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주리, "현대 공포영화의 서사성 연구" 전북대 2008
2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90년대 3" 인물과 사상사 2010
3 김훈순, "한국 현대 공포영화와 장르 관습의 변화"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4) : 2005
4 홍찬이, "한국 공포영화의 즐거움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강대 1999
5 김양지, "한국 공포영화 관습의 반복과 변화" 이화여대 2000
6 정은화, "텔레비전 뉴스 시청자의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 2008
7 King, Stephen, "죽음의 무도" 황금가지 2010
8 이주영, "인지패러다임을 통한 호러영화 장면 연구" 동국대 2001
9 김동환, "인지언어학 기초" 한국문화사 2008
10 김숙, "이미지와 마음" 한울 2007
1 홍주리, "현대 공포영화의 서사성 연구" 전북대 2008
2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90년대 3" 인물과 사상사 2010
3 김훈순, "한국 현대 공포영화와 장르 관습의 변화"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4) : 2005
4 홍찬이, "한국 공포영화의 즐거움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강대 1999
5 김양지, "한국 공포영화 관습의 반복과 변화" 이화여대 2000
6 정은화, "텔레비전 뉴스 시청자의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 2008
7 King, Stephen, "죽음의 무도" 황금가지 2010
8 이주영, "인지패러다임을 통한 호러영화 장면 연구" 동국대 2001
9 김동환, "인지언어학 기초" 한국문화사 2008
10 김숙, "이미지와 마음" 한울 2007
11 임지룡,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탄생" 한국문화사 2008
12 M. Sandra Peña, "은유와 영상도식" 한국문화사 2006
13 백문임, "월하의 여곡성: 여귀로 읽는 한국 공포영화사" 책세상 2008
14 Buckland,Warren, "영화인지기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5 Giannetti,Louis D, "영화의 이해" 현암사 2007
16 Bordwell,David, "영화의 내레이션Ⅱ" 시각과 언어 2007
17 Hayward,Susan, "영화사전-이론과 비평" 한나래 2009
18 Andrew,James Dudley, "영화 이론의 개념들" 시각과 언어 1998
19 임지룡, "영상도식의 인지적 의미 특성" 한국어문학회 (60) : 1997
20 남인영, "여고괴담 에 얽힌 공포의 내력-내가 지금도 ‘영화로만’ 보이니" 1998
21 인정옥, "여고괴담"
22 Wood, Robin, "베트남에서 레이건까지" 시각과 언어 1994
23 Schnell, Ralf, "미디어 미학" 이론과 실천 2005
24 Weimann, Gabriel, "매체의 현실 구성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25 허지웅, "망령의 기억"
26 Johnson, Mark, "마음속의 몸" 철학과 현실사 2000
27 이창현, "뉴스 아이템의 특성에 따른 TV뉴스의 중요도 차이" 한국언론학보 1999
28 김수정, "뉴스 객관성의 영상화: 한국과 미국의 환경뉴스 사례의 비교연구" 한국언론학회 47 (47): 14-384, 2003
29 김경욱, "너희들은 영화를 너무 많이 봤어!" (11) : 1998
30 한국공포문학연구회, "공포특급" 한뜻 1993
31 구연상, "공포와 두려움 그리고 불안" 청계 2002
32 허문영, "공포영화가 안된다고? 예상 밖의 흥행, <여고괴담> 신드롬 분석" 1998
33 Carroll, Noёl, "The philosophy of horror:paradox of the heart" Routledge & Kegan Paul 1990
34 최민재, "TV뉴스와 영상이미지" 한국언론재단 2004
35 민병현, "TV 시사다큐멘터리 영상구성방식과사실성 구현에 관한 연구 : KBS, MBC, SBS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268-296, 2009
36 Carroll,Noёl, "Mystifying Movies:Fads and Fallacies in Comtemporary Film The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37 이해영, "90년대와 80년대:하나의 정신사적 고찰" 문학과학사 (20) : 1999
38 박주영, "1998년 이후 한국 귀신영화에서의 여성 재현" 연세대 2004
39 맹수진, "1990년대 한국 호러장르의 경향연구" 동국대 1999
40 이승환, "1990년대 청소년 영화에서의 상징폭력성" 한국영화학회 (12) :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