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손민아, "협력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학습성과에 대 한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 이내영, "플립러닝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에서 협력적 자아효능감과학습실재감이 학습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9 (29): 951-960, 2018
3 변서은, "플립러닝을 적용한 피부미용 수업이 고등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4 이우성, "플립러닝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영향" 광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5 박지현, "플립러닝기반 소프트웨어 교육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7
6 김시원, "플립러닝 환경에서 자아효능감, 학습실재감, 인지된 상화작용, 학습성과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7 김은주, "플립러닝 전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8 민혜림,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2017
9 김종란, "플립러닝 기반 헤어미용 수업 참여자의 학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8 (18): 239-251, 2017
10 김은하,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수업의질, 교수자 중재, 팀활동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분석 : 미용교과 실기교육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1 손민아, "협력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학습성과에 대 한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 이내영, "플립러닝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에서 협력적 자아효능감과학습실재감이 학습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9 (29): 951-960, 2018
3 변서은, "플립러닝을 적용한 피부미용 수업이 고등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4 이우성, "플립러닝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영향" 광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5 박지현, "플립러닝기반 소프트웨어 교육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7
6 김시원, "플립러닝 환경에서 자아효능감, 학습실재감, 인지된 상화작용, 학습성과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7 김은주, "플립러닝 전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8 민혜림,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교육대학원 2017
9 김종란, "플립러닝 기반 헤어미용 수업 참여자의 학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8 (18): 239-251, 2017
10 김은하, "플립드러닝 환경에서 수업의질, 교수자 중재, 팀활동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분석 : 미용교과 실기교육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11 이승민, "퀴즈를 활용한 이공계열의 플립드러닝 수업사례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397-431, 2017
12 이영재, "중·고등 대안학교 음악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부산, 경남 대안학교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3 김정화, "이러닝 환경에서 e-튜터의 학습지원이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의 하위 변인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4 강명희,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67-85, 2009
15 이휘재, "영어학원의 플립러닝이 중학생의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6 김세영, "쌍방향 교육에 미래 있다. 대학가플립 러닝 확산"
17 김태영,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드 러닝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18 정영란, "사이버대학에서 수업만족도 영향 요인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61-94, 2009
19 김유진,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교육연구소 13 (13): 143-170, 2012
20 김현정,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이 협력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1 (51): 95-116, 2017
21 유지원, "대학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팀 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41-63, 2014
22 김지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연구소 11 (11): 29-56, 2010
23 심영기, "기술적 문제 해결 팀 활동에서 팀원의 기술적 문제 해결 성향과 상호작용의 관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4 (14): 49-70, 2014
24 J. Bergmann, "거꾸로 교실-진짜배움으로 가는 길" 에듀니티 2015
25 강명희,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2 (22): 1-27, 2006
26 M. Baeten, "Using student-centred learning environments to stimulate deep approaches to learning:Factors encouraging or discouraging their drrectiveness" 5 (5): 243-260, 2010
27 S. B. Alavi, "The roles of perceived task interdependence and group menbers interdependence in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 group contexts" 78 : 375-394, 2008
28 안재성, "Tbl(Team-based learning)기반플립러닝 수업에서 협력적 자아효능감,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침 멘탈모델의 매개효과 검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29 J. Froyd, "Studentcentered learning addressing faculty questions about student-centered learning" 30 (30): 2008
30 구본혁, "MOOC를 활용한 플립러닝의효과성 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1 K. M. Elliott, "Key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atisfaction related to recruitment and retention" 10 (10): 1-11, 2001
32 A. T. Pescosolido, "Group efficacy and group effectiveness : The effects of group efficacy over time on group performance and development" 34 (34): 20-42, 2003
33 이종연, "Flipped learning의 의의 및 교육환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313-323, 2014
34 J. Bergmann, "Flip your classroom :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class every day" ISTE, ASCD 2012
35 J. Bergmann, "Flip Your Students’ Learning" 70 (70): 16-20, 2013
36 M. Wang,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Springer Publishing Netherlands 225-253, 2006
37 M. Wang,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ies" Springer Publishing 225-253, 2006
38 남라다, "4차 산업혁명 인재 키우는 혁신도시대학.. 10곳 선정.. 100억 투입"
39 한국교육개발원,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실혁명을 통한 공교육 혁신 :1수업 2교사제, 고교학점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