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플립러닝의 협력적 자아효능감과 학습실재감이 미용관련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he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Learning Presence of Flipped Learning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Cosmetology Co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94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learning presence, which have been found as variables affecting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among those who took a flipped learning course in the cosmetology department on their satisfaction with cou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7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taking flip-learning classes in beauty major classes.
      self-entry survey method in which the respondents enter their answers directly was used for the survey. A total of 2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47 were retrieved. Excluding 12 questionnaires that had incomplete responses, a total of 23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SPSS for Windows 21.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collaborative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Second, learning prese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The collaborative self-efficacy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rese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Third, learning presence had a positive impact on course satisfac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Among the three learning presence categories, emotion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p<.05)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while social presence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effect.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learning presence, which have been found as variables affecting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among those who took a flipped learning course in the cosmetology depa...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llaborative self-efficacy and learning presence, which have been found as variables affecting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among those who took a flipped learning course in the cosmetology department on their satisfaction with cou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7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taking flip-learning classes in beauty major classes.
      self-entry survey method in which the respondents enter their answers directly was used for the survey. A total of 2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47 were retrieved. Excluding 12 questionnaires that had incomplete responses, a total of 23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SPSS for Windows 21.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collaborative self-effic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Second, learning prese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The collaborative self-efficacy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rese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Third, learning presence had a positive impact on course satisfac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Among the three learning presence categories, emotion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p<.05)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while social presence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effe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민아, "협력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학습성과에 대 한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 이내영, "플립러닝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에서 협력적 자아효능감과학습실재감이 학습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9 (29): 951-960, 2018

      3 변서은, "플립러닝을 적용한 피부미용 수업이 고등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4 이우성, "플립러닝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영향" 광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5 박지현, "플립러닝기반 소프트웨어 교육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7

      6 김시원, "플립러닝 환경에서 자아효능감, 학습실재감, 인지된 상화작용, 학습성과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7 김은주, "플립러닝 전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8 민혜림,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2017

      9 김종란, "플립러닝 기반 헤어미용 수업 참여자의 학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8 (18): 239-251, 2017

      10 김은하,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수업의질, 교수자 중재, 팀활동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분석 : 미용교과 실기교육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1 손민아, "협력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학습성과에 대 한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 이내영, "플립러닝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에서 협력적 자아효능감과학습실재감이 학습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9 (29): 951-960, 2018

      3 변서은, "플립러닝을 적용한 피부미용 수업이 고등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4 이우성, "플립러닝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영향" 광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5 박지현, "플립러닝기반 소프트웨어 교육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7

      6 김시원, "플립러닝 환경에서 자아효능감, 학습실재감, 인지된 상화작용, 학습성과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7 김은주, "플립러닝 전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8 민혜림,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2017

      9 김종란, "플립러닝 기반 헤어미용 수업 참여자의 학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8 (18): 239-251, 2017

      10 김은하,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수업의질, 교수자 중재, 팀활동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분석 : 미용교과 실기교육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11 이승민, "퀴즈를 활용한 이공계열의 플립드러닝 수업사례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397-431, 2017

      12 이영재, "중·고등 대안학교 음악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부산, 경남 대안학교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3 김정화, "이러닝 환경에서 e-튜터의 학습지원이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의 하위 변인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4 강명희,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67-85, 2009

      15 이휘재, "영어학원의 플립러닝이 중학생의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6 김세영, "쌍방향 교육에 미래 있다. 대학가플립 러닝 확산"

      17 김태영,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드 러닝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18 정영란, "사이버대학에서 수업만족도 영향 요인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61-94, 2009

      19 김유진,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교육연구소 13 (13): 143-170, 2012

      20 김현정,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이 협력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1 (51): 95-116, 2017

      21 유지원,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41-63, 2014

      22 김지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연구소 11 (11): 29-56, 2010

      23 심영기, "기술적 문제 해결 팀 활동에서 팀원의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 상호작용의 관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4 (14): 49-70, 2014

      24 J. Bergmann, "거꾸로 교실-진짜배움으로 가는 길" 에듀니티 2015

      25 강명희,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2 (22): 1-27, 2006

      26 M. Baeten, "Using student-centred learning environments to stimulate deep approaches to learning:Factors encouraging or discouraging their drrectiveness" 5 (5): 243-260, 2010

      27 S. B. Alavi, "The roles of perceived task interdependence and group menbers interdependence in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 group contexts" 78 : 375-394, 2008

      28 안재성, "Tbl(Team-based learning)기반플립러닝 수업에서 협력적 자아효능감,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침 멘탈모델의 매개효과 검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29 J. Froyd, "Studentcentered learning addressing faculty questions about student-centered learning" 30 (30): 2008

      30 구본혁, "MOOC를 활용한 플립러닝의효과성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1 K. M. Elliott, "Key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atisfaction related to recruitment and retention" 10 (10): 1-11, 2001

      32 A. T. Pescosolido, "Group efficacy and group effectiveness : The effects of group efficacy over time on group performance and development" 34 (34): 20-42, 2003

      33 이종연,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313-323, 2014

      34 J. Bergmann, "Flip your classroom :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class every day" ISTE, ASCD 2012

      35 J. Bergmann, "Flip Your Students’ Learning" 70 (70): 16-20, 2013

      36 M. Wang,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Springer Publishing Netherlands 225-253, 2006

      37 M. Wang,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Springer Publishing 225-253, 2006

      38 남라다, "4차 산업혁명 인재 키우는 혁신도시대학.. 10곳 선정.. 100억 투입"

      39 한국교육개발원,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실혁명을 통한 공교육 혁신 :1수업 2교사제, 고교학점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체예술학회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76 0.61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