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中人層의 예술관 검토 ― 18⋅19세기 ‘서화론’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Middle Echelon's Art Theory in the late Chosun Dynasty : Focused on the 'Seohwaron' in 18th and 19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4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was the era of transformation that medieval order which based on the Chu Hsi’ Neo-Confucianism fell down and modern elements grew up in the late Chosun Dynasty. Since Imjinwaeran and Byeongjahoran made profound impact on Chosun Dynasty in general, breaking-down of medieval order and transfer to modern went on universally. In this era of disturbance, enjoyment lifestyle which centered on Seoul promoted demands of fine arts and influenced on the inter-change of intellectual communities and their tastes.
      Gyeonghwasajok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began to take life-style differed with Hyangyu and developed unique cultural activities. Contacts between artists and intellectuals were also becoming common at this time. Prevalence of Jingyeong Sansuhwa and Genre Painting in arts, flourishing of Pansori and Sijochang in music, development of novel, new aspects in Sijo and Gasa, appearance of Weehanghansi in literature, development of TalChum(Korean Mask Dance) in play were the examples.
      The middle echelon, who mainly attended to technical posts and lower government offices or was a child of concubine, newly appeared to the social statu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middle echelon, who accumulated properties using their official posts, set a trend of amusement and cared for paintings and calligraphies. The middle echelon, who was good at poetry and prose, was called Yeohang literary men. The Sisa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features of their social position.
      The artists of middle class were unequal in comparison with the Yangban Sadaebu. To break through these limits the middle echelon formed Sisa. By writing Hansi that had been recognized as Yangban's monopoly, they found the solutions for the dissatisfaction of their social status. The love for art and literature was at the hight of it's popularity at this time as it was spread over technical posts and lower government officials in the late Chosun Dynasty.
      Middle echelon's activities on art and literature were important. Because these activities mean their rise in social position and entry into the cultural bound of Yangban Sadaebu. Also, these were historically important from the fact that these developed concurrently with the new trend of art which appeared since 18th century. The concept of Chungi, the core of middle echelon's thoughts on art and literature, was formed by inter-change between middle and Sadaebu class. The idea of Chungi had novelty and vitality in 17th and 18th century. But from the late of 18th to the middle of 19th century, the idea of Chungi was extended and had originality for it's theory was reorganized as 'Seongryung'.
      Besides, 'Sisuhwadongdoron' can be added to their art theory. It means that doing art like painting and calligraphy is nothing but cultivating mind to avoid hypocrisy and a purpose.
      번역하기

      It was the era of transformation that medieval order which based on the Chu Hsi’ Neo-Confucianism fell down and modern elements grew up in the late Chosun Dynasty. Since Imjinwaeran and Byeongjahoran made profound impact on Chosun Dynasty in general...

      It was the era of transformation that medieval order which based on the Chu Hsi’ Neo-Confucianism fell down and modern elements grew up in the late Chosun Dynasty. Since Imjinwaeran and Byeongjahoran made profound impact on Chosun Dynasty in general, breaking-down of medieval order and transfer to modern went on universally. In this era of disturbance, enjoyment lifestyle which centered on Seoul promoted demands of fine arts and influenced on the inter-change of intellectual communities and their tastes.
      Gyeonghwasajok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began to take life-style differed with Hyangyu and developed unique cultural activities. Contacts between artists and intellectuals were also becoming common at this time. Prevalence of Jingyeong Sansuhwa and Genre Painting in arts, flourishing of Pansori and Sijochang in music, development of novel, new aspects in Sijo and Gasa, appearance of Weehanghansi in literature, development of TalChum(Korean Mask Dance) in play were the examples.
      The middle echelon, who mainly attended to technical posts and lower government offices or was a child of concubine, newly appeared to the social statu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middle echelon, who accumulated properties using their official posts, set a trend of amusement and cared for paintings and calligraphies. The middle echelon, who was good at poetry and prose, was called Yeohang literary men. The Sisa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features of their social position.
      The artists of middle class were unequal in comparison with the Yangban Sadaebu. To break through these limits the middle echelon formed Sisa. By writing Hansi that had been recognized as Yangban's monopoly, they found the solutions for the dissatisfaction of their social status. The love for art and literature was at the hight of it's popularity at this time as it was spread over technical posts and lower government officials in the late Chosun Dynasty.
      Middle echelon's activities on art and literature were important. Because these activities mean their rise in social position and entry into the cultural bound of Yangban Sadaebu. Also, these were historically important from the fact that these developed concurrently with the new trend of art which appeared since 18th century. The concept of Chungi, the core of middle echelon's thoughts on art and literature, was formed by inter-change between middle and Sadaebu class. The idea of Chungi had novelty and vitality in 17th and 18th century. But from the late of 18th to the middle of 19th century, the idea of Chungi was extended and had originality for it's theory was reorganized as 'Seongryung'.
      Besides, 'Sisuhwadongdoron' can be added to their art theory. It means that doing art like painting and calligraphy is nothing but cultivating mind to avoid hypocrisy and a purpo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8⋅19세기에 이르는 조선 후기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조선의 주자성리학(朱子性理學)적 세계관에 기반했던 중세적 질서가 해체되면서 근대적인 요소가 활발히 성장해가는 시기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 조선 사회 전반에 심대한 충격을 준 이래 사회전반에 걸쳐 중세 질서의 해체와 근대로의 지향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조선사회의 전반에 걸친 동요 속에서도 서울을 중심으로 부를 축적한 도시민적인 향락 소비 생활은 예술품의 수요를 촉진하는 한편 지식인들 간의 동인적 교류와 예술취미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서울⋅경기 지역의 경화사족들은 향유(鄕儒)와 구별되는 새로운 생활방식을 갖게 되고 개성적 문화예술 활동을 전개하였다. 예인(藝人)들과 지식인들 간의 접촉 또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다. 회화에서의 진경산수화, 풍속화의 성행, 음악에서의 판소리, 시조창(時調唱)의 융성, 문학에서의 소설의 발달, 시조⋅가사의 새로운 양상, 위항한시(委巷漢詩)의 대두 그리고 연극에서의 탈춤의 발전 등이 그것이다.
      중인계층은 조선후기에 들어 새롭게 형성된 조선사회의 중간신분층이다. 이들은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중간계층이라는 점에서 특수한 성격을 지닌 집단이었다. 그 구성원은 주로 기술직 중인, 서얼, 서리로 되어 있었다. 17세기 무렵부터 실무직위를 이용하여 재부(財富)를 축적하고 이를 토대로 조선 후⋅말기의 유흥⋅행락 풍조를 일으키면서 서화감상과 창작⋅수집 등, 회화 애호풍조에도 적극 참여했다. 중인층은 시문(詩文)에도 능하여 여항문인으로도 지칭되었다. 이들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시사(詩社)는 그들 자신의 계층적 성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인층 예술가들은 이 시기 양반 사대부에 비하여 신분상 불평등한 위치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한계의 돌파구로서 마련된 것이 문학과 예술영역에서의 그들 나름의 집단적 문예활동, 즉 시사활동(詩社活動)이다. 양반사대부에 비견할만한 한시를 창작한다는 점에서 이들 신분이 가지는 사회적 불만을 다소간 해소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조선 후기의 문예 애호풍조는 이들 의관⋅역관 등의 기술직 중인과 하급관리였던 경아전과 서리들에게까지 퍼지면서 그 절정을 이루게 된다.
      뿐만 아니라, 중인계층의 문예활동은 이들의 사회적인 지위 향상이라는 구체적인 의식상의 변화를 내포하는 동시에 지배층인 양반 사대부의 문화권에 편입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그것은 18세기 이래 새롭게 대두된 신흥 예술의 시대적 흐름과 같은 선상에서 진행되고 있었다는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
      중인계층 문예론의 핵심적 근거가 되는 ‘천기(天機)’ 개념은 동시대 사대부계층의 문예활동과 긴밀하고도 활발한 교류를 거치면서 형성된 대표성을 띤 용어이다. 천기론은 17⋅18세기에 그 이론적 참신성과 활력을 보였다면,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중반에 걸치는 기간 동안에는 ‘성령(性靈)’이라는 개념으로 재정착하면서 그 활력이 새롭고도 점차 독자적인 함의를 가지면서 확대되어 가고 있었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이들의 또 다른 하나의 예술론으로 거론할 수 있는 것이 시서화동도론(詩書畵同道論)이다. 예술 활동을 하는 것은 가식과 목적을 거부하고 내면을 갈고 닦는 것에 요체가 있으므로 그것은 곧 그림을 그리고 글씨를 쓰는 것과 같다는 것이...
      번역하기

      18⋅19세기에 이르는 조선 후기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조선의 주자성리학(朱子性理學)적 세계관에 기반했던 중세적 질서가 해체되면서 근대적인 요소가 활발히 성장...

      18⋅19세기에 이르는 조선 후기는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조선의 주자성리학(朱子性理學)적 세계관에 기반했던 중세적 질서가 해체되면서 근대적인 요소가 활발히 성장해가는 시기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 조선 사회 전반에 심대한 충격을 준 이래 사회전반에 걸쳐 중세 질서의 해체와 근대로의 지향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조선사회의 전반에 걸친 동요 속에서도 서울을 중심으로 부를 축적한 도시민적인 향락 소비 생활은 예술품의 수요를 촉진하는 한편 지식인들 간의 동인적 교류와 예술취미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서울⋅경기 지역의 경화사족들은 향유(鄕儒)와 구별되는 새로운 생활방식을 갖게 되고 개성적 문화예술 활동을 전개하였다. 예인(藝人)들과 지식인들 간의 접촉 또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다. 회화에서의 진경산수화, 풍속화의 성행, 음악에서의 판소리, 시조창(時調唱)의 융성, 문학에서의 소설의 발달, 시조⋅가사의 새로운 양상, 위항한시(委巷漢詩)의 대두 그리고 연극에서의 탈춤의 발전 등이 그것이다.
      중인계층은 조선후기에 들어 새롭게 형성된 조선사회의 중간신분층이다. 이들은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중간계층이라는 점에서 특수한 성격을 지닌 집단이었다. 그 구성원은 주로 기술직 중인, 서얼, 서리로 되어 있었다. 17세기 무렵부터 실무직위를 이용하여 재부(財富)를 축적하고 이를 토대로 조선 후⋅말기의 유흥⋅행락 풍조를 일으키면서 서화감상과 창작⋅수집 등, 회화 애호풍조에도 적극 참여했다. 중인층은 시문(詩文)에도 능하여 여항문인으로도 지칭되었다. 이들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시사(詩社)는 그들 자신의 계층적 성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인층 예술가들은 이 시기 양반 사대부에 비하여 신분상 불평등한 위치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한계의 돌파구로서 마련된 것이 문학과 예술영역에서의 그들 나름의 집단적 문예활동, 즉 시사활동(詩社活動)이다. 양반사대부에 비견할만한 한시를 창작한다는 점에서 이들 신분이 가지는 사회적 불만을 다소간 해소할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조선 후기의 문예 애호풍조는 이들 의관⋅역관 등의 기술직 중인과 하급관리였던 경아전과 서리들에게까지 퍼지면서 그 절정을 이루게 된다.
      뿐만 아니라, 중인계층의 문예활동은 이들의 사회적인 지위 향상이라는 구체적인 의식상의 변화를 내포하는 동시에 지배층인 양반 사대부의 문화권에 편입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그것은 18세기 이래 새롭게 대두된 신흥 예술의 시대적 흐름과 같은 선상에서 진행되고 있었다는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
      중인계층 문예론의 핵심적 근거가 되는 ‘천기(天機)’ 개념은 동시대 사대부계층의 문예활동과 긴밀하고도 활발한 교류를 거치면서 형성된 대표성을 띤 용어이다. 천기론은 17⋅18세기에 그 이론적 참신성과 활력을 보였다면,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중반에 걸치는 기간 동안에는 ‘성령(性靈)’이라는 개념으로 재정착하면서 그 활력이 새롭고도 점차 독자적인 함의를 가지면서 확대되어 가고 있었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이들의 또 다른 하나의 예술론으로 거론할 수 있는 것이 시서화동도론(詩書畵同道論)이다. 예술 활동을 하는 것은 가식과 목적을 거부하고 내면을 갈고 닦는 것에 요체가 있으므로 그것은 곧 그림을 그리고 글씨를 쓰는 것과 같다는 것이...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劉在建, "里鄕見聞錄" 아세아문화사 1974

      2 洪世泰, "柳下集 in 閭巷文學叢書 1" 驪江出版社 1986

      3 林熒擇, "閭巷文學과 庶民文學 in 한국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4 李佑成, "金秋史 및 中人層의 性靈論" 韓國漢文學硏究會 5 : 1980

      5 "풍요속선 in 閭巷文學叢書 8" 驪江出版社 1986

      6 윤종일, "초정 박제가의 이상사회론 검토 ­ 예술론과 이상사회상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8) : 195-234, 2007

      7 이태호, "조선후기에 ‘카메라 옵스큐라’로 초상화를 그렸다" 6 : 2005

      8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 돌베개 2001

      9 金興圭, "조선후기 詩經論과 詩意識 in 高大 민족문화연구총서 7" 1982

      10 閔丙秀, "조선후기 漢詩의 새로운 경향에 대하여" 2 : 1994

      1 劉在建, "里鄕見聞錄" 아세아문화사 1974

      2 洪世泰, "柳下集 in 閭巷文學叢書 1" 驪江出版社 1986

      3 林熒擇, "閭巷文學과 庶民文學 in 한국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4 李佑成, "金秋史 및 中人層의 性靈論" 韓國漢文學硏究會 5 : 1980

      5 "풍요속선 in 閭巷文學叢書 8" 驪江出版社 1986

      6 윤종일, "초정 박제가의 이상사회론 검토 ­ 예술론과 이상사회상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8) : 195-234, 2007

      7 이태호, "조선후기에 ‘카메라 옵스큐라’로 초상화를 그렸다" 6 : 2005

      8 강관식, "조선후기 궁중화원 연구" 돌베개 2001

      9 金興圭, "조선후기 詩經論과 詩意識 in 高大 민족문화연구총서 7" 1982

      10 閔丙秀, "조선후기 漢詩의 새로운 경향에 대하여" 2 : 1994

      11 최완수, "조선왕조의 문화절정기, 진경시대 in 진경시대" 돌베개 1998

      12 任侑炅, "조선 후기 천기론의 발달과 전개 in 우리 한문학사의 새로운 조명" 집문당 1999

      13 林熒擇, "조선 후기 서울의 소시민문화 in 우리 고전을 찾아서" 한길사 2007

      14 윤종일, "정조대 聖王論의 전개와 文化藝術政策의 추이 考察 - 文學과 美術을 중심으로" 동방사상문화학회 2007

      15 李庚秀, "위항시인의 天機論 in 李朝後期漢文學의 再照明" 창작과비평사 1983

      16 任侑炅, "위항시에 나타난 중인층의 일상과 의식세계" 이화한문학연구회 2007

      17 최숙인, "연암그룹 시문학의 문예특성 in 우리 한문학사의 새로운 조명" 집문당 1999

      18 宋載邵, "실학파의 시와 여항인의 시 in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19 "소대풍요 in 閭巷文學叢書 8" 驪江出版社 1986

      20 宋載邵, "성리학파 문학과 실학파 문학의 연속과 단절-다산과 연암을 중심으로 in 한국 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돌베개 2005

      21 金興圭, "새로운 詩意識과 詩的 典範 in 조선후기의 詩經論과 詩意識" 민족문화연구소 1982

      22 이현식, "박지원 산문의 논리와 미학" 이회문화사 2002

      23 윤종일, "박제가의 사회개혁론" 한국청소년문화학회 8 : 2007

      24 윤종일, "다산 정약용 예술론의 문화운동사적 위치" 한국사상문화학회 36 (36): 185-232, 2007

      25 金正喜, "국역완당전집" 민족문화추진회 1986

      26 유봉학, "경화사족의 사상과 진경문화" 1 : 1998

      27 金正喜, "阮堂先生文集 (전2冊)" 경인문화사 1988

      28 南公轍, "金陵集" 國學資料院 1985

      29 張志淵, "逸士遺事" 太學社 1982

      30 金昌協, "農巖集 in 韓國文集叢刊 161⋅162" 민족문화추진회

      31 金昌協, "農巖集" 景文社 1980

      32 尹在敏, "趙秀三의 詩世界와 現實認識" 고려대학교 1984

      33 鄭玉子, "趙熙龍의 詩書畵論" 서울대 국사학과 19 : 1988

      34 朴齊家, "貞蕤閣全集" 驪江出版社 1986

      35 鄭玉子, "詩社를 통해 본 朝鮮末期의 中人層" 韓㳓劤博士停年紀念論叢 1981

      36 강재철, "茶山 詩의 繪畫性 考察 -詩畵一致觀에 主眼하여" 단국대 12 : 1985

      37 윤종일, "茶山 丁若鏞 藝術論의 근대성 검토" 한국사상문화학회 34 (34): 173-216, 2006

      38 丁若鏞, "與猶堂全書"

      39 "肅宗實錄"

      40 張混, "而已广集 in 閭巷文學叢書 2" 驪江出版社 1986

      41 "經國大典"

      42 柳馨遠, "磻溪隨錄"

      43 成海應, "硏經齋全集" 旿晟社 1982

      44 趙熙龍, "石友忘年錄"

      45 申光洙, "石北文集" 아세아문화사 1985

      46 朴趾源, "燕巖集 in 국역연암집 2" 민족문화추진회 2005

      47 李慶民, "熙朝軼事" 민족문화사 1980

      48 鄭堯一, "漢文學批評論" 집문당 1990

      49 柳本藝, "漢京識略"

      50 洪大容, "湛軒書"

      51 鄭來僑, "浣巖集 in 閭巷文學叢書 1" 驪江出版社 1986

      52 柳得恭, "泠齋集" 태학사 1985

      53 "正祖實錄"

      54 朴齊家, "楚亭全書 (전3책)" 아세아문화사 1990

      55 宋載邵, "楚亭 朴齊家의 미의식과 시론 in 한시 미학과 역사적 진실" 창작과비평사 2001

      56 김순애, "楚亭 朴齊家의 繪畵觀" 전남대 1997

      57 黃玹, "梅泉野錄"

      58 張之琬, "枕雨堂集 in 閭巷文學叢書 5" 驪江出版社 1986

      59 成範重, "松石園詩社와 그 文學" 서울대학교 국문학연구회 53 : 1981

      60 劉希慶, "村隱集 in 閭巷文學叢書 1" 驪江出版社 1986

      61 鄭玉子, "朝鮮後期의 文風과 委巷文學" 4 : 1978

      62 鄭玉子, "朝鮮後期의 技術職中人" 61 : 1986

      63 崔信浩, "朝鮮後期詩論의 몇 가지 성격"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8 : 1984

      64 張源哲, "朝鮮後期文學思想의 展開와 天機論" 한국학대학원 1982

      65 鄭奭鍾, "朝鮮後期 社會變動硏究" 일조각 1983

      66 최숙인, "朝鮮後期 文學에 나타난 繪畫性 硏究" 이화여대 1989

      67 千柄植, "朝鮮後期 委巷詩社 硏究" 단국대학교 1988

      68 강명관, "朝鮮後期 京衙前社會의 變化와 閭巷文學" 25 : 1990

      69 李成茂, "朝鮮前期 中人層의 成立問題" 8 : 1978

      70 강관식, "朝鮮 後期 美術의 思想的 基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 : 1992

      71 "昭代風謠⋅風謠續選" 亞細亞文化社 1980

      72 李重煥, "擇里志" 대양서적 1972

      73 "弘齊全書"

      74 宋載邵, "實學派文學의 一考察" 26 : 2000

      75 朴允黙, "存齋集 in 閭巷文學叢書 4" 驪江出版社 1986

      76 任侑炅, "委巷詩集 序⋅跋에 나타난 文學論" 한림대 태동고전연구소 4 : 1988

      77 鄭芝潤, "夏園詩抄 in 閭巷文學叢書 5" 驪江出版社 1986

      78 趙熙龍, "壺山外記" 아세아문화사 1974

      79 李德懋, "國譯 靑莊館全書" 민족문화추진회 1979

      80 愼鏞廈, "吳慶錫의 開化思想과 開化運動" 107 : 1980

      81 문덕희, "南公轍(1760-1840)의 書畵觀" 1 : 1996

      82 문덕희, "南公轍(1760-1840)의 書畫觀" 홍익대 1994

      83 "備邊司謄錄"

      84 金昌翕, "三淵全集" 光成文化社 1976

      85 한영우, "‘실학’ 연구의 어제와 오늘 -실학 개념의 재정리 in 다시, 실학이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7

      86 鄭雨峰, "19세기 詩論 硏究" 고려대학교 1992

      87 홍선표, "19세기 委巷文人들의 회화활동과 창작성향" 시공사 (창간) : 1995

      88 林熒擇, "18세기 藝術史의 視覺 in 李朝後期 漢文學의 再照明" 창작과비평사 1983

      89 任侑炅, "18세기 委巷詩集에 나타난 中人層의 文學世界" 1 : 1985

      90 李佑成, "18世紀 서울의 都市的 樣相 in 韓國의 歷史象" 創作과批評社 1983

      91 강명관, "18⋅19세기 京衙前과 예술활동의 양상 in 民族史의 展開와 그 文化: 碧史李佑成敎授 停年退職紀念論叢" 창작과 비평사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