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새로운 주거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공간 특성을 연구한다. 현대사회는 가족 형태 변화로 인해 공동체 의식이 결여되고 사회적 소외감을 느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48654
광주 : 전남대학교, 2018
2018
한국어
커뮤니티 ; 커뮤니티공간 ; 협동조합형 공동주택
540
720
광주
100장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이효원
참고문헌: 장 96-9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새로운 주거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공간 특성을 연구한다. 현대사회는 가족 형태 변화로 인해 공동체 의식이 결여되고 사회적 소외감을 느끼...
본 연구는 새로운 주거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공간 특성을 연구한다. 현대사회는 가족 형태 변화로 인해 공동체 의식이 결여되고 사회적 소외감을 느끼는 등에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더불어 집값 상승 등의 경제적인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주거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써 입주자들이 사생활은 누리면서도 공용 공간에서 공동체 생활을 하는 협동 주거 형태를 일컫는 코하우징이라는 주거 유형이 나타나게 되었고 최근에는 더 나아가 입주자들이 협동조합방식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주택 관련 의사 표현을 할 수 있으며 더 많은 공동체 활동을 누릴 수 있는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이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에서 필연적으로 만들어지는 커뮤니티와 관련된 공간은 건축 설계 시에 개인 주거 공간만큼 중요하게 다뤄지는 부분이지만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의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적정 모델이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협동조합형 공동주택 설계를 진행할 때 커뮤니티 공간을 설계할 때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입주 이후에도 부족한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하고 활용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에서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커뮤니티 공간들을 사례조사를 통해 연구하기 위해 설계 과정부터 입주자들이 참여하여 건축이 완료된 12세대 미만의 사례들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이러한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은 저렴하게 내 집 마련을 할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장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넓은 커뮤니티를 갖지 못함으로써 입주자들 회의를 통해 기존 공동주택에서는 소극적으로 사용됐던 공간을 더 적극적으로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하며 작은 커뮤니티 공간이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주거와 관련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거 대안으로써의 협동조합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으며 추후 건축될 협동조합형 공동주택의 참고 자료로써 활용 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