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후반부터 급속하게 발달한 정보화의 영향은 이미 사회에 미치는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정보의 교류, 획득, 사용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수많은 변화를 안겨 주고 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7934292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2001
한국어
정보화 ; 교과 과정 ; 보건행정학 ; Curriculum
517.1 판사항(4)
서울
vi, 73p. : 도표 ; 26 cm .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후반부터 급속하게 발달한 정보화의 영향은 이미 사회에 미치는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정보의 교류, 획득, 사용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수많은 변화를 안겨 주고 있다. ...
20세기 후반부터 급속하게 발달한 정보화의 영향은 이미 사회에 미치는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정보의 교류, 획득, 사용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수많은 변화를 안겨 주고 있다. 보건 의료 분야도 이러한 영향으로부터 예외 일 수 없다. 단적으로, 보건 의료 전문인 양성 과정 또한 그렇다.
따라서,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보건행정학 교과 과정을 위해서는 현 교과 과정의 평가와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행정학과 학부 교과 과정과 대학원 교과 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부 교과 과정에서는 전공 교과목에 대한 유용성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0년 10월 27일부터 11월 13일 까지 우편 설문과 그룹 설문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전수는 170명이었으며 응답은 100명이었다. 이외에 1983년도 이후에 학부 과정 개설 교과목 자료와 국내외 대학 개설 교과목 및 교수님 서면 인터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건행정학 관련 학과의 교육 목표는 정보화시대에 맞게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 있다.「보건의료현장에서 건강을 관리하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정보기술 활용 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자연과학 지식의 관련 이론과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섭렵한 인력을 배출하는 것」이다.
2. 학부과정 전공 교과목의 유용성 설문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교과목이 보건의료 현장에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정보화 시대에 알맞게 교과 과정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3. 대학원 과정의 전공 교과목은 국내외 타 대학원과 비교하여 그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시대에 보건행정학 전공 이수자들이 종사해야 할 분야로는 ‘보건교육자 및 연구원’으로 나타났다.
교과 과정의 개선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1. 학과 차원의 중점 분야 선택하고 장기 발전 계획을 설립, 추진한다.
2. 전공 교과목 선정에 신중을 기하고 필수 과목의 폭을 넓힌다.
3. 컴퓨터 교과목을 확대하여 그 활용 능력을 배양한다.
4. 각 교과목의 문제점을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개선한다.
5. 대학원 교과목을 늘려서 다양한 세부 분야를 연구하도록 독려한다.
위와 같은 개선 방안은 교과 과정을 다양한 측면 즉, 학습 시설 및 장비와 기타 교육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전공 교과목 및 설문 조사 위주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ety of Information Age is influenced by interchange, acquisition and use of information related digital. Fields of health care cannot be excluded from this current. It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related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he purpo...
Society of Information Age is influenced by interchange, acquisition and use of information related digital. Fields of health care cannot be excluded from this current. It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related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improve curriculum in the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this study, analysis has two parts: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 curriculum.
Data was used in this various ways for analysis.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utility of subjects wi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registering and graduates from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in Yonsei university in two ways: mailing and grouping survey.
The number surveyed was 170 and 100 of them was used. At same time, curriculum related Health Administration from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was collected.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ducational goal related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is modified properly.
2. Utility of major subjects is preferable but respondents answered that curriculum must be improved.
3. Curriculum of graduate courses have a slender number of major subjects relatively to those of other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It will be required to set plans for improving utility of current curriculum as follows:
1. It must be established and driven long-term development plan
2.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select out major subjects.
3. Subjects related computing must be increased and used in practically.
4. Problems found from each subjects must be improved.
5. Increasing to various major subjects in undergraduate courses curriculum will encourage to students in studying major fields in detail.
목차 (Table of Contents)
대학정보화 클라우드 캠퍼스 환경 도입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김명주폴리매스형 인재를 위한 교과과정은
신한대학교 신종우2014 KERIS 교육정보화 심포지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차상균, 이의길, 이영호, 임철일, 이수지, 정우열, 변용완, 황윤진, 손범택, 남기량, 정유란, 최준혁, 정성아, 장시준, 계보경, 정의석, 김현철, 서혜숙, 정병호2015 KERIS 교육정보화 심포지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임승빈, 김금순, 김은기, 범수균, 김보배, 김현철, 이수지, 최기용, 박현재, 오지연, 현연숙, 이종분, 이한진, 서정희, 최성보, 문무상, 정광훈, 안성훈, 남부호, 서남수, 손동철, 이경희사회복지 정보화
예수대학교 김경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