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자기개방이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온·오프라인 교류비교 = A comparative study of influence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self-disclosures on family intimacy in on-offline family communicatio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6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family communication systems within the interpersonal paradigm of the digital era.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comparable analyses on the influence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and the ...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family communication systems within the interpersonal paradigm of the digital era.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comparable analyses on the influence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ies and the online and offline self-disclosures in terms of family intimacy levels. The demography of the 1,697 research subjects ranged from teenagers to people in their thirties, who had been identified as active SNS users from December 2011 to March 2012 by the nationwide population and random sample surveys. The results showed that horizontal individual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frequency of online family interaction, whereas vertical collectivism has no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In terms of online self-disclosures, only the Domain A (intimate subject)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and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offline family interactions, the vertical collectiv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ff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In terms of offline self-disclosures, all variables regarding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no meaningful impact on the off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The research results also showed that individual cultural values and online self-disclosure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online family interaction frequency as mediators. In addition, the Domain C (simple acquaintance) of online self-disclosure and Domain A, B, and C of offline self-disclosure had directly influences with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 The study results comprehensively verified that active online self-disclosure improved the frequency of online family interaction, thereby increased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in the society where horizontal individualism was becoming more prevalent than vertical collectivism. Therefore, the study indicated that a paradigm of family communication could also be transformed from offline to onli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여 대인관계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가족의사소통체계에 대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집...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여 대인관계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가족의사소통체계에 대한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자기개방이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가족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의사소통체계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11년 1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전국비례할당표본과 임의표본을 통해서 표집된 SNS를 활발히 사용하고 있는 10대에서 30대까지 1,697명이었다. 연구결과, 온라인 가족의사소통체계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는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었고, 수직적 집단주의는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온라인 자기개방은 A영역(가까운 대상)에서만 온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고,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는 가족관계의 질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오프라인 가족의사소통에서는 수직적 집단주의만이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고, 오프라인 자기개방의 모든 영역은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오프라인 가족접촉빈도는 가족관계의 질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개인의 문화적 가치와 온라인 자기개방은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를 매개로 가족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온라인 자기개방 C영역(단순 지인)과 오프라인 자기개방 A, B, C영역은 모두 가족관계의 질과 직접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차 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넘어가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활발한 온라인 자기개방이 온라인 가족접촉빈도를 촉진시킴으로써 가족관계의 질을 증진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점차 가족의사소통의 패러다임도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평규, "현실과 사이버의 맥락에 따른 자기노출의 차이 ; 성격 특성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1

      2 남순현, "한국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949-980, 2012

      3 남순현, "청소년 모방 자살사고의 심리적 기제에 관한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 (1): 49-84, 2008

      4 송성자,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문화비교와 한국가족치료 접근 전략" 5 : 1-26, 1997

      5 김교헌, "자기노출이 청소년의컴퓨터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 6 (6): 177-194, 2001

      6 박용분, "의사소통증진을 위한 가족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7 장수지, "연령집단 별 문화성향과 공동체의식 간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8 (28): 1-24, 2014

      8 韓宗惠,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역량 지각 및 자아 존중감" 경희대학교 1996

      9 구재선,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 (20): 1-18, 2006

      10 Satir, V., "사티어모델"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06

      1 임평규, "현실과 사이버의 맥락에 따른 자기노출의 차이 ; 성격 특성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1

      2 남순현, "한국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한국상담심리학회 24 (24): 949-980, 2012

      3 남순현, "청소년 모방 자살사고의 심리적 기제에 관한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 (1): 49-84, 2008

      4 송성자,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문화비교와 한국가족치료 접근 전략" 5 : 1-26, 1997

      5 김교헌, "자기노출이 청소년의컴퓨터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 6 (6): 177-194, 2001

      6 박용분, "의사소통증진을 위한 가족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7 장수지, "연령집단 별 문화성향과 공동체의식 간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8 (28): 1-24, 2014

      8 韓宗惠,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역량 지각 및 자아 존중감" 경희대학교 1996

      9 구재선,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 (20): 1-18, 2006

      10 Satir, V., "사티어모델"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06

      11 조긍호, "문화유형과 타인이해 양상의차이" 15 (15): 104-139, 1996

      12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13 남순현,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성에 관한 연구: 성인 자녀 가족과 3세대 가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01

      14 한주리, "가족 의사소통 패턴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노출, 내적 통제성 및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한국언론학회 49 (49): 202-227, 2005

      15 金基範, "對人關係속에서의 道德性과 內集團-外集團 區別 : 文化 比較 分析 硏究" 중앙대학교 1996

      16 Yamawaki, N., "Within-culture variations of collectivism in Japan" 43 (43): 1191-1204, 2012

      17 Uhls, Y. T., "The rise of fame : An historical content analysis" 5 : 1-, 2011

      18 Baron, R. M.,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19 Salafia, B. E. H, "The longitudinal interplay of maternal warmth and adolescents' self disclosure in predicting maternal knowledge" 19 : 654-668, 2009

      20 Park, H., "The great recession : implications for adolescent values and behavior" 5 (5): 310-318, 2014

      21 Sobel, M. E., "Sociological methodology" Jossey-Bass 159-186, 1986

      22 Altman, I., "Social penetration: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3

      23 Collins, N. L., "Selfdisclosure and liking : A meta-analytic review" 116 : 457-475, 1994

      24 Gilbert, S., "Self-disclosure, intimacy and communication in families" 221-231, 1976

      25 Joinson, A. N., "Self-disclosure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 The role of selfawareness and visual anonymity" 31 : 177-192, 2001

      26 Peter, J., "Research note :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internet communication" 21 : 213-226, 2006

      27 Kerr, M., "Reinterpretation of parental monitoring in longitudinal perspective" 20 (20): 39-64, 2010

      28 Posey, C., "Proposing the online community self-disclosure model : the case of working professionals in France and the U. K. who use online communities" 19 : 181-195, 2010

      29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05

      30 Stattin, H., "Parental monitoring : A reinterpretation" 71 : 1072-1085, 2000

      31 DeCarlo, L. T., "On the meaning and use of kurtosis" 2 : 292-307, 1997

      32 Berger, C. R., "Language and social knowledge: uncertain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lt, Rinehart &Winston 1982

      33 Marshall, T. C., "Individualism-collectivism cultural differences in intimacy : The Influence of gender-role ideology" 25 (25): 143-168, 2008

      34 Triandis, H. C.,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Westview 1995

      35 Singelis, T. M.,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 A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29 (29): 240-275, 1995

      36 Reynolds, J., "Have adolescents become too ambitious? High school seniors'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plans, 1976 to 2000" 53 : 186-206, 2006

      37 Twenge, J. M., "Generational differences in young adults’ life goals, concern for others, and civic orientation, 1966-2009" 102 : 1045-1062, 2012

      38 Twenge, J. M., "Generation me: Why today's young Americans are more confident, assertive, entitled, and more miserable than ever before" Free Press 2006

      39 Raval, V. V., "Fight or flight? Competing discourse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 runaway boy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India" 30 (30): 410-429, 2013

      40 DeVito, J. A., "Essentials of human communication" Pearson Education, Inc 2005

      41 Zhou, W. X., "Discrete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social group sizes" 272 : 439-444, 2005

      42 Hofstede, G., "Culture and organization:Software of the mind" McGraw-Hill 1991

      43 Quek, K. M., "Cultural values, self-disclosure, and conflict tactics as predictors of marital satisfaction among Singaporean husbands and wives" 21 (21): 208-216, 2013

      44 Triandis, H. C., "Converging measur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74 : 118-128, 1998

      45 Livingstone, S., "Computers, phones, and the internet" Oxford University Press 128-144, 2006

      46 McKenna, K. Y. A., "Coming out in the age of Internet : Identity"Demarginaliation"through virtual group participation" 75 : 681-694, 1998

      47 Furman, W.,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in their social networks" 21 : 1016-1024, 1985

      48 Kerr, M., "Children's influence on family dynamics: The neglected side of family relationships" Erlbaum 121-151, 2003

      49 Twenge, J. M., "Changes in women's assertiveness in response to status and roles :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1931-1993" 81 : 133-145, 2001

      50 Twenge, J. M., "Birth cohort changes in extraversion :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1966-1993" 30 : 735-748, 2001

      51 Peetz, D., "Are individualistic attitudes killing collectivism?" 16 (16): 383-398, 2010

      52 Hamamura, T., "Are cultures becoming individualistic? A cross-temporal comparison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16 (16): 3-24, 2011

      53 Russell, D. W.,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45 (45): 18-29, 1998

      54 Arbuckle, J. L., "Advanc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sues and techniques" Lawrence Erlbaum 1996

      55 Omarzu, J., "A disclosure decision model : Determining how and when individuals will self-disclose" 4 (4): 174-185, 2000

      56 임재명, "2013년 모바일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57 방송통신위원회, "2011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58 방송통신위원회, "2010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