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劉在建, "里鄕見聞錄" 아세아문화사 1974
2 洪世泰, "柳下集 in 閭巷文學叢書 1" 驪江出版社 1986
3 林熒擇, "閭巷文學과 庶民文學 in 한국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4 李佑成, "金秋史 및 中人層의 性靈論" 韓國漢文學硏究會 5 : 1980
5 "풍요속선 in 閭巷文學叢書 8" 驪江出版社 1986
6 윤종일, "초정 박제가의 이상사회론 검토 예술론과 이상사회상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8) : 195-234, 2007
7 이태호, "조선후기에 ‘카메라 옵스큐라’로 초상화를 그렸다" 6 : 2005
8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 돌베개 2001
9 金興圭, "조선후기 詩經論과 詩意識 in 高大 민족문화연구총서 7" 1982
10 閔丙秀, "조선후기 漢詩의 새로운 경향에 대하여" 2 : 1994
1 劉在建, "里鄕見聞錄" 아세아문화사 1974
2 洪世泰, "柳下集 in 閭巷文學叢書 1" 驪江出版社 1986
3 林熒擇, "閭巷文學과 庶民文學 in 한국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4 李佑成, "金秋史 및 中人層의 性靈論" 韓國漢文學硏究會 5 : 1980
5 "풍요속선 in 閭巷文學叢書 8" 驪江出版社 1986
6 윤종일, "초정 박제가의 이상사회론 검토 예술론과 이상사회상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8) : 195-234, 2007
7 이태호, "조선후기에 ‘카메라 옵스큐라’로 초상화를 그렸다" 6 : 2005
8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 돌베개 2001
9 金興圭, "조선후기 詩經論과 詩意識 in 高大 민족문화연구총서 7" 1982
10 閔丙秀, "조선후기 漢詩의 새로운 경향에 대하여" 2 : 1994
11 최완수, "조선왕조의 문화절정기, 진경시대 in 진경시대" 돌베개 1998
12 任侑炅, "조선 후기 천기론의 발달과 전개 in 우리 한문학사의 새로운 조명" 집문당 1999
13 林熒擇, "조선 후기 서울의 소시민문화 in 우리 고전을 찾아서" 한길사 2007
14 윤종일, "정조대 聖王論의 전개와 文化藝術政策의 추이 考察 - 文學과 美術을 중심으로" 동방사상문화학회 2007
15 李庚秀, "위항시인의 天機論 in 李朝後期漢文學의 再照明" 창작과비평사 1983
16 任侑炅, "위항시에 나타난 중인층의 일상과 의식세계" 이화한문학연구회 2007
17 최숙인, "연암그룹 시문학의 문예특성 in 우리 한문학사의 새로운 조명" 집문당 1999
18 宋載邵, "실학파의 시와 여항인의 시 in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19 "소대풍요 in 閭巷文學叢書 8" 驪江出版社 1986
20 宋載邵, "성리학파 문학과 실학파 문학의 연속과 단절-다산과 연암을 중심으로 in 한국 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돌베개 2005
21 金興圭, "새로운 詩意識과 詩的 典範 in 조선후기의 詩經論과 詩意識" 민족문화연구소 1982
22 이현식, "박지원 산문의 논리와 미학" 이회문화사 2002
23 윤종일, "박제가의 사회개혁론" 한국청소년문화학회 8 : 2007
24 윤종일, "다산 정약용 예술론의 문화운동사적 위치" 한국사상문화학회 36 (36): 185-232, 2007
25 金正喜, "국역완당전집" 민족문화추진회 1986
26 유봉학, "경화사족의 사상과 진경문화" 1 : 1998
27 金正喜, "阮堂先生文集 (전2冊)" 경인문화사 1988
28 南公轍, "金陵集" 國學資料院 1985
29 張志淵, "逸士遺事" 太學社 1982
30 金昌協, "農巖集 in 韓國文集叢刊 161⋅162" 민족문화추진회
31 金昌協, "農巖集" 景文社 1980
32 尹在敏, "趙秀三의 詩世界와 現實認識" 고려대학교 1984
33 鄭玉子, "趙熙龍의 詩書畵論" 서울대 국사학과 19 : 1988
34 朴齊家, "貞蕤閣全集" 驪江出版社 1986
35 鄭玉子, "詩社를 통해 본 朝鮮末期의 中人層" 韓㳓劤博士停年紀念論叢 1981
36 강재철, "茶山 詩의 繪畫性 考察 -詩畵一致觀에 主眼하여" 단국대 12 : 1985
37 윤종일, "茶山 丁若鏞 藝術論의 근대성 검토" 한국사상문화학회 34 (34): 173-216, 2006
38 丁若鏞, "與猶堂全書"
39 "肅宗實錄"
40 張混, "而已广集 in 閭巷文學叢書 2" 驪江出版社 1986
41 "經國大典"
42 柳馨遠, "磻溪隨錄"
43 成海應, "硏經齋全集" 旿晟社 1982
44 趙熙龍, "石友忘年錄"
45 申光洙, "石北文集" 아세아문화사 1985
46 朴趾源, "燕巖集 in 국역연암집 2" 민족문화추진회 2005
47 李慶民, "熙朝軼事" 민족문화사 1980
48 鄭堯一, "漢文學批評論" 집문당 1990
49 柳本藝, "漢京識略"
50 洪大容, "湛軒書"
51 鄭來僑, "浣巖集 in 閭巷文學叢書 1" 驪江出版社 1986
52 柳得恭, "泠齋集" 태학사 1985
53 "正祖實錄"
54 朴齊家, "楚亭全書 (전3책)" 아세아문화사 1990
55 宋載邵, "楚亭 朴齊家의 미의식과 시론 in 한시 미학과 역사적 진실" 창작과비평사 2001
56 김순애, "楚亭 朴齊家의 繪畵觀" 전남대 1997
57 黃玹, "梅泉野錄"
58 張之琬, "枕雨堂集 in 閭巷文學叢書 5" 驪江出版社 1986
59 成範重, "松石園詩社와 그 文學" 서울대학교 국문학연구회 53 : 1981
60 劉希慶, "村隱集 in 閭巷文學叢書 1" 驪江出版社 1986
61 鄭玉子, "朝鮮後期의 文風과 委巷文學" 4 : 1978
62 鄭玉子, "朝鮮後期의 技術職中人" 61 : 1986
63 崔信浩, "朝鮮後期詩論의 몇 가지 성격"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8 : 1984
64 張源哲, "朝鮮後期文學思想의 展開와 天機論" 한국학대학원 1982
65 鄭奭鍾, "朝鮮後期 社會變動硏究" 일조각 1983
66 최숙인, "朝鮮後期 文學에 나타난 繪畫性 硏究" 이화여대 1989
67 千柄植, "朝鮮後期 委巷詩社 硏究" 단국대학교 1988
68 강명관, "朝鮮後期 京衙前社會의 變化와 閭巷文學" 25 : 1990
69 李成茂, "朝鮮前期 中人層의 成立問題" 8 : 1978
70 강관식, "朝鮮 後期 美術의 思想的 基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 : 1992
71 "昭代風謠⋅風謠續選" 亞細亞文化社 1980
72 李重煥, "擇里志" 대양서적 1972
73 "弘齊全書"
74 宋載邵, "實學派文學의 一考察" 26 : 2000
75 朴允黙, "存齋集 in 閭巷文學叢書 4" 驪江出版社 1986
76 任侑炅, "委巷詩集 序⋅跋에 나타난 文學論"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4 : 1988
77 鄭芝潤, "夏園詩抄 in 閭巷文學叢書 5" 驪江出版社 1986
78 趙熙龍, "壺山外記" 아세아문화사 1974
79 李德懋, "國譯 靑莊館全書" 민족문화추진회 1979
80 愼鏞廈, "吳慶錫의 開化思想과 開化運動" 107 : 1980
81 문덕희, "南公轍(1760-1840)의 書畵觀" 1 : 1996
82 문덕희, "南公轍(1760-1840)의 書畫觀" 홍익대 1994
83 "備邊司謄錄"
84 金昌翕, "三淵全集" 光成文化社 1976
85 한영우, "‘실학’ 연구의 어제와 오늘 -실학 개념의 재정리 in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7
86 鄭雨峰, "19세기 詩論 硏究" 고려대학교 1992
87 홍선표, "19세기 委巷文人들의 회화활동과 창작성향" 시공사 (창간) : 1995
88 林熒擇, "18세기 藝術史의 視覺 in 李朝後期 漢文學의 再照明" 창작과비평사 1983
89 任侑炅, "18세기 委巷詩集에 나타난 中人層의 文學世界" 1 : 1985
90 李佑成, "18世紀 서울의 都市的 樣相 in 韓國의 歷史象" 創作과批評社 1983
91 강명관, "18⋅19세기 京衙前과 예술활동의 양상 in 民族史의 展開와 그 文化: 碧史李佑成敎授 停年退職紀念論叢" 창작과 비평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