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민요 교육 방법 연구-상여소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57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민요 교육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해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상여소리를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민요 교육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민요 교육의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이유는 민요가 우리 민족의 삶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노래이기 때문이라는 점에서 비롯되었다. 민요 교육이 문학과 음악의 통합적 접근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한데, 스토리텔링의 ‘이야기하기’의 방법은 민요에 내재된 이야기를 이해하고 민요를 삶의 노래로 인식할 수 있는 방법적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민요 교육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기 위해 먼저,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해 보았고, 상여소리에 내재된 스토리텔링의 요소를 인물과 공간의 두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바탕으로 상여소리의 지도 요소를 각 영역별로 추출하여 이를 ‘스토리텔링 전 단계-스토리텔링 단계-스토리텔링 후 단계’에 따라 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상여소리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을 적용해 보았지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여소리 교수․학습의 예는 다른 민요 수업을 설계할 때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민요가 우리 민족의 삶과 문화를 이야기한 노래라는 면에서 민요 교육은 노래를 통해 우리의 삶과 문화를 이야기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스토리텔링은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민요 교육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도록 앞으로 민요 교육과 스토리텔링을 접목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민요 교육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해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상여소리를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민요 교육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민요 교육의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

      본고에서는 민요 교육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해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상여소리를 대상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민요 교육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민요 교육의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이유는 민요가 우리 민족의 삶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노래이기 때문이라는 점에서 비롯되었다. 민요 교육이 문학과 음악의 통합적 접근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한데, 스토리텔링의 ‘이야기하기’의 방법은 민요에 내재된 이야기를 이해하고 민요를 삶의 노래로 인식할 수 있는 방법적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민요 교육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하기 위해 먼저,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해 보았고, 상여소리에 내재된 스토리텔링의 요소를 인물과 공간의 두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바탕으로 상여소리의 지도 요소를 각 영역별로 추출하여 이를 ‘스토리텔링 전 단계-스토리텔링 단계-스토리텔링 후 단계’에 따라 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상여소리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을 적용해 보았지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상여소리 교수․학습의 예는 다른 민요 수업을 설계할 때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민요가 우리 민족의 삶과 문화를 이야기한 노래라는 면에서 민요 교육은 노래를 통해 우리의 삶과 문화를 이야기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스토리텔링은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민요 교육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도록 앞으로 민요 교육과 스토리텔링을 접목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applying storytelling to the education of Korean folk songs. Since Korean folk songs are regarded as ethnic songs containing the stories of Korean lives, this study has designed the instruction method of Sangyeosori by using storytelling. Using the integrated approaches of Korean music and litera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 method’ of storytelling which is to understand the stories inherent in the songs themselves and to recognize that Korean folk songs are the songs of Korean liv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means of storytelling and the two elements of character and space of the stories inherent in Sangyeosori. In addition to selecting the contents for instructing Sangyeosori from the Korean Music Curriculum, this study presents them by levels as the academic activities of ‘before Storytelling-Storytelling-after Storytelling’. This study reflects the method of storytelling on the instruction of Sangyeosori. Since folk songs narrate the lives of people and contains their culture, the approach to instructing these songs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method. From these result, this author expects that this approach will be applied to teach other types of folk songs and that more studies regarding the educating of Korean folk songs and storytelling will be continu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ed at applying storytelling to the education of Korean folk songs. Since Korean folk songs are regarded as ethnic songs containing the stories of Korean lives, this study has designed the instruction method of Sangyeosori by using sto...

      This study is aimed at applying storytelling to the education of Korean folk songs. Since Korean folk songs are regarded as ethnic songs containing the stories of Korean lives, this study has designed the instruction method of Sangyeosori by using storytelling. Using the integrated approaches of Korean music and litera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 method’ of storytelling which is to understand the stories inherent in the songs themselves and to recognize that Korean folk songs are the songs of Korean liv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means of storytelling and the two elements of character and space of the stories inherent in Sangyeosori. In addition to selecting the contents for instructing Sangyeosori from the Korean Music Curriculum, this study presents them by levels as the academic activities of ‘before Storytelling-Storytelling-after Storytelling’. This study reflects the method of storytelling on the instruction of Sangyeosori. Since folk songs narrate the lives of people and contains their culture, the approach to instructing these songs is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method. From these result, this author expects that this approach will be applied to teach other types of folk songs and that more studies regarding the educating of Korean folk songs and storytelling will be continu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스토리텔링과 민요 교육
      • Ⅲ.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민요 교육의 실제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스토리텔링과 민요 교육
      • Ⅲ.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민요 교육의 실제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운식, "한국의 효행 이야기" 집문당 1998

      2 신찬균, "한국의 만가" 삼성출판사 1990

      3 "한국영상자료원"

      4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충청북도)"

      5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6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7 MBC,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해설집)" MBC 1993

      8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9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10 이청준, "축제" 열림원 2003

      1 최운식, "한국의 효행 이야기" 집문당 1998

      2 신찬균, "한국의 만가" 삼성출판사 1990

      3 "한국영상자료원"

      4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충청북도)"

      5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6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7 MBC,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해설집)" MBC 1993

      8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9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10 이청준, "축제" 열림원 2003

      11 성경희, "중학교 음악과 수업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3

      12 변미혜, "전통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국악분야․초등과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13 유효철, "전통 민요의 현장 문화 콘텐츠화 방향연구 - 양주 상여 희다지 소리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7) : 73-104, 2006

      14 김혜정,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성에 따른 교육 방향"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4 (4): 2010

      15 신동흔, "이야기문화의 세대별 양상과 경험적 담화 -경기도 양주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17) : 41-87, 2003

      16 교육과학기술부, "음악과 교육과정"

      17 최상일,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2" 돌베개 2002

      18 김헌선, "양주 상여와 회다지소리" 월인 2006

      19 송효섭, "스토리텔링의 서사학" 시학과언어학회 (18) : 163-180, 2010

      20 신명훈,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구비문학 교육 방안 연구 :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1 오남훈, "세경놀이를 통한 제주도 민요의 통합적 지도방안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3 (3): 2009

      22 신광섭,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두산동아 2005

      23 최은영, "상여꼭두의 달빛 춤"

      24 신은주, "배치기소리의 교육적 활용 가치 -초·중·고 교과서 내 서도 민요 제재곡 개발과 관련하여-" 한국민요학회 34 : 87-145, 2012

      25 신경림, "민요기행 1" 문이당 2005

      26 안숭범, "문화산업과 스토리텔링" 다할미디어 2007

      27 "드라마 가문의 영광"

      28 김민하, "농업노동요의 교재곡 선정 및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29 김민하, "노동요 지도를 위한 물 푸는 소리의 고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6 (6): 31-63, 2012

      30 박경희, "교재곡 개발을 위한 메나리조 민요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 (2): 2008

      31 김민하, "경기 향토민요의 교육적 활용 방안-논농사요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5 (5): 25-53, 2011

      32 신은주, "경기 지역 어업노동요의 교육적 활용"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7 (7): 125-157,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8 1.394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