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실과교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교육대학교에서 실과 심화 전공과정을 이수하고 초등학교에서 실과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의 기술적 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40311
2013
Korean
370
KCI등재
학술저널
223-242(20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실과교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교육대학교에서 실과 심화 전공과정을 이수하고 초등학교에서 실과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의 기술적 사...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실과교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 교육대학교에서 실과 심화 전공과정을 이수하고 초등학교에서 실과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의 기술적 사고성향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술적 사고성향 검사 도구를 검사 도구로 선정하였고, 초등 실과 교사 150명, 중등 기술교사 150명, 초등 일반교과 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 조사 후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그리고 사후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실과교사는 초등학교 일반교과 교사와 비교하여 모든 요인에서 높은 기술적 사고성향을 보였다. 그러나, 중등학교 기술교사와 비교하여 기술적 호기심 성향과 기술적 조작 성향 요인에서 낮은 기술적 사고성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초등교사의 기술적 호기심 성향과 기술적 조작 성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실과교사는 연령에 따라 기술적 분석 성향, 기술적 조작 성향, 기술적 호기심 성향,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 요인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기술적 조작 성향은 20대 교사가 높았지만 기술적 조작 성향을 제외한 다른 요인은 50대 교사가 높았다. 이를 통해 젊은 교사들의 전반적인 기술적 사고성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실과교사는 성별에 따라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을 제외한 모든 기술적 사고성향의 하위 요인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남교사들의 기술적 사고성향이 여교사들에 비해 높았다. 이를 통해 실과교사들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교사의 성별을 고려한 교육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hat completed the practical arts intensify specialize course in education of Univers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hat completed the practical arts intensify specialize course in education of Univers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 To achieve the purpos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measurement instrument was selected as a measurement instrument, and survey was conducted to 150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 150 middle school technological teacher, and 150 elementary school general subject teacher. After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variance analysis, and post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s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s were more higher than general subject teacher in all factors. But there were lower dispositions at technological curious disposition and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compare to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 Through this result we could know that more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s technological curious disposition and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Second, by the age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echnological analyzing disposition,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technological curious disposition, technological planning and reflecting disposition, and especially twenties teacher's disposition was the most highest in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but most of the fifties teacher's dispositions were the highest except technological manipulating disposition. Through this result we could know that there is a necessity of effort to enhance the young teacher's overall technological disposition. Third, by the gender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ac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all the factors except technological planning and reflecting disposition, and especially male teacher's technological thinking was more higher compare to female teachers. Through this result we could know that when we are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on the practical arts teacher there is a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education plan that considering gend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도순, "학교자체평가의 접근방안: 학교자체평가 방안 탐색 세미나" 한국교육개발원 1987
2 손장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실과교육의 문제점"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31-246, 2012
3 조윤주, "초등교사의 실과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 인식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01-122, 2012
4 나승일, "초등 교사들의 실과 실기 능력과 교육요구도" 11 (11): 519-532, 1998
5 심경순,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이해" 학지사 2006
6 이정모, "인지과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7 기세령, "언어적 사고력 표준화 검사도구 개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이동원, "실과교과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 구성 요인"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1-19, 2008
9 강옥, "실과 식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인천지역 초등 교사들의 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234-265, 2010
10 한국교육개발원,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연구(IV)" 1990
1 박도순, "학교자체평가의 접근방안: 학교자체평가 방안 탐색 세미나" 한국교육개발원 1987
2 손장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실과교육의 문제점"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31-246, 2012
3 조윤주, "초등교사의 실과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 인식 연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01-122, 2012
4 나승일, "초등 교사들의 실과 실기 능력과 교육요구도" 11 (11): 519-532, 1998
5 심경순,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이해" 학지사 2006
6 이정모, "인지과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7 기세령, "언어적 사고력 표준화 검사도구 개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이동원, "실과교과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 구성 요인" 한국실과교육학회 21 (21): 1-19, 2008
9 강옥, "실과 식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인천지역 초등 교사들의 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234-265, 2010
10 한국교육개발원,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연구(IV)" 1990
11 성일제, "사고교육의 이론과 실체" 배영사 1989
12 남승권, "기술적 사고성향 검사도구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13 이한규,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4 이삼형, "국어교육학" 소명출판 2001
15 오은영, "교육대학교 실과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요구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17 (17): 2004
16 Tishman, S., "What makes a good thinker? A look at thinking dispositions" 39 (39): 7-9, 1994
17 Wicklein, C., "Toward a "unified curriculum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 36 (36): 2013
18 Salomon, G., "To be or not to be (mindful)" 1994
19 Tishman, S., "Thinking Dispositions : A review of current theories, practices, and issues" ALPS 2009
20 Ryle, G., "The concept of mind" Hutchinson 1949
21 Tooby, J.,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2 Facione, P. A., "The Disposition toward critical thinking" 44 (44): 1-25, 1994
23 Norris, S. P., "Testing for the disposition to think critically" 2&3 : 157-164, 1994
24 Halfin, H. H., "Technolgy - A process approach. Doctoral dissertation. Morgantown, WV: West Virginia University" 34 : 1586-A, 1973
25 Ruggiero, V. R., "Teaching thinking across the curriculum" Harper & Row Publishers 1988
26 De Bono, E., "Teaching thinking" Penguin Books Ltd 2004
27 Gulz, A., "Spatially Oriented and Person Oriented Thinking - Implications for User Interface Design" 7 (7): 67-68, 2002
28 Hund, "Nature vs. nature: the feeling of vuja de, In Intelligence, Heredity, and Environ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9 Dewey, J., "How we Think" Free Prese 1910
30 Pinker, S., "How the Mind Works" Norton & Company 1997
31 Calvin, W. H., "HOW BRAINS THINK, In 생각의 탄생" 사이언스 북스 2006
32 Mioduser, D., "Framework for the study of the cognitive nature and architecture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8 (8): 167-184, 1998
33 Beyer. B. K, "Developing a Thinking Skill Program" Allyn and Bacon 1988
34 Simon, T. R., "Biology and behavior of the endangered Hawaiian dark-rumped petrel" 87 : 229-245, 1985
35 Ennis, R. H., "Assess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Theoretical considerations" 1994
탄소 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 중학년용 저탄소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실과 교과의 인지적 목표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1.03 | 1.387 | 0.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