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호연, "효제도" 1972
2 허균, "허균의 우리 민화 읽기" 북폴리오 2006
3 이세영, "한자문화권에서의 문자도 연구 :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1
4 이동주, "한국회화사론" 열화당
5 유장웅, "한국전통민화 중 문자도에 관한 고찰 : 효제문자도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9
6 윤열수, "한국의 호랑이" 열화당 1986
7 윤열수, "한국의 문자도" 삼척시립박물관 2005
8 홍선표, "한국사: 35 조선후기의 문화" 국사편찬위원회
9 최 열, "한국미술사 사전" 열화당
10 이석래, "풍속가사집" 신병문화사 1974
11 최공호, "최공호-한국 근대 문양의 시각문화적 성격 - 상징의 변화과정"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0 : 2002
12 양신방, "중국서예80제" 동문선 1997
13 이명구, "조선후기 혁화의 그래픽 콘텐츠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6 (16): 4-46, 2003
14 강만길, "조선후기 상업구조의 변화" 7 (7): 205-231, 1972
15 최정심, "조선후기 비백서에 대한 고찰 : 효제도에서 혁필화로 이르는 과정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0
16 "조선조 민화에 나타난 효제도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1978
17 嚴素姸, "조선시대 후기 民畵文字圖에 표현된 美意識:孝悌文字圖를 中心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18 이봄빛, "조선시대 효제문자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19 이수경, "조선시대 효자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0 홍선표, "조선시대 회화사론" 문예출판사
21 이영화, "조선시대 조선사람들" 가람기획
22 河秀京, "조선시대 가정교육과 문자도" 한국종교교육학회 17 : 223-243, 2003
23 홍석모, "조선세시기" 東文選
24 "익살과 재치 - 꿈꾸는 우리 민화" 경기도 박물관 2004
25 이완우, "원교(圓嶠)이광사(李匡師)의 서예" (190-191 합) :
26 이기열,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2019
27 민상덕, "서예백문백답" 미진사
28 김용권, "민화의 원류 조선시대 세화" 학연사
29 야나기 무네요시, "민화문자도전" 동산방 1988
30 이태호, "민화문자도" 동산방화랑
31 "민화대전집"
32 조자용, "민화걸작전" 호암미술관
33 진준현, "민화 문자도의 의마와 사회적 역할"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04
34 조르주 장, "문자의 역사" 시공사 58-168, 2002
35 윤열수, "문자도를 통해 본 민화의 지역적 특성과 작가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36 "문자도" 대원사
37 선문대학교 박물관, "명풍도록"
38 최병식, "동양회화미학: 수묵미학의 형성과 전개" 동문선 102-,
39 이명구, "동양의 타이포그라피 문자도" Leedia 2005
40 "동양의 타이포그라피 문자도" Leedia 2005
41 윤열수, "꿈꾸는 우리 민화" 보림출판사 2005
42 안휘준, "꿈과 사랑 - 매혹의 우리 민화" 호암미술관 1989
43 "국립민속박물관"
44 이우환, "구조로서의 민화" 1977
45 이정아, "革筆文字에 대한 硏究"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2000
46 趙淑賢, "朝鮮朝 民畵에 나타난 효제도에 관한 硏究" 弘益大學校 大學院 1979
47 이영주, "朝鮮後期 文字圖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48 洪淳泌, "『原本小學集註』 卷5" 조선도서주식회사 6-, 1921
49 "[圖 9] 혁화, 35.5×71cm"
50 "[圖 8] 효제도(혁화), 26×44cm"
51 "[圖 7] 효제문자도, 각 69.7×34.6cm, 지본채색"
52 "[圖 6] 효제문자도, 8폭 병풍 각 74.2×42.2cm, 지본채색"
53 "[圖 5] 혁화, 36×88.3cm, 지본수묵"
54 "[圖 4] 혁화, 53.8×104cm, 지본수묵"
55 "[圖 3]혁화, 각 35.5×71cm, 지본수묵"
56 "[圖 2] 혁화, 92×33.4cm, 지본수묵"
57 "[圖 1] 원교 이광사, 비백체, 각 19.9×11.3cm 지본"
58 "[圖 13] 문자도, 4폭병풍, 각30×77cm,지본수묵"
59 "[圖 12] 혁화, 각 39.5×105cm, 지본수묵"
60 "[圖 11] 혁필문자도 8폭 병풍, 자본수묵, 각 58.7×26cm"
61 "[圖 10] 비백서, 47.5 ×28 cm"
62 윤열수, "KOREAN Art Book-민화1" 예경
63 홍선표, "19세기 閭巷文人들의 회화활동과 창착성향" 한국미술연구소 1 : 198-,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