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어미 ‘-다니’의 세 가지 용법 = Three uses of the Korean ending “-tan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4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hows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uses of the Korean ending “-tani”; as an exclamative ending, as an echo question ending, and as a rhetorical question ending. These can b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in three ways. First, they are grammaticalized from different reported speech constructions. Second, different kinds of endings and particles can be used with each usage. Finally, unlike the exclamative or rhetorical question usage, as an echo question ending, it does not guarantee the factuality of the proposition—alternatively, the speaker of –tani echo questions requires more information about the prior utterance before they can judge whether the proposition is true or not. Furthermore, while -tani has been suggested as a mirative marker, it expresses different kinds of mirative meanings according to its type. The exclamative and rhetorical question uses express a range of mirative meanings, such as counterexpectation or new information. The echo question ending use, however, only expresses the speaker’s unprepared mind towards the prior utterance.
      번역하기

      This paper shows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uses of the Korean ending “-tani”; as an exclamative ending, as an echo question ending, and as a rhetorical question ending. These can b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in three ways. First, they ar...

      This paper shows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uses of the Korean ending “-tani”; as an exclamative ending, as an echo question ending, and as a rhetorical question ending. These can b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in three ways. First, they are grammaticalized from different reported speech constructions. Second, different kinds of endings and particles can be used with each usage. Finally, unlike the exclamative or rhetorical question usage, as an echo question ending, it does not guarantee the factuality of the proposition—alternatively, the speaker of –tani echo questions requires more information about the prior utterance before they can judge whether the proposition is true or not. Furthermore, while -tani has been suggested as a mirative marker, it expresses different kinds of mirative meanings according to its type. The exclamative and rhetorical question uses express a range of mirative meanings, such as counterexpectation or new information. The echo question ending use, however, only expresses the speaker’s unprepared mind towards the prior utter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후민, "혼잣말 종결어미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70) : 5-34, 2015

      2 채숙희, "한국어의 전달 증거성" 한국어의미학회 50 : 69-98, 2015

      3 박재연, "한국어의 인식론적 범주와 관련한 몇 문제" 국어학회 (66) : 79-108, 2013

      4 이윤복, "한국어의 의외성을 나타내는 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2019

      5 강현화, "한국어교육을 위한 불평표현 문형연구-불평화행과 인용표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24) : 5-31, 2009

      6 진관초, "한국어 의외성 표지 ‘-다니’에 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54 : 91-126, 2016

      7 이금희, "인용문 형식에서 문법화된 어미·조사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8 박종갑, "의문문과 간접언어행위" 韓民族語文學會 9 : 55-76, 1982

      9 백봉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1

      10 이필영, "국어의 인용구문" 탑출판사 1993

      1 전후민, "혼잣말 종결어미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70) : 5-34, 2015

      2 채숙희, "한국어의 전달 증거성" 한국어의미학회 50 : 69-98, 2015

      3 박재연, "한국어의 인식론적 범주와 관련한 몇 문제" 국어학회 (66) : 79-108, 2013

      4 이윤복, "한국어의 의외성을 나타내는 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2019

      5 강현화, "한국어교육을 위한 불평표현 문형연구-불평화행과 인용표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24) : 5-31, 2009

      6 진관초, "한국어 의외성 표지 ‘-다니’에 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54 : 91-126, 2016

      7 이금희, "인용문 형식에서 문법화된 어미·조사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6

      8 박종갑, "의문문과 간접언어행위" 韓民族語文學會 9 : 55-76, 1982

      9 백봉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1

      10 이필영, "국어의 인용구문" 탑출판사 1993

      11 장요한, "국어 접속어미의 통시적 연구 -‘커니와’와 ‘-다니’의 통시적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19) : 1-26, 2013

      12 서순희, "국어 의문문의 개념 및 그 범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원우회 9 : 203-231, 1991

      13 박진호, "韓國語에서 證據性이나 意外性의 의미성분을 포함하는 문법요소" 언어정보연구소 15 : 1-25, 2011

      14 김홍범, "‘-다면서’, ‘-다고’, ‘-다니’의 구조와 의미"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2 (12): 71-91, 1987

      15 박나리, "‘-다니’에 대한 한국어 교육문법적 기술방안 연구 -담화화용정보의 비교대조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51) : 45-80, 2013

      16 이소흔, "‘-다니’類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125-149, 2013

      17 김수태, "‘-다니, -느냐니, -으라니, -자니’에 대하여" 문창어문학회 37 : 499-524, 2000

      18 박재연, "‘-다고’류 어미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애산학회 24 : 171-194, 2000

      19 이금영, "‘-니’ 통합형 어미의 문법화 양상" 어문연구학회 85 : 25-52, 2015

      20 DeLancey, S., "The mirative and evidentiality" 33 (33): 369-382, 2001

      21 Aikhenvald, A. Y., "The essence of mirativity" 16 (16): 435-486, 2012

      22 Sperber, D., "Relevance: Communication and Cognition" Blackwell 1995

      23 Sadock, J., "Queclaratives" 7 : 223-231, 1971

      24 Noh, Eun-ju, "Metarepresentation: a relevance-theory approach" John Benjamins 2000

      25 Noh, Eun-ju, "Echo Questions: Metarepresentation and Pragmatic Enrichment" 21 : 603-628, 1998

      26 Blakemore, D., "Echo Questions: A Pragmatic Account" 94 : 197-211, 1994

      27 Noh, Eun-ju, "A Pragmatic Approach to Echo Questions" 7 : 107-140, 1995

      28 이희자, "(한국어 학습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6 1.50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