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일제시기에 조선인 남성과 결혼한 일본인 여성의 조선 이주 계기와 이들 내선결혼 가정의 친족 네트워크 및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내선결혼의 계기는 남성의 단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56262
2018
Korean
내선결혼 ; 국제결혼 ; 이주 ; 친족 네트워크 ; 생활양식 ; Japanese-Korean Intermarriage ; International Marriage ; Migration ; Family Network ; Lifestyle
KCI등재
학술저널
27-53(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논문은 일제시기에 조선인 남성과 결혼한 일본인 여성의 조선 이주 계기와 이들 내선결혼 가정의 친족 네트워크 및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내선결혼의 계기는 남성의 단신 ...
본 논문은 일제시기에 조선인 남성과 결혼한 일본인 여성의 조선 이주 계기와 이들 내선결혼 가정의 친족 네트워크 및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내선결혼의 계기는 남성의 단신 이주였기 때문에, 주로 일본에서 조선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이 결혼했다. 이들이 남편의 본거지인 조선으로 이주한 경우에는 남성 우위의 가족 문화·인식이 바탕에 있었다. 그러나 생활양식을 결정하는 데는 가부장적 가족 문화와 함께 식민지배의 현실이 큰 영향을 미쳤다. 조선인 남성과 일본인 여성의 결혼에서는 민족(피지배/지배)과 젠더(남/여)의 권력 관계가 엇갈렸다. 이때 가족 통념에 부응함으로써 조선인 가정의 일원으로 인정받고자 한 일본인 여성은 조선 문화를 선택했다. 반대로 피지배 민족인 조선인 남편이 일본 문화를 택하거나, 일본인 아내가 국가의 이름으로 일본풍 생활양식을 주장하기도 했다. 이는 젠더보다 민족의 위계가 힘을 발휘한 것이었다. 이처럼 내선결혼에서 조선인 남편과 일본인 아내는 각각 젠더와 민족에서 우위를 차지함으로써 힘의 균형을 유지했고, 그 결과 생활양식에서도 양쪽을 절충하는 등 다양성을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moment when Japanese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moved to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changes in their family network and lifestyle. The Japanese-Korean intermarriages were mainly done between Japanese wo...
This paper examines the moment when Japanese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moved to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changes in their family network and lifestyle. The Japanese-Korean intermarriages were mainly done between Japanese women and Korean men in Japan mainland, because many Korean men migrated to Japan alone. When they decided to migrate to colonial Korea, or the homeland of husband, male-oriented family culture was based on. However, in determining the lifestyle, the reality of the colonial rule, along with the patriarchal family culture, had a great influence. Especially, in the cases of intermarriage between Korean men and Japanese women, the power between the nationality (dominance / subordinance) and gender (female / male) were cross-linked. At this point, Japanese wives who wanted to be recognized as a member of the husband’s family chose the Korean culture. On the other hand, Korean husbands took the initiative in choosing Japanese culture, or Japanese wives were leading the way in changing the lifestyle to Japanese style in the name of the nation. This was the power of the nation's hierarchy over gender. In this way, Korean husbands and Japanese wives held superiority in gender and nationality, respectively, and maintained a balance of power. In fact, the variety in their lifestyle was the result.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현,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 두산동아 2005
2 니이야 도시유키, "한국으로 '시집온' 일본인 부인 :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 이정선, "탈식민 국가의 ‘국민’ 경계: ‘내선결혼(內鮮結婚)’ 가족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51) : 281-316, 2016
4 김수자, "재한일본인처의 경계인으로서의 삶과 기억의 재구성" 이화사학연구소 (46) : 351-378, 2013
5 카세타니 토모오, "재한일본인 처의 형성과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1994
6 김응렬, "재한일본인 처의 생활사" 8 : 1996
7 신현경, "재조일본인 사회의 형성과 조선남성의 '일선결혼'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8 이토 히로코, "잊혀진 재한일본인처의 재현과 디아스포라적 삶의 특성 고찰‒경주 나자레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51) : 217-238, 2016
9 김민영, "일제의 조선인노동력수탈 연구" 한울 1995
10 스티븐 카슬, "이주의 시대" 일조각 2013
1 김미현, "혼인과 연애의 풍속도" 두산동아 2005
2 니이야 도시유키, "한국으로 '시집온' 일본인 부인 :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 이정선, "탈식민 국가의 ‘국민’ 경계: ‘내선결혼(內鮮結婚)’ 가족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법과사회이론학회 (51) : 281-316, 2016
4 김수자, "재한일본인처의 경계인으로서의 삶과 기억의 재구성" 이화사학연구소 (46) : 351-378, 2013
5 카세타니 토모오, "재한일본인 처의 형성과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1994
6 김응렬, "재한일본인 처의 생활사" 8 : 1996
7 신현경, "재조일본인 사회의 형성과 조선남성의 '일선결혼'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8 이토 히로코, "잊혀진 재한일본인처의 재현과 디아스포라적 삶의 특성 고찰‒경주 나자레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일본근대학회 (51) : 217-238, 2016
9 김민영, "일제의 조선인노동력수탈 연구" 한울 1995
10 스티븐 카슬, "이주의 시대" 일조각 2013
11 김종욱, "식민지시기 조선으로 이주한 일본인 처들의 인물사진 연구 : 연구자의 인물사진을 중심으로" 경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8
12 이정선, "동화와 배제 : 일제의 동화정책과 내선결혼" 역사비평사 2017
13 김종욱, "근대기 조선이주 일본인 여성의 삶에 대한 연구 : 경주 나자레원 할머니를 중심으로" 경주대학교 대학원 2014
14 야마자키 도모코, "경계에 선 여인들" 다사헌 2013
15 後藤文利, "韓国の桜" 梓書院 2010
16 "釜山日報"
17 "讀賣新聞"
18 石川奈津子, "海峡を渡った妻たち" 同時代社 2001
19 "每日申報"
20 田內基, "母よ, そして我が子らへ" 新聲社 1984
21 森木和美, "植民地主義と人類學" 關西學院大學出版會 2002
22 藤崎康夫, "棄民にされた韓国の日本人妻の証言" 153 : 1972
23 藤崎康夫, "棄民" サイマル出版会 1972
24 "東亞日報"
25 "朝鮮日報"
26 "朝鮮及満洲"
27 "朝鮮"
28 金英達, "日本の朝鮮統治下における通婚と混血" 39 : 1999
29 上坂冬子, "慶州ナザレ園" 中央公論新社 2010
30 吉岡攻, "忘れられたハルモニ" 31 : 1982
31 후루하시 아야, "在韓日本人妻の経験による歴史の捉え直し - ポストコロニアリズムとジェンダーの交差から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39 : 197-214, 2017
32 小山毅, "在韓日本人, 遺棄された同胞たち" 14 (14): 1972
33 竹下修子, "国際結婚の社会学" 学文社 2000
34 "內鮮一體"
35 "三千里"
36 山本かほり, "ライフ・ヒストリーを学ぶ人のために" 世界思想社 1996
37 가네코루리코, "「内鮮結婚」で境界を越えた在韓日本人妻たち -日本人妻たちの軌跡と内面心理を中心に-" 한국일어일문학회 95 (95): 307-325, 2015
38 Raymond F. Betts, "Assimilation and Association in French Colonial Theory 1890-1914"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5
39 伊藤孝司, "(新版)日本人花嫁の戦後" LYU工房 1996
迁徙的民族、古朴的女神神话与原生性文化:以中国云南少数民族女性神话为中心
민주주의적 모성: 벤자민 스팍의 『육아상식』과 민주주의적 이상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5 | 0.5 | 0.53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59 | 0.56 | 1.524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