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맛(이) 있다’의 의미론 -연어구성의 단의성을 중심으로- = ‘The Semantics of ‘mas(-i) issta((It) tastes good)’ - Focusing on the Monosemy of Collo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43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est method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Korean collocation ‘mas(-i) issta’. Blunly, it attempts to clarify why the combination of the words ‘taste(mas)’ and ‘be, exist(issta)’, which have the meaning of ‘have taste’, is interpreted to have the meaning of ‘have good taste’. We first examined three kinds of interpretation methods.: (1) The predicate ‘issta(be, exist)’ is interpreted to have the meaning of ‘good’. However, this is difficult to select as it can also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such as ‘bad’, ‘long’, ‘a lot (of money)’ (2) The default value of the noun ‘mas(taste)’ is assumed to be ‘good taste’. However, this is rejected as ‘taste’ cannot always be interpreted as ‘good taste’. (3) There is a method that abandons uni-direction and views ‘taste’ and ‘be, exist’ to be subjects of co-selection. However, co-selection is a hypothesis that cannot be selected as it falls into a circularity of explanations. An alternative method is to hypothesize that ‘have taste’ forms a single semantic unit. This views that monosemy of meaning is established through configuration stages of phrases and not words. Therefore, units of meaning are formed in phrasal uni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est method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Korean collocation ‘mas(-i) issta’. Blunly, it attempts to clarify why the combination of the words ‘taste(mas)’ and ‘be, exist(issta)’, which have the 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est method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Korean collocation ‘mas(-i) issta’. Blunly, it attempts to clarify why the combination of the words ‘taste(mas)’ and ‘be, exist(issta)’, which have the meaning of ‘have taste’, is interpreted to have the meaning of ‘have good taste’. We first examined three kinds of interpretation methods.: (1) The predicate ‘issta(be, exist)’ is interpreted to have the meaning of ‘good’. However, this is difficult to select as it can also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such as ‘bad’, ‘long’, ‘a lot (of money)’ (2) The default value of the noun ‘mas(taste)’ is assumed to be ‘good taste’. However, this is rejected as ‘taste’ cannot always be interpreted as ‘good taste’. (3) There is a method that abandons uni-direction and views ‘taste’ and ‘be, exist’ to be subjects of co-selection. However, co-selection is a hypothesis that cannot be selected as it falls into a circularity of explanations. An alternative method is to hypothesize that ‘have taste’ forms a single semantic unit. This views that monosemy of meaning is established through configuration stages of phrases and not words. Therefore, units of meaning are formed in phrasal uni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길임, "확장된 어휘 단위에 대한 연구 동향과 한국어의 기술" 한국사전학회 (18) : 75-100, 2011

      2 최경봉, "한국어 단어 단위와 의미 -의미 단위의 인지적 실체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77 : 65-93, 2017

      3 이수미, "한국어 관형어 연구 –선후행 요소와의 결합 양상을 중심으로-" 연세대 2019

      4 김동환, "인지언어학적 어휘의미론" 경북대출판부 2012

      5 Ungerer, F., "인지언어학개론" 태학사 2010

      6 김진해, "인지언어학 탐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275-310, 2019

      7 Evans, V., "인지언어학 기초" 한국문화사 2008

      8 Langacker, R. W., "인지문법" 박이정 2014

      9 조민정, "의미단위로서 동사구에서 논항의 기능 연구-의미변별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46 : 53-77, 2014

      10 김진해, "연어 연구의 의미론적 함의-목록과 경향 사이에서-" 국어학회 (68) : 189-223, 2013

      1 남길임, "확장된 어휘 단위에 대한 연구 동향과 한국어의 기술" 한국사전학회 (18) : 75-100, 2011

      2 최경봉, "한국어 단어 단위와 의미 -의미 단위의 인지적 실체를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77 : 65-93, 2017

      3 이수미, "한국어 관형어 연구 –선후행 요소와의 결합 양상을 중심으로-" 연세대 2019

      4 김동환, "인지언어학적 어휘의미론" 경북대출판부 2012

      5 Ungerer, F., "인지언어학개론" 태학사 2010

      6 김진해, "인지언어학 탐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275-310, 2019

      7 Evans, V., "인지언어학 기초" 한국문화사 2008

      8 Langacker, R. W., "인지문법" 박이정 2014

      9 조민정, "의미단위로서 동사구에서 논항의 기능 연구-의미변별을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46 : 53-77, 2014

      10 김진해, "연어 연구의 의미론적 함의-목록과 경향 사이에서-" 국어학회 (68) : 189-223, 2013

      11 조은영, "어휘적 연어의 형성과 유추" 한국어학회 48 : 299-331, 2010

      12 김동환, "어휘의미론의 연구 방법" 경북대출판부 2013

      13 정수진, "미각어의 의미 확장 양상" 한국어의미학회 18 : 149-174, 2005

      14 최지영, "기능문법의 개념과 이론" 한국문화사 2015

      15 조민정, "국어의 상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6 고석주, "국어문법의 탐구 Ⅲ" 태학사 99-127, 1996

      17 박양규, "국어 처격에 대한 연구" 27 : 1972

      18 정수진, "국어 감각명사의 의미 확장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국어 감각명사의 의미 확장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한민족어문학회 (60) : 271-290, 2012

      19 황화상, "‘있다’의 의미 특성과 품사, 그리고 활용" 한말연구학회 (33) : 379-403, 2013

      20 신선경, "‘있다’의 어휘 의미와 통사" 태학사 2002

      21 Sinclair, "Trust the Text: Language, Corpus and Discourse" Routledge 2004

      22 Mel’čuk, I., "Phraseology: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s" Clarendon Press 23-54, 1998

      23 Mel’čuk, I., "Phraseology: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Contemporary Research Vol. 1" Walter de Gruyter 119-131, 2007

      24 Kövecses, Zoltán, "Metonymy: Developing a cognitive linguistic view" 9 (9): 37-77, 1998

      25 Teubert, W., "Lexicology and Corpus Linguistics: An Introduction" Continuum 113-165, 2004

      26 Teubert, W., "Lexicology and Corpus Linguistics: An Introduction" Continuum 73-112, 2004

      27 Mel’čuk, I., "Lexical Functions in Lexicography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John BenjaminsPublishing Company 37-102, 1996

      28 Moisés Almela Sánchez, "From Word to Lexical Units: A Corpus-Driven Account of Collocation and Idiomatic Patterning in English and English-Spanish" Peter Lang GmbH 2006

      29 Weinreich, U., "Explorations in Semantic Theory" De Gruyter Mounton 1972

      30 Sinclair, J., "Corpus, Concordance, Collo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31 Halliday, M.A.K.,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Hodder Arnold 2004

      32 Halliday, M. A. K.,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Hodder Arnold 1985

      33 임홍빈,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구축분과 연어사전의 정보구조와 기술내용" 한국사전학회 4 : 99-13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6 1.50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