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정부의 사회적 자본 형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공무원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determinants forming social capital in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public officials in Jei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주민들이 다양한 목소리가 행정수요에 급증하면서 지방정부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으며, 제주는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해 제주특별자치도로 출범...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주민들이 다양한 목소리가 행정수요에 급증하면서 지방정부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으며, 제주는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해 제주특별자치도로 출범한지 10년을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사회적 자본 형성 결정요인을 통하여 조직의 역량을 키우고, 지방자치 실현에 성과를 얻는데 목표를 갖고 있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지방정부의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로 신뢰, 규범, 네트워크, 참여, 거버넌스를 측정지표로 선정하고, 결정요인으로는 인적요인, 조직운영, 직무능력을 그리고 매개요인으로 공동체의식, 교육의식, 온정주의를 측정지표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인적요인은 공직자들이 자기계발을 통한 전문성 배양, 공직자 교육도 중요하지만 주민 평생교육을 통한 교육의식 함양, 조직구성원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배양이 요구되며, 조직운영 요인은 조직의 비전과 목표가 정확한 제시와 공정한 인사시스템 운영, 직무능력 요인은 각종 정책에 대하여 주민들이 참여 폭을 확대로 신뢰문화 정착과 지역 공동체 의식 운동 확산과 공직자와 지역주민이 사회봉사활동으로 지역 문제 해결에 참여해야 한다. 사회적 자본 형성에 영향을 주는 매개요인은 정보통신기술에 맞는 사이버공동체를 형성, 조직구성원들이 연고주의와 괸당문화가 좋은 네트워크로의 전환, 조직구성원들에 맞는 정책을 발굴하여 집행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pproaching 21st century, The importance on roles of local government has been newly recognized and Jeju has reached tenth anniversary since 2006, the year of establishing self-governing province to become free international city, as there has been gr...

      Approaching 21st century, The importance on roles of local government has been newly recognized and Jeju has reached tenth anniversary since 2006, the year of establishing self-governing province to become free international city, as there has been growing administrative demands by citizen`s need.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realization of local autonomy by improving organizational capabilities through determinants of social capital in local government. By a literature survey for selecting the measurement Indexes of social capital in local governments, I classified 3 aspects and chose their associated factors as follows ; trust, rules, network, participation, governance as structural elements, human resources, operation of organization, capacity for duties as determinants of governance, sense of community, education, paternalism as intermediary causes.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human factors request for building up citizens` consciousness through life long education but on the top of that, ability to solve problems between members by themselves is more important than officers` training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In operational factors of organization, not only a correct and clear goal or vision but also a fair system of human resources should be presented. In factors of job ability, it is desired to enhance citizens` participation based on the culture of trust in every policy and officers and locals have to take part in solving problems of the community by volunteering and promoting communal spirit. The paramete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re formation of community tailored to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cyber-space, and replacing nepotism and Geon-dang culture with good networks thus, Jeju should create and execute policies fitted for members of organiz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휘, "지적자본이 공공부문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북도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2 박희봉, "지방정부의 사회적 자본 현황과 문제점" 62 (62): 16-19, 2013

      3 고경훈,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 및 행정발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9

      4 윤원수, "주민자치센터 참여만족도가 지역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연구-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탐라문화연구원 (45) : 57-86, 2014

      5 박시연, "사회적 자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2

      6 민기, "사회적 자본의 정책 영향:제주도 감귤 생산자간 협약이행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7-24, 2006

      7 권중기, "사회적 자본과 범죄발생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4

      8 소진광, "사회적 자본 형성을 통한 지방자치와 지역발전의 연계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8 (18): 67-90, 2004

      9 홍영란,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전략," 34 (34): 2007

      10 김왕배, "사회자본으로서의 신뢰와 조직몰입" 36 (36): 2000

      1 김광휘, "지적자본이 공공부문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북도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3

      2 박희봉, "지방정부의 사회적 자본 현황과 문제점" 62 (62): 16-19, 2013

      3 고경훈, "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 및 행정발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9

      4 윤원수, "주민자치센터 참여만족도가 지역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연구-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탐라문화연구원 (45) : 57-86, 2014

      5 박시연, "사회적 자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2

      6 민기, "사회적 자본의 정책 영향:제주도 감귤 생산자간 협약이행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7-24, 2006

      7 권중기, "사회적 자본과 범죄발생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4

      8 소진광, "사회적 자본 형성을 통한 지방자치와 지역발전의 연계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8 (18): 67-90, 2004

      9 홍영란,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전략," 34 (34): 2007

      10 김왕배, "사회자본으로서의 신뢰와 조직몰입" 36 (36): 2000

      11 김구, "사회자본과 지식관리 활동 및 조직성과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지방공무원의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1 (21): 125-161, 2012

      12 유석춘, "사회자본과 신뢰: 한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 비교연구" 14 (14): 2002

      13 최영출, "로컬 거버넌스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정책과제: AHP 방법론의 적용"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8 (18): 19-50, 2004

      14 Fukuyama, F, "Trust :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Free Press 1995

      15 Hanifan, L. J., "The Rural School Community Centre" 67 : 130-138, 1916

      16 Ostrom, Elinor, "Social Captital : A Multifaceted Perspective" World Bank 2000

      17 Bourdieu, P.,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241-258, 1986

      18 Coleman, J. S.,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19 Tocqueville. Alexis., "Democracy in America" New American Library, A Division of Penguin Books 1984

      20 Putnam, R. D.,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10-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graduate of governance ->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5 0.645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