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조기 경주지역 목곽묘의 전개와 사로국 내부의 통합과정 = The Development of the Wooden Chamber Burials of the Gyeongju Region and the Internal Consolidation Process of Saro-guk in the Incipient Silla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929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burial grounds of the Incipient Silla period in order to explore how wooden chamber burials developed over time, as well 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ach burial gr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ttempts...

      This paper analyzes the burial grounds of the Incipient Silla period in order to explore how wooden chamber burials developed over time, as well 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ach burial gr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ttempts are made to trace the internal consolidation process of Saro-guk, which was based in the Gyeongju region, around the time at which it developed into the Silla state. The Gyeongju region consists of a central basin zone, through which flows the Hyeongsan River, and four local valley zones formed by the main stream and tributaries of the Hyeongsan River. From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Incipient Silla period, burial grounds came to be established and maintained in all of the zones; of these,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was the paramount burial ground. From the end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differentiation between burial grounds began to emerge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wooden chamber burial, and this differentiation became more pronounced during the Incipient Silla period. This differentiation involved burial chamber structure, with the type of wooden chamber burial consisting of a main burial chamber and an additional grave goods compartment located in a separate pit (異穴主副槨式) used only at the Wolseong-ro North Burial Ground. In contrast to this, even the higher ranked burials of the other burial grounds consisted only of wooden chamber burials which had the additional grave goods compartment located within the same pit as the main burial chamber (同穴主副槨式) or wooden chamber burials featuring only the main burial chamber, albeit larger in scale. Inter-site variation in terms of the architecture of the wooden burial chamber and the grave goods assemblage could also be observed in the case of some sites.
      The wooden chamber buri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burial chamber size, and in conjunction with the grave goods assemblage, five ranks were established for the burials. Diachronic change could be observed at the burial grounds, in terms of the rank composition of the burials and the location of the differently sized burials within the burial ground. This can be seen to be associated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groups that established the respective burial grounds by the central political group of Saro-guk, as represented by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The majority of the burial grounds witnessed a reduction in burial chamber scale and a sharp decrease in the quantity of grave goods, indicating that this political re-organization was accompanied by a marked decline in the status of the relevant groups. However, in the case of the burial grounds of the south-eastern zone, neighboring the Ulsan region, the opposite was observed. It may be that these specific groups had received the backing of the central political group, either temporarily or for a considerable length of time, according to the strategic needs of this central group.
      It can thus be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wooden chamber burials of the Gyeongju region of the Incipient Silla period well represents the process of internal consolidation of Saro-guk. Differentiation between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and the other burial grounds, as well as differentiation amongst the latter, which emerged around the dawn of the Incipient Silla period and became more marked over time, can be seen to represent the different types of relationships of control that were established between the central political group and the political groups of each burial grou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韓國文化財保護財團, "포항 마산리 149-4번지 유적" 2013

      2 지윤미, "충전석목곽묘의구조변화와 성격 검토- 경주, 포항, 울산지역 목곽묘를 중심으로 -" 중앙문화재연구원 (7) : 125-162, 2010

      3 최병현, "신라후기양식토기의 편년" 영남고고학회 (59) : 111-174, 2011

      4 이한상, "신라사회를 지탱한 야장들의 유택" 국립무화재연구소 2010

      5 최병현, "신라 조기양식토기의 설정과 편년" 영남고고학회 (63) : 105-156, 2012

      6 崔秉鉉, "신라 왕릉의 묘제와 내부구조의 변천, 신라왕릉 III—학술연구보고서—" 경주시ㆍ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3

      7 차순철, "동혈주부곽식 목곽묘 연구 : 낙동강동안지역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1999

      8 崔秉鉉,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9 이재흥, "경주지역 적석목곽묘의 출현과정에 대한 일고찰" 영남고고학회 (43) : 33-57, 2007

      10 장기명, "경주지역 원삼국시대 분묘의 철기부장유형과 위계" 한국고고학회 (92) : 80-123, 2014

      1 韓國文化財保護財團, "포항 마산리 149-4번지 유적" 2013

      2 지윤미, "충전석목곽묘의구조변화와 성격 검토- 경주, 포항, 울산지역 목곽묘를 중심으로 -" 중앙문화재연구원 (7) : 125-162, 2010

      3 최병현, "신라후기양식토기의 편년" 영남고고학회 (59) : 111-174, 2011

      4 이한상, "신라사회를 지탱한 야장들의 유택" 국립무화재연구소 2010

      5 최병현, "신라 조기양식토기의 설정과 편년" 영남고고학회 (63) : 105-156, 2012

      6 崔秉鉉, "신라 왕릉의 묘제와 내부구조의 변천, 신라왕릉 III—학술연구보고서—" 경주시ㆍ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3

      7 차순철, "동혈주부곽식 목곽묘 연구 : 낙동강동안지역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1999

      8 崔秉鉉,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9 이재흥, "경주지역 적석목곽묘의 출현과정에 대한 일고찰" 영남고고학회 (43) : 33-57, 2007

      10 장기명, "경주지역 원삼국시대 분묘의 철기부장유형과 위계" 한국고고학회 (92) : 80-123, 2014

      11 최병현, "경주지역 신라 횡혈식석실분의 계층성과 고분 구조의 변천" 한국고고학회 (83) : 80-129, 2012

      12 嶺南文化財硏究院, "경주 황성동 공동주택 건설부지 내 慶州 隍城洞 575番地 古墳群" 영문연 2010

      13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황성동 634-1번유적,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 경문연 1998

      14 문화재청, "경주 쪽샘유적"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발굴조사성과 2010

      15 최병현,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형성과정과 신라 마립간시기 왕릉의 배치" 한국고고학회 (90) : 120-163, 2014

      16 東國大學校慶州캠퍼스博物館, "隍城洞古墳群" 동국대 2002

      17 慶星大學校博物館, "金海大成洞古墳群 II" 2000

      18 昌原大學校博物館, "蔚山中山里遺蹟 I—현대자동차 근로자주택 부지내 유적—" 2006

      19 昌原大學校博物館, "蔚山中山里遺蹟 II—중산리 택지조성지역내 유적 외—" 2006

      20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中山洞古墳群" 2011

      21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山中山洞542遺蹟" 2011

      22 이성주, "蔚山 中山里遺蹟 發掘을 通하여 본 新羅墓制의 起源" 영남고고학회 1992

      23 李熙濬,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刊行委員會 1996

      24 李賢珠, "石軒鄭澄元敎授停年退任記念論叢" 釜山考古學硏究會 2006

      25 嶺南文化財硏究院, "浦項玉城里古墳群 I—나지구—" 1998

      26 김두철, "棺床과 前期加耶의 墓制" 한국고고학회 (75) : 126-169, 2010

      27 釜山大學校博物館, "東萊福泉洞古墳群 第2次 調査槪報" 1989

      28 李熙濬, "東アジアと日本の考古學 I" 同成社 2001

      29 이성주, "新羅式 木槨墓의 展開와 意義, 신라고고학의 제문제" 韓國考古學會 1996

      30 崔秉鉉, "新羅古墳硏究" 一志社 1992

      31 崔秉鉉, "新羅 積石木槨墳의 起源 再論" 崇實大學校 史學會 12 : 1998

      32 慶州大學校博物館, "慶州隍城洞古墳群 III" 경주대

      33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舍羅里遺蹟 III—木槨墓ㆍ甕棺墓—" 2007

      34 國立慶州博物館, "慶州竹東里古墳群" 1998

      35 國立慶州博物館, "慶州朝陽洞遺蹟 II" 2003

      36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德泉里遺蹟 IV" 2009

      37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德泉里遺蹟 III" 2009

      38 國立慶州博物館, "慶州市月城路古墳群" 1990

      39 신라문화유산연구원, "慶州奉吉里遺蹟—방사성폐기물 처리시설 건설부지내 유적" 2010

      40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九於里古墳群 II—木槨墓—" 2011

      41 國立慶州博物館, "慶州九政洞古墳" 2006

      42 韓國文化財保護財團, "慶州 隍城洞 遺蹟 II—江邊路 3-A工區 開設區間內 發掘調査 報告書—" 2005

      43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 花川里 山 251-1 遺蹟" 2012

      44 신라문화유산연구원, "慶州 東山里遺蹟 II-2—삼국시대—" 2010

      45 中央文化財硏究院, "慶州 德泉里古墳群" 2005

      46 신라문화유산연구원, "慶州 士方里 古墳群" 2010

      47 國立慶州博物館, "慶州 千軍洞 避幕遺蹟" 1999

      48 金大煥, "嶺南地方 積石木槨墓의 時空的 變遷" 嶺南考古學會 29 : 2001

      49 이재현, "古代 東南海岸의 墓制樣相—木棺墓에서 木槨墓까지, 고대의 동남해안 국가형성" 복천박물관 2004

      50 申敬澈, "伽耶と古代東アジア" 新人物往來社 1993

      51 최병현, "5세기 신라 전기양식토기의 편년과 신라토기 전개의 정치적 함의" 중부고고학회 13 (13): 159-229, 2014

      52 최병현, "5세기 신라 전기양식토기의 편년과 신라토기 전개의 정치적 함의" 중부고고학회 13 (13): 159-229,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9 1.49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2 1.4 2.51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