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학급 내 일반학생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Friendship Expectation) 연구 = Friendship Expectation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Pe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19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학학급 내 일반학생들이 지적장애학생을 친구로 사귈 때 중요시하는 심리적 속성의 수준과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학급에 통합된 지적장애학생을 잘 수용하는...

      본 연구는 통학학급 내 일반학생들이 지적장애학생을 친구로 사귈 때 중요시하는 심리적 속성의 수준과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학급에 통합된 지적장애학생을 잘 수용하는 학생들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 간에는 그러한 속성들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5개 초, 중학교의 일반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교우기대감 측정도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은 일반학생에 대한 그것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일반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의 발달적 경향은 선행연구와는 반대로 나타났다. 또한, 평정대상에 따라 중요시하는 교우기대감의 영역이 서로 달랐다. 셋째, 일반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은 하위영역 일부에서 성과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은 성과 학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넷째, 지적장애학생을 잘 수용하는 학생들의 지적장애학생 대상 교우기대감 점수는 그렇지 못한 학생들의 것에 비해 친밀성 영역을 더 중요시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ose of students who accept the stu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ose of students who accept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ll and those of the students who does not. For this purpose, the author collected data from 277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nine classrooms wher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cluded.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s. First, the level of friendship expectation of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towar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towar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econd, friendship expectation of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towar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similar to those of past research in gender level influence, but was opposed to the past foreign research in grade level influence. Third, there was no gender and grade level influence on the total score of friendship expectation of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towar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ut was gender or grade level influence on each sub areas. However, there was no gender and grade level influence on the total and each area score of friendship expectation of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towar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urth, Comparing the friendship expectation score of the students who accept pe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ll with that of those who does not, there was no difference towar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ut the students who accept pe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ll considered intimacy area significantly more important towar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the authors provided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영명, "한국 청소년의 교우관계 결정요인 분석 : 자아개념, 부모관계, 교사관계, 교우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91-112, 2011

      2 남경욱,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영성, "통합교육에 따른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 嶺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4 장정원, "초등학교 아동의 친구관계와 자기능력지각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5 이양섭, "정신지체아동에 대한 일반학급아동의 태도에 관한 연구"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6

      6 김미옥,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4 (14): 99-126, 2002

      7 김정은, "장애대학생이 지각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18, 2010

      8 변찬석, "일반학급에서의 경도장애아의 사회적 수용도" 5 : 69-84, 1998

      9 오현미, "아동의 외로움과 형제 및 친구 관계의 질적 특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10 김표선, "아동의 또래지위와 우정의 질 및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17 (17): 1-43, 2004

      1 송영명, "한국 청소년의 교우관계 결정요인 분석 : 자아개념, 부모관계, 교사관계, 교우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91-112, 2011

      2 남경욱, "통합학급 학생들의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영성, "통합교육에 따른 일반학급 아동의 특수학급 아동에 대한 수용태도" 嶺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4 장정원, "초등학교 아동의 친구관계와 자기능력지각의 관계"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5 이양섭, "정신지체아동에 대한 일반학급아동의 태도에 관한 연구"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6

      6 김미옥,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4 (14): 99-126, 2002

      7 김정은, "장애대학생이 지각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18, 2010

      8 변찬석, "일반학급에서의 경도장애아의 사회적 수용도" 5 : 69-84, 1998

      9 오현미, "아동의 외로움과 형제 및 친구 관계의 질적 특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10 김표선, "아동의 또래지위와 우정의 질 및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17 (17): 1-43, 2004

      11 정옥분, "아동의 또래지위에 따른 사회적 능력, 정서적 능력과 우정관계의 질" 한국인간발달학회 15 (15): 17-52, 2008

      12 김보영, "부분통합교육을 받는 정신지체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인식 및 태도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13 신주혜, "단짝친구관계와 학교생활적응 : 초등학생4학년과 중학생2학년을 대상으로" 가톨릭大學校 大學院 1999

      14 권오정, "교우관계의 유형, 형성요인 및 학교생활 적응도 분석" 15 (15): 231-259, 2000

      15 金秀貞, "靑年期에 있어 同性 親舊와 異性 親舊에 대한 友情의 發達的 變化"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0

      16 Damon, W, "The social world of the child" Jossey-Bass Publishers 1977

      17 Sullivan, H. S,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orton 1953

      18 Han, K. G., "The influence of Gender patterns and grade level on friendship expect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peers with severe disabilities" 19 (19): 205-214, 2004

      19 Bigelow, B. J., "The development of friendship values and choice, In Friendship and social relations in children" Wiley 15-44, 1980

      20 Selman, R. L, "The child as a friendship philosopher,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friendshi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2-272, 1981

      21 Hoier, T., "Target selection of social skills for children" 11 : 137-163, 1987

      22 Stainback, S., "Support networks for inclusive schooling : Interdependent integrated education" Paul H. Brooks 1990

      23 Haring, T. G, "Social relationships, In Critical issues in the lives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Paul H. Brookes 195-217, 1991

      24 Conger, J., "Social Skills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Influences, In Process and Outcome on peer relationships" Academic Press 129-160, 1981

      25 Schaps, E., "Schools and classrooms as caring communities" 48 (48): 38-42, 1990

      26 Guralnick, M. J, "Parent perspectives of peer relationships and Friendships in intergrated and specialized settings" 99 : 457-476, 1995

      27 Helmstetter, E., "Outcomes of interactions with moderate or severe disabilities : A statewide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19 : 263-276, 1994

      28 Forest, M, "More education/integration : A further collection of readings on the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mental handicaps into regular school system" The G. Allam & Roeh Institute, York University 1987

      29 Gresham, F. M, "Misguided mainstreaming. The case for social skills training with handicapped children" 48 : 442-433, 1982

      30 Kaufman, M. J., "Mainstreaming: Toward an explication of the concept" 7 : 1-12, 1975

      31 Johnson, D. W., "Mainstreaming an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52 : 53-56, 1986

      32 Friend, M., "Includ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 : A practical guide for classroom teachers" Ellyn & Bacon 1996

      33 Siperstein, G. N, "Importance of perceived similarity in improving children's attitudes toward MR peers" 86 : 453-458, 1982

      34 Kauffman, J. M., "Handbook of special education" Prentice Hall 1981

      35 Clark, M. L., "Friendship expectation and the evaluation of present friendships in middl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22 (22): 115-133, 1992

      36 Paker, J. G.,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 Links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29 : 611-621, 1993

      37 Han, K. G, "Exploring gender and grade level influences on the friendship expectations of young adolescents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University of Illinois 2003

      38 Siperstein, G. N., "Effects of the labels "mentally retarded" and "retard" on the social acceptabil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84 (84): 596-601, 1980

      39 Gottlieb, J., "Correlates of social status among mainstreamed mentally retarded children" 70 : 369-405, 1978

      40 Bigelow, B. J., "Children's written descriptions of friendship: A multidimentional analysis" 11 : 857-858, 1975

      41 Ray, G. E., "Children's friendships: Expectations for prototypical versus actual best friends" 26 (26): 209-228, 1996

      42 Voeltz, L. M, "Children'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peers" 84 (84): 455-464, 1980

      43 Bigelow, B. J, "Children's Friendship Expectations : A Cognitive Developmental Study" 48 : 246-253, 1977

      44 Mikkelsen, G, "Building a welcoming classroom.. Minneapolis : Minnesota Inclusive Education Technical Assistance Program" College of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1992

      45 Bigelow, B. J, "Assessing children's friendship expectations: Supplementing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picture sequences tasks" 36 : 285-308, 1983

      46 Lutfiyya, Z, "Affectionate bonds : What we can learn by listening to friends" Center on Human Policy 1990

      47 Fisher, D, "Accoriding to their peers: Inclusion as high school students see it" 37 : 458-467, 1999

      48 La Gaipa, J. J, "A developmental study of the meaning of friendship in adolescence" 2 (2): 201-213,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8-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6-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지체연구 -> 지적장애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연구회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4 1.71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