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축제이벤트에서의 전통향토 음식체험관광에 대한 관광동기가 기대도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체험이벤트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30489
2011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434-448(15쪽)
4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축제이벤트에서의 전통향토 음식체험관광에 대한 관광동기가 기대도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체험이벤트에...
본 연구는 축제이벤트에서의 전통향토 음식체험관광에 대한 관광동기가 기대도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체험이벤트에서의 음식체험관광 관 광동기가 관광상품에 대한 기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류성, 교육성, 심미성, 탈일탈성, 모험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역애착에는 교류성, 교육성, 심미성, 탈일탈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상품에 대한 기대도가 지역애착 및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애착이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축제 이벤트를 통한 전통음식의 관광자원화가 얻을 수 있는 관광적 가치로 음식관광자원을 다양하게 개발함으로써 관광객들에게 고유한 음식문화를 소개하고, 동시에 미식의 즐거움이나 관광의 즐거움을 더해 줄 수 있으며, 지역의 향토음식을 보존, 계승 및 발전시킬 수 있어 향토애가 높아지고 관련 산업의 발전으로 경제 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ourism motivation for traditional indigenous foods experience tourism on expectation, community attachment and tourism satisfaction in festival event. The result is as fo...
In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ourism motivation for traditional indigenous foods experience tourism on expectation, community attachment and tourism satisfaction in festival even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ourism motivation for foods experience tourism on expectation of tourism products in experience event showed that exchangeable, educational, aesthetic, derivative and adventurous attributes have a positive effect on expectation of tourism products. Second, the effect of tourism motivation for foods experience tourism on community attachment in experience event showed that exchangeable, educational, aesthetic and derivative attribut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unity attachment. Finally, expectation of tourism products and community attach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ty attachment and tourism satisfaction, and tourism satisfaction, respectively. Tha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various food tourism resources as the tourist value, which can get tourism resources of traditional foods through festival events, could not only introduce tourists to unique food culture, but add the pleasure of delicious food and tourism. Consequently, the preservation,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regional indigenous foods could increased local patriotism, and develop the related industry, maximizing economic effec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진, "향토음식의 인지도 및 기호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 대학원 2005
2 이춘자, "향토음식과 관광문화 서울․경기의 향토음식과 발전방향" 2001
3 권세정, "향토음식 개발 및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19 (19): 49-60, 2004
4 서윤정,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경주대학교 대학원 2005
5 최영준, "한국 음식문화의 관광상품화 방안" 6 (6): 157-166, 2007
6 이연주, "축제 유형에 따른 방문동기 및 만족도의 비교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7 이현종, "체험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목적지유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제철, "인물관광지의 방문동기 측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1995
9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음식관광 산업화 촉진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10 하미옥,울산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조사연구, "영남대학교대학원" 영남대학교 2005
1 이승진, "향토음식의 인지도 및 기호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 대학원 2005
2 이춘자, "향토음식과 관광문화 서울․경기의 향토음식과 발전방향" 2001
3 권세정, "향토음식 개발 및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19 (19): 49-60, 2004
4 서윤정,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경주대학교 대학원 2005
5 최영준, "한국 음식문화의 관광상품화 방안" 6 (6): 157-166, 2007
6 이연주, "축제 유형에 따른 방문동기 및 만족도의 비교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7 이현종, "체험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목적지유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제철, "인물관광지의 방문동기 측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1995
9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음식관광 산업화 촉진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6
10 하미옥,울산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조사연구, "영남대학교대학원" 영남대학교 2005
11 성영신, "여가 경험의 심리적 의미" 9 (9): 17-40, 1996
12 이경진, "안동지역 청소년들의 향토음식에 대한 인지도 기호도 조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 대학원 2002
13 이학식, "소비자행동: 마케팅 전략적 접근" 법문사 1997
14 박종진, "보성 녹차밭 관광객의 행태 및 만족도 분석" 우송대학교 대학원 2004
15 조정민, "문화콘텐츠 이용동기와 만족도가 재방 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0
16 김영주, "문화관광지의 교육적 체험이 관광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7 손대현, "메가 이벤트의 방문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12 (12): 149-166, 2000
18 오민재, "드라마 촬영지 관광객의 이미지에 따른 관광동기 유형별 포지셔닝 연구" 경희대학교 2006
19 장해진, "국내 외 전통음식 관련 관광상품의 현황 분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 (19): 392-398, 2004
20 김복일, "광주․전남지역 향토음식의 관광 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2 (2): 195-226, 1998
21 고동우, "관광의 심리적 체험과 만족감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8
22 신재익, "관광목적지의 물리적 환경단서, 이미지, 만족, 재구매의도 간의 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5
23 홍수희, "관광객 만족 및 반응의 관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3
24 이유재, "고객만족의 정의 및 측정에 관한 연구" 29 (29): 145-168, 1995
25 손영진, "경기지방 향토음식의 관광 상품화 개발 필요성 조사" 21 : 211-226, 2005
26 이효선, "개인가치와 관광체험추구성향이 관광체험상품 선정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27 이영주, "강원도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2007
28 C. M. Hall, "Wine and Food Tourism, In Special Interest Tourism" Wiley 307-329, 2001
29 R. C. Mill, "Tourism: The International Business" Prentice-Hall, Inc 1990
30 A. M. Hjalager, "Tourism and Gastronomy(First ed.)" Routledge 2002
31 C. M. Hall, "The consumption of experiences or the experience of consumption An introduction to the tourism of taste,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and markets" Bitterworth -Heineman 2003
32 K. A. Bollen,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Publication 1993
33 M. A, Schuett, "Refining measures of adventure recreation involvement" 15 (15): 205-216, 1993
34 R. C. Mannell, "Psychological nature of leisure and tourism experience" 14 : 314-331, 1987
35 G. T. Kyle, "Predictors or behavioral loyalty among hikers along the appalachian trail" 26 (26): 99-118, 2004
36 S. H. Um, "Measuring resident' attachment levels in a host community" 26 (26): 27-29, 1987
37 M. E. Havitz, "Leisure involvement revisited: Measurement advances and conceptual conundrums and measurement advances" 29 (29): 245-278, 1997
38 J. W. Lounsbury, "Leisure Needs and Vacation Satisfaction" 14 (14): 105-119, 1992
39 N. McIntyre, "Involvement in rist recreation: a comparison of objective and subjective measures of engagement" 24 (24): 64-71, 1992
40 D. J. Telfer, "Food tourism in the Niagara region: the development of a nouvelle cuisine, In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Butterworth Heinemann 158-177, 2003
41 S. S. Shenoy, "Food Tourism and The Culinary Tourist" Clemson University 2005
42 S. W. Selin, "Ego involvement and leisure behavior: a conceptual specification" 20 (20): 237-244, 1988
43 S. F. McCool, "Community attachment and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32 (32): 29-34, 1994
44 R. L. Oliver,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17 (17): 460-469, 1980
경추 및 흉추부 스트레칭 운동과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이 머리전방자세에 미치는 효과
경인지역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의사소통 능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