판학(中外合作办学)’정책과 국내 대학의 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중국문화학회 (39) : 223-244, 2013

      7 "교육부 홈페이지"

      8 정미혜, "공학계열 내용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대학 입학 전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9 조형일, "공학 한국어 1" 소통 2022

      10 周云楠, "面向韩国语能力考试的中韩"2+2"合作班听力教学研究 以河海大学文天学院中韩合作办学项目为例" 内蒙古自治区北方文化研究院 (27) : 13-, 2017

      11 "敎育部中外合作辦學監管工作信息平臺"

      12 陈佳莉, "工程教育专业认证背景下小语种课程教学改革探析 以中外合作办学机构开设的"科技韩国语"课程为例" 河北教育出版社 (30) : 50-54, 2022

      13 刘潇潇, "中外合作办学项目外方授课线上教学模式运行现状与思考" 吉林省总工会 (17) : 5-133, 2020

      14 白明爱, "中外合作办学语言(非英语)课程体系研究" 才智杂志社 (34) : 76-78, 2020

      15 West, R., "Needs analysis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27): 1-19, 1994

      16 김금옥, "IT 공학 한국어" 휴먼싸이언스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