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권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 An Anaysis of Research Trends of Human Rights Education : Focusing on Master's Thesis and Doctor's Thesi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95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research trends of Master's thesis and Doctor's thesis of human right education from 1999 February to 2008 February for 10 years. It had a fundamental work for development that identify weaknesses in the of the research activities or human rights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is document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First, standards or analysis about general research trends are total 5 kinds or year category, region category, major of graduate school category, research object category, research method category. Second standards or analysis about elements of human right educations research trends are total 8 kinds of curriculum of human right education category, object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professor-lear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professor-learning resources oh human education category, assess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teacher trai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environment of human right category.
      This research analysis shows the contents of human right education and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ethics education with document method lead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rest was min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was not independent subject but mixture subject. Therefore subjects, contents, professor-learning method, assess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was organized and presented about plan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n human rights education will be and developed.
      번역하기

      This research analyzed research trends of Master's thesis and Doctor's thesis of human right education from 1999 February to 2008 February for 10 years. It had a fundamental work for development that identify weaknesses in the of the research activiti...

      This research analyzed research trends of Master's thesis and Doctor's thesis of human right education from 1999 February to 2008 February for 10 years. It had a fundamental work for development that identify weaknesses in the of the research activities or human rights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is document research and content analysis.
      First, standards or analysis about general research trends are total 5 kinds or year category, region category, major of graduate school category, research object category, research method category. Second standards or analysis about elements of human right educations research trends are total 8 kinds of curriculum of human right education category, object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professor-lear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professor-learning resources oh human education category, assess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teacher training of human rights education category, environment of human right category.
      This research analysis shows the contents of human right education and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ethics education with document method lead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rest was min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was not independent subject but mixture subject. Therefore subjects, contents, professor-learning method, assess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was organized and presented about plan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n human rights education will be and develop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99년 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10년 동안 발표된 인권교육 관련 석·박사학위 논문 86편을 분석하여 전체적인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미흡한 연구 분야를 파악하여 균형 있는 권교육의 연구 활동의 전개를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분석이며 분석의 준거는 일반적 연구 동향으로서 연도별, 지역별, 대학원 전공별, 연구대상별, 연구 방법별의 다섯 가지와 인권교육 요소별 연구 동향으로서 인권 교육과정 일반론, 인권 육목표론, 인권 교육내용론, 인권 교수·학습 방법론, 인권 교수·학습 자료론, 인권 교육평가론, 인권 교사교육론, 인권 교육환경론의 여덟 가지이다.
      이러한 인권교육 석·박사학위 논문 동향 분석을 통해 인권교육이 문헌 연구의 방법으로 사회과와 도덕과에서 인권 내용과 인권 교육과정의 내용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인권교육 요소, 목표,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자료, 평가에 있어서는 인권교육 연구가 아직 미흡함을 알 수 있다. 인권교육은 독립적인 교과가 아니라 개별 교과들 속에 혼재되어 시행되는 교육이므로 인권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전 과정에 대해 체계화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기초한 실질적인 인권교육 방안이 제시될 때 보다 나은 인권교육이 시행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99년 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10년 동안 발표된 인권교육 관련 석·박사학위 논문 86편을 분석하여 전체적인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미흡한 연구 분야를 파악하여 균형 있는 권교육�...

      본 연구는 1999년 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10년 동안 발표된 인권교육 관련 석·박사학위 논문 86편을 분석하여 전체적인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 미흡한 연구 분야를 파악하여 균형 있는 권교육의 연구 활동의 전개를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분석이며 분석의 준거는 일반적 연구 동향으로서 연도별, 지역별, 대학원 전공별, 연구대상별, 연구 방법별의 다섯 가지와 인권교육 요소별 연구 동향으로서 인권 교육과정 일반론, 인권 육목표론, 인권 교육내용론, 인권 교수·학습 방법론, 인권 교수·학습 자료론, 인권 교육평가론, 인권 교사교육론, 인권 교육환경론의 여덟 가지이다.
      이러한 인권교육 석·박사학위 논문 동향 분석을 통해 인권교육이 문헌 연구의 방법으로 사회과와 도덕과에서 인권 내용과 인권 교육과정의 내용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인권교육 요소, 목표,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자료, 평가에 있어서는 인권교육 연구가 아직 미흡함을 알 수 있다. 인권교육은 독립적인 교과가 아니라 개별 교과들 속에 혼재되어 시행되는 교육이므로 인권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전 과정에 대해 체계화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기초한 실질적인 인권교육 방안이 제시될 때 보다 나은 인권교육이 시행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2
      • Ⅱ. 이론적 배경 3
      • Ⅲ. 분석 대상 9
      • Ⅳ. 분석 결과 10
      • Ⅴ. 결론 22
      • Ⅰ. 서론 2
      • Ⅱ. 이론적 배경 3
      • Ⅲ. 분석 대상 9
      • Ⅳ. 분석 결과 10
      • Ⅴ. 결론 2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인권운동사랑방, 인권운동사랑방 2000

      2 이석호, "학교 인권교육 교육과정 구성방안에 관한 연구-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1999

      3 한영숙, "초등학생을 위한 인권교육 지도 자료 개발 연구" 제주교육대학교 2006

      4 이선영, "초등학교 인권교육의 평가도구 설계와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2006

      5 김한민, "초등학교 인권교육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02

      6 이양희, "초등학교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4

      7 이지혜, "초등학교 사회과 인권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의 원리와 방법" 서울교육대학교 2004

      8 구정화, "인권친화적 초·중등학교 인권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국가인원귀원회 2007

      9 이복수, "인권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고등학교 사회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2001

      10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인권교육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1 인권운동사랑방, 인권운동사랑방 2000

      2 이석호, "학교 인권교육 교육과정 구성방안에 관한 연구-초등사회과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1999

      3 한영숙, "초등학생을 위한 인권교육 지도 자료 개발 연구" 제주교육대학교 2006

      4 이선영, "초등학교 인권교육의 평가도구 설계와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2006

      5 김한민, "초등학교 인권교육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02

      6 이양희, "초등학교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4

      7 이지혜, "초등학교 사회과 인권교육 내용 선정 및 조직의 원리와 방법" 서울교육대학교 2004

      8 구정화, "인권친화적 초·중등학교 인권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국가인원귀원회 2007

      9 이복수, "인권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고등학교 사회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2001

      10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인권교육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11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 "인권교육 길라잡이" 국가인권위원회 2006

      12 구정화, "교사를 위한 학교 인권 교육의 이해" 국가인권위원회 2004

      13 안경환, "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기본 용어" 국가인권위원회 2004

      14 Amnesty International International Secretariat, "First Steps : A for Starting Human Rights Education" Amnesty International Secretariat 2001

      15 United Nations.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ABC : Teaching human rights-practical activities for primary and schools"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Nations 2004

      16 허종렬, "1990년대 사회과교육 연구 동향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07 1.50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