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 타당화 = Validation of Social Support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524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특수학급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주체가 아닌 주변인과 같은 위치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 같은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변인으...

      특수학급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교육의 주체가 아닌 주변인과 같은 위치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 같은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특수학급 교사에게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가 제대로 타당화된 적이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들을 위한 사회적 지지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의 구인타당도는 어떠한가? 둘째,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의 수렴타당도는 어떠한가? 셋째,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의 변별타당도는 어떠한가? 넷째,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의 공인타당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수학급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지지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을 총 3개 하위변인 16개 문항으로 구성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구조에 의해서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공인타당도를 활용한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교사 효능감 척도, 직무 스트레스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특수학급 교사용 사회적 지지 척도와 교사 효능감 척도간의 정적 상관는 유의하게 나타나서,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으며, 직무 스트레스 척도와는 부적 상관도 유의하게 나타나서 변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lidity of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Four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e study were following: First, how is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Second, how is convergent validity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lidity of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Four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e study were following: First, how is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Second, how is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ale? Third, how is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scale? Forth, how is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In order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101 teachers of special class were survey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relation with Self-efficacy Scale, and Stress Scale. The scales proved good in every index.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I, TLI, RMR and RMSEA were examined for the scale, validity turned out good. 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as good. As a result of concurrent validity, the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Scale,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Scale.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scale for special class teachers turned out to be a valid questionnair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possible follow-up research are propo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용, "특수학급교사의 직무환경위험요인과 소진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20, 2011

      2 김효순,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3 김미연, "특수학급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소진(burnout)과의 관계에서 개인적 교수 효능감의 역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박주현,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5 이상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들의 직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32, 2009

      6 오혜정,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간 비교"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73-295, 2014

      7 서성덕, "특수교사의 공감적 이해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류정희,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학교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한유진,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지각 및 생활만족도가대인관계 상황 귀인 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1 (11): 363-384, 2004

      10 유지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08

      1 정경용, "특수학급교사의 직무환경위험요인과 소진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1-20, 2011

      2 김효순, "특수학급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3 김미연, "특수학급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소진(burnout)과의 관계에서 개인적 교수 효능감의 역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박주현,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와 교직 적응 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5 이상은,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들의 직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32, 2009

      6 오혜정,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특수학교와 특수학급 간 비교" 특수교육연구소 13 (13): 273-295, 2014

      7 서성덕, "특수교사의 공감적 이해 수준에 따른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류정희,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학교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9 한유진,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지각 및 생활만족도가대인관계 상황 귀인 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1 (11): 363-384, 2004

      10 유지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2008

      11 이아람, "중학생용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6

      12 전병운, "중등 특수교사의 학습기회와 사회적지지 및 교육신념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30 (30): 237-258, 2013

      13 최진아,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탄력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14 정추자, "사회적 지지모임이 뇌 척수 손상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4 (4): 124-144, 1995

      15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6 김정희,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103-120, 2014

      17 이옥인, "모든 이를 위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탐색"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73-92, 2015

      18 서석림,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특수교사의 燒盡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9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 with AMOS 17. 0" 학지사 2009

      20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21 김미진,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2 이현정, "교사 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23 Pettegrew, L. S., "Validating measures of teacher stress" 19 (19): 373-396, 1982

      24 McLeskey, J., "The supply of and deman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 A review of research regarding the chronic short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38 (38): 5-21, 2004

      25 Littrell, P. C., "The effects of principle support on special and general educators' stress, job satisfaction, school commitment, health and intent to stay in teaching" 15 (15): 297-310, 1994

      26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6-162, 1993

      27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98): 310-357, 1985

      28 Wilson, C. F., "Stress profile for teachers : Test manual and preliminary research data"

      29 Dworkin, A. G., "Stress and illness behavior among urban public school teachers" 26 (26): 60-72, 1990

      30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38 (38): 300-314, 1976

      31 Fimian, M. J., "Social support and occupational stress in special education" 52 (52): 436-442, 1986

      32 Cohen, S.,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13 (13): 99-125, 1983

      33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1998

      34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Education International 2006

      35 Caplan, R. D., "Job demands and worker health: Main effects and occupational differences"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1980

      36 Paresa D. E., "Influences of Mentor Support on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lf-Efficacy" University of Hawait 2009

      37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 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38 McDonald, R. P., "Choosing a multivariate model : Noncentrality and goodness of fit" 107 : 247-255, 1990

      39 Bandalos, D. L., "Assessing sources of error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 Effects of sample size, loading size, and model misspecification" 4 (4): 177-192, 1997

      40 Bataineh, O., "An investigation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27 (27): 5-13, 2012

      41 배병렬,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 원리와 실제" 청람 2014

      42 김계수, "Amos 18. 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0

      43 김대업, "AMOS A to Z :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학현사 2008

      44 Otto, S. J., "A study of experi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administrative support" 39 (39): 253-259,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3-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Center ->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7-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초등교육연구소 -> 초등교육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7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