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실행 기능 발달: 연령 및 모의 취업에 따른 분석 =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3-7 Year Olds: Analyses by age and maternal employ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90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ecutive functioning (EF) was analyzed in terms of age, gender and birth order of children and maternal characteristics(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 status). In the city of Ulsan, tests of EF (DCCS and selective attention tasks), a survey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eacher-completed rating scales (BRIEF, Conners’ scale) were administered to 124 3–7 year olds,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birth order or mothers' education level, but age effects on selective attention and recall tasks. Gender effects on the BRIEF ratings (working memory, inhibi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 were significant. The age X gender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in DCCS and recall performance. Attention proble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and maternal employment predicted ratings on the BRIEF.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ratings, but no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performance on various EF measures and teachers' ratings.
      번역하기

      Executive functioning (EF) was analyzed in terms of age, gender and birth order of children and maternal characteristics(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 status). In the city of Ulsan, tests of EF (DCCS and selective attention tasks), a survey on soci...

      Executive functioning (EF) was analyzed in terms of age, gender and birth order of children and maternal characteristics(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 status). In the city of Ulsan, tests of EF (DCCS and selective attention tasks), a survey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eacher-completed rating scales (BRIEF, Conners’ scale) were administered to 124 3–7 year olds,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birth order or mothers' education level, but age effects on selective attention and recall tasks. Gender effects on the BRIEF ratings (working memory, inhibi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 were significant. The age X gender interaction effects were significant in DCCS and recall performance. Attention proble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ys than in girls, and maternal employment predicted ratings on the BRIEF.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ratings, but no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performance on various EF measures and teachers' rat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3-7세 아동 124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 출생순위 및 모의 특성(교육수준, 취업유무)에 따른 실행기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아동의 실행기능(DCCS과제, 선택적 주의과제)수행과 교사의 평정(BRIEF, Conners 검사)을 분석한 결과 선택성과 회상수행에서 연령차이가 뚜렷하였고 BRIEF 평정(감정조절, 작업기억, 억제, 계획조직 하위영역)에서는 성에 따른 차이만이 유의하였다. DCCS 과제수행과 회상수행에서는 연령과 성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여 3-4세 집단에서는 남아의 수행이 높으나 5-7세 연령집단에서는 성차가 없었다. Conners 검사수행에서 연령 차이는 없었지만 성차는 유의하였다. BRIEF평정에서만 모의 취업효과가 유의하였다: 취업모의 자녀가 미취업모의 자녀보다 감정조절, 작업기억, 억제, 계획조직 영역에서 수행이 낮았고, 주의문제는 높았다. 출생순위와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실행기능차이는 없었다. 아동 실행기능 수행과 교사의 평정(BRIEF, Conners 검사)간에는 상관이 없었으나 교사의 평정 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었다.
      번역하기

      3-7세 아동 124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 출생순위 및 모의 특성(교육수준, 취업유무)에 따른 실행기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아동의 실행기능(DCCS과제, 선택적 주의과제)수행과 교사의 평정(BRIE...

      3-7세 아동 124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 출생순위 및 모의 특성(교육수준, 취업유무)에 따른 실행기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아동의 실행기능(DCCS과제, 선택적 주의과제)수행과 교사의 평정(BRIEF, Conners 검사)을 분석한 결과 선택성과 회상수행에서 연령차이가 뚜렷하였고 BRIEF 평정(감정조절, 작업기억, 억제, 계획조직 하위영역)에서는 성에 따른 차이만이 유의하였다. DCCS 과제수행과 회상수행에서는 연령과 성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여 3-4세 집단에서는 남아의 수행이 높으나 5-7세 연령집단에서는 성차가 없었다. Conners 검사수행에서 연령 차이는 없었지만 성차는 유의하였다. BRIEF평정에서만 모의 취업효과가 유의하였다: 취업모의 자녀가 미취업모의 자녀보다 감정조절, 작업기억, 억제, 계획조직 영역에서 수행이 낮았고, 주의문제는 높았다. 출생순위와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실행기능차이는 없었다. 아동 실행기능 수행과 교사의 평정(BRIEF, Conners 검사)간에는 상관이 없었으나 교사의 평정 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원, "한국아동의 발달과 발달환경" 2009

      2 송찬원, "학습장애아동과 ADHD아동 및 일반아동의 실행기능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3 손현주, "학령전기 아동의 문장 처리 능력과 실행 기능의 관련성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87-104, 2011

      4 조화진, "초기 청소년기 자기통제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부모애착, 교사애착, 자기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33-53, 2010

      5 정은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6 신민섭,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신경심리학적 평가" 8 (8): 217-231, 1997

      7 김선희, "자기통제력과 청소년비행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8 정정옥, "자기조절학습이 정상아와 학습 장애아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9 장혜인,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19-35, 2010

      10 이수미, "자기조절 훈련이 정신지체아의 자기효능감, 인지양식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8

      1 박혜원, "한국아동의 발달과 발달환경" 2009

      2 송찬원, "학습장애아동과 ADHD아동 및 일반아동의 실행기능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3 손현주, "학령전기 아동의 문장 처리 능력과 실행 기능의 관련성 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87-104, 2011

      4 조화진, "초기 청소년기 자기통제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부모애착, 교사애착, 자기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33-53, 2010

      5 정은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6 신민섭,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신경심리학적 평가" 8 (8): 217-231, 1997

      7 김선희, "자기통제력과 청소년비행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8 정정옥, "자기조절학습이 정상아와 학습 장애아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9 장혜인,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19-35, 2010

      10 이수미, "자기조절 훈련이 정신지체아의 자기효능감, 인지양식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8

      11 박혜원, "이중언어 사용이 선택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 연변 조선족과 한족아동의 선택적 주의수행 비교" 이중언어학회 23 (23): 113-136, 2003

      12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3 곽혜경,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통제책략과 유아의 자기통제행동과의 관계" 20 (20): 165-176, 1999

      14 김지은, "연속적 자극의 크기 부호화 발달 및 실행기능과의 관련"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5 (25): 43-62, 2012

      15 강기숙,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려성이 유아의 자기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22 (22): 115-132, 2001

      16 송영혜, "아동이상심리학" 시그마 프레스 2003

      17 박주리, "아동용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 결함 질문지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1-23, 2012

      18 송찬원, "실행기능 관련 국내 연구의 최근 동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3 (23): 143-162, 2007

      19 지은희, "선택적 주의와 억제가 아동의 낯선 얼굴에 대한 사회-정서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3 (23): 75-89, 2010

      20 김홍근, "Wechsler 지능검사에서 관리기능과 비관리기능의 비교"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257-271, 2006

      21 Frye, D., "Theory of mind and rule-based reasoning" 10 : 483-527, 1995

      22 Todd, R., "The time course of social emotion processing in early childhood: ERP responses to affective stimuli in a Go-No go task" 46 : 595-613, 2008

      23 Funder, D. C., "The role of ego-control, ego-resiliency, and IQ in the delay of gratification in adolescence" 57 : 1040-1050, 1989

      24 Wilcut, E. G., "The neuropsychology of ADHD : Validity of the executive function hypothesis,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From genes to patients" Humana Press 185-213, 2005

      25 Kochanska, G.,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in the first four years of life" 72 (72): 1091-1111, 2001

      26 Hagen, J. W., "The development of selective attention in Children, In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vol.7"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17-140, 1973

      27 Zelazo, P. D., "The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early childhood" 68 (68): 2003

      28 Rueda, M. R., "The development of executive attention: Contributions to the emergence of self-regulation" 28 : 573-594, 2005

      29 Ozonoff, S., "Specific executive function profiles in three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29 : 171-177, 1999

      30 Brownell, C. A., "Socialization of self regulatio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ver age and context"

      31 Kopp, C. B.,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 view" 25 (25): 342-354, 1982

      32 Zametkin, A. J.,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340 : 40-46, 1999

      33 Shoda, Y., "Predicting adolescent cognitive and self-regulatory competencies from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Identifying diagnostic conditions" 26 (26): 978-986, 1990

      34 Bronson M. B., "Overview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oday" 20 (20): 50-73, 2000

      35 Goyette, C. H., "Normative data on revised Conners Parent and Teacher Rating Scales" 6 (6): 221-236, 1978

      36 Noble, K., "Neurocognitive correlates of socioeconomic status in kindergarten children" 8 : 74-87, 2005

      37 Gottfried, A. E.,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ren's development" Plenum 1988

      38 김홍근,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도서출판 신경심리 2001

      39 Carlson, S. M., "Individual differences in executive functioning and theory of mind: An investigation of inhibitory control and planning ability" 319-320, 2004

      40 Barkley, R. A., "Frontal lobe functions in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and without hyperactivity: A review and research report" 20 : 163-188, 1992

      41 Carlson, S. M., "Executive function in context: Development, measurement, theory, and experience" 68 : 138-151, 2003

      42 Pennington, B. F., "Executive function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37 : 51-87, 1996

      43 Salovey, P.,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Basic Book 1997

      44 Zelazo, P. D., "Early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A problem-solving framework" 1 : 198-226, 1997

      45 Pennington, B. F., "Dimensions of executive functions in normal and abnormal development, In Development of the prefrontal cortex: Evolution, neurobiology, and behavior" P. H. Brookes 265-281, 1997

      46 Zimmerman, B. J., "Development self-regulation: Which are the key subprocesses" 16 : 307-313, 1986

      47 Prencipe, A., "Development of hot and cool executive function during the transition to adolescence" 108 : 621-637, 2011

      48 Zelazo, P. D.,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in childhood, In Handbook of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MIT Press 553-574, 2008

      49 Diamond, A., "Development of an aspect of executive control: Development of the abilities to remember what I said and to "Do as I say, not as I do."" 29 : 315-334, 1996

      50 Shoda, M. W., "Delay of Gratification in Children" Pro Quest Medical Library 1989

      51 Kochanska, G., "Conscience in childhood: Past, present, and future" 50 (50): 112-129, 2004

      52 Botvinick, M. M., "Conflict Monitoring and Cognitive Control" 108 (108): 624-652, 2001

      53 Bialystok, E., "Cognitive complexity and attentional control in the bilingual mind" 70 (70): 636-644, 1999

      54 Miller, P. H., "Children's attention allocation, understanding of attention, and performance on the incidental learning task" 52 : 1183-1190, 1981

      55 Perry, B. D., "Childhood experience and the expression of genetic potential: What childhood neglect tells us about nature and nurture" 3 : 79-100, 2002

      56 Carlson, S., "Bilingual and bicultural: Executive function in Korean and American children" 2009

      57 Wicks-Nelson, "Behavior disorders of childhood" Prentice Hall 1984

      58 Gioia, G., "BRIEF-P-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000

      59 Bialystok, E., "Attentional control in children's metalinguistic performance and measures of field independence" 28 (28): 654-665, 1992

      60 Goodyear, P.,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ADD/H) and without (ADD/WO) hyperactivity: Behavioral and neuropsychological differentiation" 21 : 273-305, 1992

      61 Barkley, R. A.,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4 and treatment" Guilford Publications 1990

      62 Choi, H. P., "Analyses picture-letter stroop task performances among Korean-Chinese in China, SRCD, Georgia, U.S.A. (Poster presentation)"

      63 Zelazo, P. D., "An age-related dissociation between knowing rules and using them" 11 : 37-63, 1996

      64 김용희, "ADHD 아동의 하위 유형에 따른 전두엽집행기능 연구-WCST 수행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301-314, 2006

      65 신윤희, "ADHD 및 자폐 아동의 실행기능 연구 및 측정도구 동향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5 (25): 21-45, 2009

      66 Pick, A. D., "A developmental study of strategies of visual selectivity" 45 : 1162-1165, 1974

      67 Choi, H., "A comparison of selective attention between Korean-Chinese bilingual and Chinese monolingual children in Yanbian, China. IFHE, Kyoto, Japan. (Poster present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5 2.085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