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혁필화 연구 = A Study on the “HyukPil-hwa” in the Late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70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yuk-pil-hwa, a type of character diagram, is a diagram of picture and a letter together. It is a formative style of various forms in the Chinese culture. This form, in which the paintings and letters with a specific meaning are in contact with the culture of the time, is a unique formative style seen in the East Asian culture where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as origin. This paper explores the unique styles of the Hyuk-pil-hwa through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dentifies the stages of change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on and diffusion. And by identifying the stages of chang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 diagram or Hyo jae-do, it is meaningful to grasp the prognostic relationship.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econo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created a new class called the Joong in (kind of a government expert in Joseon Dynasty). This has brought many changes to the Confucian concept of farming and commerce, and the people who have risen to their status with their financial resources wanted to enjoy their privilege like the culture of the ruling class, showing their talents as well as the ruling class.
      Starting from this social background, Hyuk-pil-hwa highlighted the meaning which wish someone’s good luck in the process of the passed the ruling class culture, Royal court decorative painting (Minhwa character picture), on the private sector, and applied to various areas in each region, showing the low change of the people of the aromatic amines.
      Paintings and patterns are symbolic of the desire of the life main agentat that time.And in the process of scheming, it reflects the epic and wishat that time, and changes form and symbol meanings occur over time2).
      However, it is true that the case investigation is lacking, such as whether it can be used as a symbolism or a social commitment system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a character picture to a Hyuk pil-hwa, and whether it is all right to use the painting itself as a symbol.It is also aassignment to think about formative features and aesthetics.
      번역하기

      Hyuk-pil-hwa, a type of character diagram, is a diagram of picture and a letter together. It is a formative style of various forms in the Chinese culture. This form, in which the paintings and letters with a specific meaning are in contact with the cu...

      Hyuk-pil-hwa, a type of character diagram, is a diagram of picture and a letter together. It is a formative style of various forms in the Chinese culture. This form, in which the paintings and letters with a specific meaning are in contact with the culture of the time, is a unique formative style seen in the East Asian culture where Chinese characters were used as origin. This paper explores the unique styles of the Hyuk-pil-hwa through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dentifies the stages of change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on and diffusion. And by identifying the stages of chang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 diagram or Hyo jae-do, it is meaningful to grasp the prognostic relationship.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econo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created a new class called the Joong in (kind of a government expert in Joseon Dynasty). This has brought many changes to the Confucian concept of farming and commerce, and the people who have risen to their status with their financial resources wanted to enjoy their privilege like the culture of the ruling class, showing their talents as well as the ruling class.
      Starting from this social background, Hyuk-pil-hwa highlighted the meaning which wish someone’s good luck in the process of the passed the ruling class culture, Royal court decorative painting (Minhwa character picture), on the private sector, and applied to various areas in each region, showing the low change of the people of the aromatic amines.
      Paintings and patterns are symbolic of the desire of the life main agentat that time.And in the process of scheming, it reflects the epic and wishat that time, and changes form and symbol meanings occur over time2).
      However, it is true that the case investigation is lacking, such as whether it can be used as a symbolism or a social commitment system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a character picture to a Hyuk pil-hwa, and whether it is all right to use the painting itself as a symbol.It is also aassignment to think about formative features and aesthet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자도(文字圖)의 한 유형인 혁필화(革筆畵)는 그림과 문자가 함께 도안화된 것이다. 특정한 의미가 담긴 회화와문자가 당대의 문화와 맞닿아 문양같이 이루어진 이러한 형식은 한문(漢文)을 모체로 사용하였던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에서 보이는 독특한 조형양식이다.
      본고에서는 혁필화(革筆畵)의 독특한 양식에 대하여 조선후기 사회적 배경을 통해 찾아보고 생성과정과 확산, 문자도(文字圖)나 효제도와의 관계를 통해 변화하는 단계를 구분지어 봄으로서 그 선후관계를 파악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조선 후기 사회, 경제의 발달은 중인이라는 새로운 계층을 만들어 내었다. 이로 인해 유교적 사농공상(士農工商) 의 관념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재력으로 신분상승을 이룬 이들은 지배계급 못지않은 그들의 소양을 드러내며, 지배계급의 문화를 향유하기 원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시작된 혁필화(文字圖)는 지배계급의 문화인 궁중장식화(민화문자도民畵文字圖)가 민간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기복(祈福)적인 의미가 강조되었고, 각 지역에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형태의 변형이 이루어져 향유계층의 저변화를 보여준다.
      그림이나 문양은 당대를 살았던 생활주체의 염원을 조형(造形)한 것으로 상징성을 갖는다. 또한 도식화하는 과정에서 당대의 서사(敍事)와 여원(輿願)을 반영하며1) 정착하고 시대에 따라 형태와 상징의미에 변화가 생긴다.
      그러나 문자도(文字圖)에서 혁필화(文字圖)로 변하는 과정중에 어떤 상징성이 생겼거나 사회적인 약속체제로 쓰였었는지, 혹은 문자도(文字圖), 혁필화(文字圖) 자체를 문양으로 보아도 무방한지 등에 대해서는 사례조사가 부족하며, 조형적 특징과 미의식에 대하여도 생각해봐야 할 과제이다.
      번역하기

      문자도(文字圖)의 한 유형인 혁필화(革筆畵)는 그림과 문자가 함께 도안화된 것이다. 특정한 의미가 담긴 회화와문자가 당대의 문화와 맞닿아 문양같이 이루어진 이러한 형식은 한문(漢文)...

      문자도(文字圖)의 한 유형인 혁필화(革筆畵)는 그림과 문자가 함께 도안화된 것이다. 특정한 의미가 담긴 회화와문자가 당대의 문화와 맞닿아 문양같이 이루어진 이러한 형식은 한문(漢文)을 모체로 사용하였던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漢字文化圈)에서 보이는 독특한 조형양식이다.
      본고에서는 혁필화(革筆畵)의 독특한 양식에 대하여 조선후기 사회적 배경을 통해 찾아보고 생성과정과 확산, 문자도(文字圖)나 효제도와의 관계를 통해 변화하는 단계를 구분지어 봄으로서 그 선후관계를 파악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조선 후기 사회, 경제의 발달은 중인이라는 새로운 계층을 만들어 내었다. 이로 인해 유교적 사농공상(士農工商) 의 관념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재력으로 신분상승을 이룬 이들은 지배계급 못지않은 그들의 소양을 드러내며, 지배계급의 문화를 향유하기 원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시작된 혁필화(文字圖)는 지배계급의 문화인 궁중장식화(민화문자도民畵文字圖)가 민간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기복(祈福)적인 의미가 강조되었고, 각 지역에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형태의 변형이 이루어져 향유계층의 저변화를 보여준다.
      그림이나 문양은 당대를 살았던 생활주체의 염원을 조형(造形)한 것으로 상징성을 갖는다. 또한 도식화하는 과정에서 당대의 서사(敍事)와 여원(輿願)을 반영하며1) 정착하고 시대에 따라 형태와 상징의미에 변화가 생긴다.
      그러나 문자도(文字圖)에서 혁필화(文字圖)로 변하는 과정중에 어떤 상징성이 생겼거나 사회적인 약속체제로 쓰였었는지, 혹은 문자도(文字圖), 혁필화(文字圖) 자체를 문양으로 보아도 무방한지 등에 대해서는 사례조사가 부족하며, 조형적 특징과 미의식에 대하여도 생각해봐야 할 과제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연, "효제도" 1972

      2 허균, "허균의 우리 민화 읽기" 북폴리오 2006

      3 이세영, "한자문화권에서의 문자도 연구 :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1

      4 이동주, "한국회화사론" 열화당

      5 유장웅, "한국전통민화 중 문자도에 관한 고찰 : 효제문자도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9

      6 윤열수, "한국의 호랑이" 열화당 1986

      7 윤열수, "한국의 문자도" 삼척시립박물관 2005

      8 홍선표, "한국사: 35 조선후기의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9 최 열, "한국미술사 사전" 열화당

      10 이석래, "풍속가사집" 신병문화사 1974

      1 김호연, "효제도" 1972

      2 허균, "허균의 우리 민화 읽기" 북폴리오 2006

      3 이세영, "한자문화권에서의 문자도 연구 :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1

      4 이동주, "한국회화사론" 열화당

      5 유장웅, "한국전통민화 중 문자도에 관한 고찰 : 효제문자도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9

      6 윤열수, "한국의 호랑이" 열화당 1986

      7 윤열수, "한국의 문자도" 삼척시립박물관 2005

      8 홍선표, "한국사: 35 조선후기의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9 최 열, "한국미술사 사전" 열화당

      10 이석래, "풍속가사집" 신병문화사 1974

      11 최공호, "최공호-한국 근대 문양의 시각문화적 성격 - 상징의 변화과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0 : 2002

      12 양신방, "중국서예80제" 동문선 1997

      13 이명구, "조선후기 혁화의 그래픽 콘텐츠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6 (16): 4-46, 2003

      14 강만길, "조선후기 상업구조의 변화" 7 (7): 205-231, 1972

      15 최정심, "조선후기 비백서에 대한 고찰 : 효제도에서 혁필화로 이르는 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0

      16 "조선조 민화에 나타난 효제도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1978

      17 嚴素姸, "조선시대 후기 民畵文字圖에 표현된 美意識:孝悌文字圖를 中心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18 이봄빛, "조선시대 효제문자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19 이수경, "조선시대 효자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0 홍선표, "조선시대 회화사론" 문예출판사

      21 이영화, "조선시대 조선사람들" 가람기획

      22 河秀京, "조선시대 가정교육과 문자도" 한국종교교육학회 17 : 223-243, 2003

      23 홍석모, "조선세시기" 東文選

      24 "익살과 재치 - 꿈꾸는 우리 민화" 경기도 박물관 2004

      25 이완우, "원교(圓嶠)이광사(李匡師)의 서예" (190-191 합) :

      26 이기열,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2019

      27 민상덕, "서예백문백답" 미진사

      28 김용권, "민화의 원류 조선시대 세화" 학연사

      29 야나기 무네요시, "민화문자도전" 동산방 1988

      30 이태호, "민화문자도" 동산방화랑

      31 "민화대전집"

      32 조자용, "민화걸작전" 호암미술관

      33 진준현, "민화 문자도의 의마와 사회적 역할"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04

      34 조르주 장, "문자의 역사" 시공사 58-168, 2002

      35 윤열수, "문자도를 통해 본 민화의 지역적 특성과 작가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36 "문자도" 대원사

      37 선문대학교 박물관, "명풍도록"

      38 최병식, "동양회화미학: 수묵미학의 형성과 전개" 동문선 102-,

      39 이명구, "동양의 타이포그라피 문자도" Leedia 2005

      40 "동양의 타이포그라피 문자도" Leedia 2005

      41 윤열수, "꿈꾸는 우리 민화" 보림출판사 2005

      42 안휘준, "꿈과 사랑 - 매혹의 우리 민화" 호암미술관 1989

      43 "국립민속박물관"

      44 이우환, "구조로서의 민화" 1977

      45 이정아, "革筆文字에 대한 硏究"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2000

      46 趙淑賢, "朝鮮朝 民畵에 나타난 효제도에 관한 硏究" 弘益大學校 大學院 1979

      47 이영주, "朝鮮後期 文字圖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8 洪淳泌, "『原本小學集註』 卷5" 조선도서주식회사 6-, 1921

      49 "[圖 9] 혁화, 35.5×71cm"

      50 "[圖 8] 효제도(혁화), 26×44cm"

      51 "[圖 7] 효제문자도, 각 69.7×34.6cm, 지본채색"

      52 "[圖 6] 효제문자도, 8폭 병풍 각 74.2×42.2cm, 지본채색"

      53 "[圖 5] 혁화, 36×88.3cm, 지본수묵"

      54 "[圖 4] 혁화, 53.8×104cm, 지본수묵"

      55 "[圖 3]혁화, 각 35.5×71cm, 지본수묵"

      56 "[圖 2] 혁화, 92×33.4cm, 지본수묵"

      57 "[圖 1] 원교 이광사, 비백체, 각 19.9×11.3cm 지본"

      58 "[圖 13] 문자도, 4폭병풍, 각30×77cm,지본수묵"

      59 "[圖 12] 혁화, 각 39.5×105cm, 지본수묵"

      60 "[圖 11] 혁필문자도 8폭 병풍, 자본수묵, 각 58.7×26cm"

      61 "[圖 10] 비백서, 47.5 ×28 cm"

      62 윤열수, "KOREAN Art Book-민화1" 예경

      63 홍선표, "19세기 閭巷文人들의 회화활동과 창착성향" 한국미술연구소 1 : 198-,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