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디어 파사드를 활용한 관광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ourism contents using media faca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93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recovery of tourism demand and changes in the pursuit of travel experiences by tourists, media facades are being developed to provide new experiences for tourists in spaces where images can be installed, such as local history, culture, and tourist attractions. This study considers the use of media facades as tourism resources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developing media facades as communicative tourism contents that can provide new experiences and values to tourists. Delphi method was conducted on experts in this field to derive a model for directing a tourism content system using a media facade, and an interaction media facade system was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rom an expert pan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ur categories of playability, expandability, responsiveness, and subjectivity were derived as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the media facade. It was confirmed tha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ourists and the interaction of sharing and communicating stories through the media facade we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content satisfaction, and that interaction was an essential factor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ve media facade. The tourism-type media facade should prioritiz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ourists rather than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it should be designed to increase the stay time of tourists by introduc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nearby tourist attractions.
      번역하기

      Abstract: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recovery of tourism demand and changes in the pursuit of travel experiences by tourists, media facades are being developed to provide new experiences for tourists in spaces where images can be installed, such as...

      Abstract: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recovery of tourism demand and changes in the pursuit of travel experiences by tourists, media facades are being developed to provide new experiences for tourists in spaces where images can be installed, such as local history, culture, and tourist attractions. This study considers the use of media facades as tourism resources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developing media facades as communicative tourism contents that can provide new experiences and values to tourists. Delphi method was conducted on experts in this field to derive a model for directing a tourism content system using a media facade, and an interaction media facade system was deriv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rom an expert pan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ur categories of playability, expandability, responsiveness, and subjectivity were derived as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the media facade. It was confirmed tha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ourists and the interaction of sharing and communicating stories through the media facade we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content satisfaction, and that interaction was an essential factor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ve media facade. The tourism-type media facade should prioritiz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ourists rather than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it should be designed to increase the stay time of tourists by introduc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nearby tourist attrac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요약: 최근 관광 수요의 회복세와 관광객들의 여행 경험 추구의 변화에 따라 관광콘텐츠 개발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지역의 역사, 문화, 관광명소 등 영상 매체 설치가 가능한 다양한 공간에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미디어 파사드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콘텐츠로서 미디어 파사드 활용사례를 고찰하고, 관광객에게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관광 콘텐츠개발을 위하여 미디어 파사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디어 파사드를 활용한 관광콘텐츠 개발 시스템 설계 및 연출방법 등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고, 전문가 패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 파사드 시스템의 활용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관광콘텐츠로서 미디어 파사드 개발 시 고려사항으로 유희성, 확장성, 반응성, 주체성 4가지 범주를 도출하였다. 관광객의 자발적 참여와 미디어 파사드를 통해 이야기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상호작용이 콘텐츠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 상호작용이 소통형 미디어 파사드 개발에 필요한 필수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관광형 미디어 파사드는 화려한 기술구현보다는 관광객의 자발적인 참여형 콘텐츠가 우선되어야 하고,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는 해당 지역관광명소의 소개뿐만 아니라 주변 관광명소에 대한 정보와 매력을 제공하여 관광객들의 체류 시간을 늘리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요약: 최근 관광 수요의 회복세와 관광객들의 여행 경험 추구의 변화에 따라 관광콘텐츠 개발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지역의 역사, 문화, 관광명소 등 영상...

      요약: 최근 관광 수요의 회복세와 관광객들의 여행 경험 추구의 변화에 따라 관광콘텐츠 개발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지역의 역사, 문화, 관광명소 등 영상 매체 설치가 가능한 다양한 공간에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자 미디어 파사드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콘텐츠로서 미디어 파사드 활용사례를 고찰하고, 관광객에게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관광 콘텐츠개발을 위하여 미디어 파사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디어 파사드를 활용한 관광콘텐츠 개발 시스템 설계 및 연출방법 등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고, 전문가 패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 파사드 시스템의 활용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관광콘텐츠로서 미디어 파사드 개발 시 고려사항으로 유희성, 확장성, 반응성, 주체성 4가지 범주를 도출하였다. 관광객의 자발적 참여와 미디어 파사드를 통해 이야기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상호작용이 콘텐츠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 상호작용이 소통형 미디어 파사드 개발에 필요한 필수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관광형 미디어 파사드는 화려한 기술구현보다는 관광객의 자발적인 참여형 콘텐츠가 우선되어야 하고,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는 해당 지역관광명소의 소개뿐만 아니라 주변 관광명소에 대한 정보와 매력을 제공하여 관광객들의 체류 시간을 늘리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정, "한국OOH광고학회, 가상현실 미디어 파사드를통한 지역 문화콘텐츠의 구현 가치에 대한 연구: 플루서의 텔레마틱 이상사회론을 중심으로" 170-, 2018

      2 최경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산업의성장 아젠다와 정책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56-232, 2021

      3 김지아, "체감각 특성을 반영한 체감형 미디어 파사드에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2018

      4 장선영, "참여디자인에 의한 인터랙티브 미디어파사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5 신현식,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이 지역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6 류승한, "지역 산업혁신과 문화·관광 활성화" 459 (459): 18-26, 2020

      7 김형오, "전라북도 체류형 관광 육성방안" 전북연구원 15-38, 2020

      8 이지선,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적용한 공공공간의 확장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0

      9 노권찬, "인터랙션 미디어 파사드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1 (11): 97-108, 2010

      10 김유미 ; 김선균, "인터넷 1인 게임 방송 시청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주)에스비에스 18 (18): 7-30, 2020

      1 김현정, "한국OOH광고학회, 가상현실 미디어 파사드를통한 지역 문화콘텐츠의 구현 가치에 대한 연구: 플루서의 텔레마틱 이상사회론을 중심으로" 170-, 2018

      2 최경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관광산업의성장 아젠다와 정책과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56-232, 2021

      3 김지아, "체감각 특성을 반영한 체감형 미디어 파사드에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디자인콘텐츠대학원 2018

      4 장선영, "참여디자인에 의한 인터랙티브 미디어파사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5 신현식,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이 지역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2

      6 류승한, "지역 산업혁신과 문화·관광 활성화" 459 (459): 18-26, 2020

      7 김형오, "전라북도 체류형 관광 육성방안" 전북연구원 15-38, 2020

      8 이지선,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적용한 공공공간의 확장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0

      9 노권찬, "인터랙션 미디어 파사드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1 (11): 97-108, 2010

      10 김유미 ; 김선균, "인터넷 1인 게임 방송 시청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주)에스비에스 18 (18): 7-30, 2020

      11 임동욱, "이미지 스토리텔링을 통한 장소 정체성 부여 : 오사카, 사가, 다케오의 미디어 파사드 쇼" 한국일어일문학회 99 (99): 39-61, 2016

      12 한국관광공사, "올해 국내 관광트렌드 일상의 모든 순간이여행: M.O.M.E.N.T"

      13 이동희, "역량모델링을 통한 직무역량개발에 관한 연구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역량모델링과 활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14 정소영 ; 박희정 ; 장희정, "여행업 종사자의 관광목적지 선택속성과 인식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슬로시티를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317-327, 2019

      15 한국관광공사, "야간관광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16 최유연, "소셜미디어에 표출된 관광자의 관광경험 공유와경험적 가치"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17 박진희 ; 김재범 ; 김종덕,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본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연구-LED를 이용한 미디어 파사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3 (23): 41-52, 2010

      18 임동욱, "비극적 역사의 동일시와 정체성화를 통한 지역 관광지의 장소성 확보 전략 : 프랑스의 옥시타니아 문화부흥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19 전하리 ; 윤현정 ; 김영석, "미디어파사드에서 다중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환경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261-270, 2017

      20 조정필, "미디어파사드에 의한 대형빌딩의 장소성 형성이 보행자의 야간경관 체감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서울스퀘어빌딩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4

      21 이철수, "미디어파사드 특성이 문화예술공간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관람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0

      22 오은석, "미디어 파사드와 인터랙티브 아트 인스톨레이션" 21 (21): 61-70, 2016

      23 이창근, "미디어 파사드 체험이 문화재 가치 인식과 진흥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화유산 활용 미디어파사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24 김유경 ; 주연우 ; 윤유식, "모바일 관광 앱 이용의 창의적 소비 효능감에 따른 만족도 및 관광 행동 의도 연구: 쇼루밍 행동의 조절 효과" 한국호텔관광학회 25 (25): 59-75, 2023

      25 하은경,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예술의 확장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9-18, 2012

      26 유현주, "도시예술로서의 미디어 파사드 - 문자, 이미지, 맵핑, 혼합현실 -" 인문학연구원 109 : 91-112, 2017

      27 육전훤, "도시 문화환경을 위한 미디어 파사드의 시각인지요소가 도시 어메니티와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중국 광저우시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2023

      28 장승은, "다중 참여자 관계형 인터랙티브 소셜 미디어파사드 플랫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29 김정환, "뉴미디어, 미디어 파사드 기술의 구현방법에 관한 연구" 예술과미디어학회 9 (9): 55-66, 2010

      30 한상겸, "농촌관광지 선택속성이 만족도와 재방문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공경영학회 7 (7): 3-15, 2009

      31 채용식, "관광축제이벤트론" 학문사 2001

      32 장성수, "관광자원론" 2021

      33 정재인, "공연·전시에 활용된 미디어 파사드 유형화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3

      34 Martin, B., "Staging Urban Interactions with Media Facades" 5726 (5726): 154-167, 2009

      35 임상국, "L-System을 이용한 HMD기반 인터렉티브 실감형 미디어 알고리즘 구축"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3 (23): 58-66, 2020

      36 Rob K., "Elements of Architecture" A.D Publications Ltd 52-,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