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nterococci의 안전성 영향 인자에 대한 연구 = Study of safety aspects of enterococc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08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Enterococci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인간과 동물의 장내 미생물 균형을 향상시키고 위장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Enterococci는 병원성 감염의 주요 원인 균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환경에서(의약품, 신생아의 분변,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 표준 균주)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와 Enterococcus faecium 균주를 대상으로 위해성 유전자(ace, agg, cpd, cob, ccf, gelE, sprE, fsrA․B․C, cylM․B․A, esp, efaAfs, efaAfm, vanA․B․D)를 PCR 로 분석하고 위해성 인자(gelatinase, serine protease, hemolysis, biofilm, pheromone & clumping)와 유해효소(urease, lipase, DNase, coagulase, nitrate reductase, thiosulfate reductase, azoreductase)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한 생화학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정맥 감염 동물모델을 통해 위해성과 조직병리학을 비교하여 다른 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의약품에서 분리한 균주와 동아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분양받은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는 E. faecium 균주이고 신생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균주는 E. faecium로 동정되었다. 의약품에서 분리한 균주 중 두 균주는 E. facalis라고 알려져 있었지만 실험 결과 E. faecium인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신생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균주에서 많은 위해성 유전자가 확인되었고, 의약품에서 분리한 균주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그리고 의약품에서 분리한 균주를 제외한 모든 균주들이 azoreduct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Azoreductase를 제외한 다른 유해효소 활성을 보이는 균주는 없었다. 동물 실험 결과,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 감염과 신생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균주 감염에서 신장 및 간 조직 괴사와 백혈구 수치 증가가 확인되었고, 장기와 혈액에서 균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E. faecalis 균주가 E. faecium 균주보다 위해성 인자가 더 많았으며 의약품에서 분리한 균주들이 다른 균주들에 비해 위해성 인자도 적고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Enterococci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인간과 동물의 장내 미생물 균형을 향상시키고 위장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Enterococci는 병원성 감염의 주요 원인 균주로 보고되고 ...

      Enterococci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인간과 동물의 장내 미생물 균형을 향상시키고 위장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Enterococci는 병원성 감염의 주요 원인 균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환경에서(의약품, 신생아의 분변,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 표준 균주)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와 Enterococcus faecium 균주를 대상으로 위해성 유전자(ace, agg, cpd, cob, ccf, gelE, sprE, fsrA․B․C, cylM․B․A, esp, efaAfs, efaAfm, vanA․B․D)를 PCR 로 분석하고 위해성 인자(gelatinase, serine protease, hemolysis, biofilm, pheromone & clumping)와 유해효소(urease, lipase, DNase, coagulase, nitrate reductase, thiosulfate reductase, azoreductase)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한 생화학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정맥 감염 동물모델을 통해 위해성과 조직병리학을 비교하여 다른 환경에서 분리한 Enterococci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의약품에서 분리한 균주와 동아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분양받은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는 E. faecium 균주이고 신생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균주는 E. faecium로 동정되었다. 의약품에서 분리한 균주 중 두 균주는 E. facalis라고 알려져 있었지만 실험 결과 E. faecium인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신생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균주에서 많은 위해성 유전자가 확인되었고, 의약품에서 분리한 균주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그리고 의약품에서 분리한 균주를 제외한 모든 균주들이 azoreduct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Azoreductase를 제외한 다른 유해효소 활성을 보이는 균주는 없었다. 동물 실험 결과, 반코마이신 내성 균주 감염과 신생아의 분변에서 분리한 균주 감염에서 신장 및 간 조직 괴사와 백혈구 수치 증가가 확인되었고, 장기와 혈액에서 균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E. faecalis 균주가 E. faecium 균주보다 위해성 인자가 더 많았으며 의약품에서 분리한 균주들이 다른 균주들에 비해 위해성 인자도 적고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