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관형사, 단어 형성론의 관점에서교차 분류하기 - ‘우리말샘’ 등재어를 중심으로 - = Cross-Classifying Korean Adnominals with Special Reference to Word-Formation: Focused on the listed-word of ‘wulimalsay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43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explained some issues about Korean adnominals(listed-words of ‘wulimalsaym’) on the perspective of word-formation. By cross-classifying Korean adnominals on two criteria(e.g. formal criterion, semantic/functional criterion), I could get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semantic/functional criterion, Korean adnominals can be classified into grammatical adnominals(e.g. deictic adnominals, interrogative/infinitive adnominals, modal adnominals) and lexical adnominals(e.g. state/property adnominals, numeral adnominals, modal adnominals). Second, based on the formal criterion, Korean adnominals can be classified into simple adnominals(e.g. root adnominals, base-modificated adnominals, partial-reduplicated adnominals) and complex adnominals(e.g. compound adnominals, derivative adnominals, full-reduplicated adnominals, ending-combined adnominals, cosa-combined adnominals). Third, most of grammatical adnominals are simple deictic adnominals, and most of lexical adnominals are simple state/property adnominals. Fourth, some adnominals can be classified into two or more categories(e.g. deictic/modal adnominals, deictic/state/property adnominals, infinite/modal adnominals, state/property/numeral adnominals).
      번역하기

      I explained some issues about Korean adnominals(listed-words of ‘wulimalsaym’) on the perspective of word-formation. By cross-classifying Korean adnominals on two criteria(e.g. formal criterion, semantic/functional criterion), I could get conclusi...

      I explained some issues about Korean adnominals(listed-words of ‘wulimalsaym’) on the perspective of word-formation. By cross-classifying Korean adnominals on two criteria(e.g. formal criterion, semantic/functional criterion), I could get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semantic/functional criterion, Korean adnominals can be classified into grammatical adnominals(e.g. deictic adnominals, interrogative/infinitive adnominals, modal adnominals) and lexical adnominals(e.g. state/property adnominals, numeral adnominals, modal adnominals). Second, based on the formal criterion, Korean adnominals can be classified into simple adnominals(e.g. root adnominals, base-modificated adnominals, partial-reduplicated adnominals) and complex adnominals(e.g. compound adnominals, derivative adnominals, full-reduplicated adnominals, ending-combined adnominals, cosa-combined adnominals). Third, most of grammatical adnominals are simple deictic adnominals, and most of lexical adnominals are simple state/property adnominals. Fourth, some adnominals can be classified into two or more categories(e.g. deictic/modal adnominals, deictic/state/property adnominals, infinite/modal adnominals, state/property/numeral adnomin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철우, "화시의 기능과 체계에 대한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36 : 1-37, 2011

      2 황문환, "현대국어 관형사의 어휘사적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9) : 1-19, 2002

      3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 역락 2016

      4 유현경, "한국어 표준 문법" 집문당 2018

      5 문숙영, "한국어 탈종속화(Insubordination)의 한 종류" 한국어학회 69 : 1-39, 2015

      6 오규환, "한국어 어휘 단위의 형성과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2016

      7 목정수, "한국어 명사성 형용사의 설정 문제 -유형론적 접근과 국어교육적 활용-" 한국어교육학회 (128) : 387-418, 2009

      8 김선효, "한국어 관형어 연구" 역락 2011

      9 목정수, "한국어 관형사와 형용사 범주에 대한 연구 ― 체계적 품사론을 위하여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1) : 71-100, 2002

      10 이찬영, "체언 수식 부사의 관형사성과 부사성" 한국어학회 87 : 167-199, 2020

      1 박철우, "화시의 기능과 체계에 대한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36 : 1-37, 2011

      2 황문환, "현대국어 관형사의 어휘사적 고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9) : 1-19, 2002

      3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 역락 2016

      4 유현경, "한국어 표준 문법" 집문당 2018

      5 문숙영, "한국어 탈종속화(Insubordination)의 한 종류" 한국어학회 69 : 1-39, 2015

      6 오규환, "한국어 어휘 단위의 형성과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2016

      7 목정수, "한국어 명사성 형용사의 설정 문제 -유형론적 접근과 국어교육적 활용-" 한국어교육학회 (128) : 387-418, 2009

      8 김선효, "한국어 관형어 연구" 역락 2011

      9 목정수, "한국어 관형사와 형용사 범주에 대한 연구 ― 체계적 품사론을 위하여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1) : 71-100, 2002

      10 이찬영, "체언 수식 부사의 관형사성과 부사성" 한국어학회 87 : 167-199, 2020

      11 박진호,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 국어학회 (50) : 115-147, 2007

      12 고재설, "용언에서 기원한 관형사의 검토-관형사와 관형사형의 구분을 위하여-" 한국중원언어학회 (54) : 39-63, 2020

      13 김주상, "용언 활용형에서 기원한 관형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4 구본관, "수사와 수관형사의 형태론" 박이정 3 (3): 265-284, 2001

      15 이수미, "새로운 유형의 관형사 설정에 관한 연구" 한말연구학회 (24) : 165-194, 2009

      16 김창섭, "부접어의 설정과 부접 구성" 국어학회 (62) : 47-72, 2011

      17 이영제, "명사류의 명사성 판단 규준과 어근적 단어" 국어학회 (72) : 289-321, 2014

      18 임동훈, "담화 화시와 사회적 화시" 한국어의미학회 36 : 39-63, 2011

      19 오규환, "단어 형성론의 관점에서 분류한 한국어의 감탄사" 한국어의미학회 65 : 51-74, 2019

      20 오규환, "단어 형성 과정으로서의 어휘화" 국어학회 (68) : 323-366, 2013

      21 구본관, "국어 품사 분류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형태론 12 (12): 179-199, 2010

      22 남경완, "국어 전통문법에서의 관형사 범주 설정" 한국어학회 74 : 25-52, 2017

      23 서정수, "국어 문법" 뿌리깊은나무 1994

      24 최형용,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 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 태학사 2003

      25 장영희, "국어 관형사의 범주와 기능" 한국어 의미학회 8 : 201-220, 2001

      26 서형국, "국어 관형사의 문법사 연구 시론" 국어사학회 (10) : 199-231, 2010

      27 배진영, "구어 문법 통합 문법 기술 :1 어휘부류" 도서출판 박이정 2013

      28 이규호, "관형사의 하위분류 - 인칭/의문·부정 관형사의 설정 -" 국어학회 (74) : 207-232, 2015

      29 이정택, "관형사의 품사 설정 문제" 한말연구학회 13 : 167-187, 2003

      30 황화상, "관형사와 부사의 품사 설정에 대하여 - 이른바 체언 수식 부사를 중심으로 -" 한국어학회 42 : 317-344, 2009

      31 우형식, "관형사,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197-225, 2006

      32 배진영, "관형사 범주 설정에 대한 논의 - 체언 수식 용언 활용형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7) : 165-188, 2010

      33 이선웅, "韓國語 名詞類語의 名詞性 檢證"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2 (42): 37-62, 2014

      34 오규환, "‘형태론적 복합 관형어+명사어’ 구성의 어휘화에 대하여" 언어정보연구원 38 : 195-219, 2016

      35 Haspelmath, M., "Understanding Morphology" Hodder Education 2010

      36 Lyons, J., "Linguistic Semantics: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37 Taylor, J., "Linguistic Categorization: Prototypes in Linguistic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38 Brinton, L. J., "Lexicalization and Languag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9 Anderson, S. R., "Language Typology and Syntactic Description: Volume 3(Grammatical categories and the lexic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40 Lyons, J., "Introduction to Theoretical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41 Evans, N., "Insubordination and its Uses, Finiteness: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42 민경모, "Deixis의 개념 정립에 대한 일고찰" 한국어의미학회 37 : 27-52, 2012

      43 Vogel, P. M., "Approaches to the Typology of Word Classes" Mouton de Gruyter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6 1.50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