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 환경에서의 장애유아 중재 연구 동향 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clusive setting: Focusing on Single-Subject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03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nalyse the quality of single-subject design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to find a effective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r at risk in inclusive setting from 1994 to 2007. For this, 28 researches using single-subject design that published from 1994 to 2007 were analyzed at the pont of general features, cri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applied development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researches using single-subject-design were published from 2001 except the only one(1998), the most of the participants' ages were 4-5 years(72%), and the primary participants' disability was developmental delays. And multiple baseline experimental design was utilized at 68% among the all cases. Second, to examine the quality of experimental case studies, 93% of the all studies measured the agreement of external observer and maintenance. Third, practices with well-established evidence of effectiveness were structured social setting(35.7%), functional behavior analysis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28.6%), and the development areas that the strategies targeted were social-emotional abilities(64.3%) and communication(31.0%). Based on the results,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nalyse the quality of single-subject design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to find a effective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r at risk in inclusive setting from 1994 to 2007. For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nalyse the quality of single-subject design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to find a effective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r at risk in inclusive setting from 1994 to 2007. For this, 28 researches using single-subject design that published from 1994 to 2007 were analyzed at the pont of general features, cri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applied development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researches using single-subject-design were published from 2001 except the only one(1998), the most of the participants' ages were 4-5 years(72%), and the primary participants' disability was developmental delays. And multiple baseline experimental design was utilized at 68% among the all cases. Second, to examine the quality of experimental case studies, 93% of the all studies measured the agreement of external observer and maintenance. Third, practices with well-established evidence of effectiveness were structured social setting(35.7%), functional behavior analysis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28.6%), and the development areas that the strategies targeted were social-emotional abilities(64.3%) and communication(31.0%). Based on the results,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1994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 연구를 토대로 통합 환경에서의 단일대상연구의 전반적인 특징과 장애유아들에게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논문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국내의 논문 28편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전반적 특징, 주요 중재전략, 발달영역에 따라 적용된 중재전략을 분석하였다. 논문 분석 결과, 첫째, 연구의 전반적인 특징으로는 98년 1편을 제외하고는 2001년 이후부터 단일대상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대상유아는 4-5세가 가장 많아 72%에 달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장애유형은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36.2%로 가장 많았다. 연구설계 방법으로는 약 68%가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둘째, 실험연구의 질적 우수성을 만족하는 요소에서 관찰자간 신뢰도나 중재 효과의 유지를 측정한 연구가 93%였다. 셋째, 중재전략부분에 있어서는 사회적 환경 구조화가 10편으로(35.7%)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다음으로 기능평가와 긍정적 행동지원이 8편(28.6%)에서 사용되었다. 통합 환경에서 효과를 보고자 한 발달영역은 사회성·정서 영역에 대한 중재가 27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의사소통이 13편으로 31.0%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들에게 적용한 연구결과의 적용가능성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1994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 연구를 토대로 통합 환경에서의 단일대상연구의 전반적인 특징과 장애유아들...

      이 연구의 목적은 1994년부터 2007년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 연구를 토대로 통합 환경에서의 단일대상연구의 전반적인 특징과 장애유아들에게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논문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국내의 논문 28편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전반적 특징, 주요 중재전략, 발달영역에 따라 적용된 중재전략을 분석하였다. 논문 분석 결과, 첫째, 연구의 전반적인 특징으로는 98년 1편을 제외하고는 2001년 이후부터 단일대상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대상유아는 4-5세가 가장 많아 72%에 달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장애유형은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36.2%로 가장 많았다. 연구설계 방법으로는 약 68%가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둘째, 실험연구의 질적 우수성을 만족하는 요소에서 관찰자간 신뢰도나 중재 효과의 유지를 측정한 연구가 93%였다. 셋째, 중재전략부분에 있어서는 사회적 환경 구조화가 10편으로(35.7%)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다음으로 기능평가와 긍정적 행동지원이 8편(28.6%)에서 사용되었다. 통합 환경에서 효과를 보고자 한 발달영역은 사회성·정서 영역에 대한 중재가 27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의사소통이 13편으로 31.0%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환경에서 장애유아들에게 적용한 연구결과의 적용가능성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진, "활동-중심 자연적 중재 적용 훈련이 자유선택활동 일과에서의 교사의 교수행동과 장애유아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 27 (27): 29-49, 2007

      2 이수정, "활동-기술 도표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21 (21): 213-237, 2005

      3 송미경,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9 (9): 67-90,

      4 박혜진,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가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37 (37): 237-257, 2002

      5 한성희, "특수교육에서의 단일대상연구 적용의 질적 개선을 위한 문헌 분석" 40 (40): 103-130, 2005

      6 강혜경, "특수교사와 치료교사간 협력적 접근을 통한 교실중심언어중재가 장애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7 김미영, "통합환경에서의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를 지닌 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6 (6): 85-107, 2006

      8 조숙경, "통합환경에서 또래협력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22 (22): 263-286,

      9 조광순, "통합환경내의 행동장애유아들을 위한 상황중심 기능평가와 중재의 효과" 17 (17): 173-205, 2001

      10 여민자, "통합학급 청각장애유아의 의사소통행동 향상을 위한 컴퓨터 활동 중심 상호작용 촉진전략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12 (12): 189-206, 2003

      1 김수진, "활동-중심 자연적 중재 적용 훈련이 자유선택활동 일과에서의 교사의 교수행동과 장애유아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 27 (27): 29-49, 2007

      2 이수정, "활동-기술 도표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21 (21): 213-237, 2005

      3 송미경,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9 (9): 67-90,

      4 박혜진,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가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37 (37): 237-257, 2002

      5 한성희, "특수교육에서의 단일대상연구 적용의 질적 개선을 위한 문헌 분석" 40 (40): 103-130, 2005

      6 강혜경, "특수교사와 치료교사간 협력적 접근을 통한 교실중심언어중재가 장애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7 김미영, "통합환경에서의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를 지닌 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6 (6): 85-107, 2006

      8 조숙경, "통합환경에서 또래협력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22 (22): 263-286,

      9 조광순, "통합환경내의 행동장애유아들을 위한 상황중심 기능평가와 중재의 효과" 17 (17): 173-205, 2001

      10 여민자, "통합학급 청각장애유아의 의사소통행동 향상을 위한 컴퓨터 활동 중심 상호작용 촉진전략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12 (12): 189-206, 2003

      11 정계숙, "통합학급 언어발달지체유아를 위한 사회적 언어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in 자연적 교수를 통하여" 22 (22): 239-269, 2006

      12 조윤경,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훈련이 교사교수행동 및 장애유아 행동에 미치는 영향" 7 (7): 131-155, 2007

      13 배성현, "통합된 소집단 협동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6 (6): 1-25, 2006

      14 이명희, "통합교실에서 또래 대화상대자 훈련이 장애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in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의 사용을 중심으로" 24 (24): 173-191, 2004

      15 이효신, "전래동요 놀이를 통한 자폐장애유아의 규칙지키기 행동 변화" 4 (4): 159-177, 2004

      16 이소현, "장애유아의 유치원 통합교육 현황 및 프로그램 지원 욕구" 39 (39): 189-212, 2004

      17 조윤경, "장애유아 통합의 긍정적·부정적 영향 및 실행 과정에서의 역할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37 (37): 297-318, 2003

      18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행요소 in 국내 연구에 나타난 요소들을 중심으로" 7 (7): 1-27, 2007

      19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 보육프로그램의 시작과 실행에 대한 시설장 및 교사들의 인식 in 통합프로그램 지원 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41 (41): 253-281, 2006

      20 김지영, "자연적 중재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교수가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8 (8): 253-274, 2003

      21 이소현, "유치원 통합교육을 위한개별화 교육과정의 개발 및 실행 방안 고찰" 7 (7): 111-135, 2007

      22 신미희, "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태도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6 (6): 69-84, 2006

      23 박은영, "우리나라 단일대상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고찰" 40 (40): 65-89, 2005

      24 도명애, "역할놀이가 자폐성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놀이참여에 미치는 영향" 23 (23): 291-318, 2007

      25 이민경, "선호활동선택이 유치원에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17 (17): 329-353, 2001

      26 신승미, "선호성 중심의 교육과정 수정ㆍ적용이 발달장애 유아의 활동참여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4 (4): 105-133, 2004

      27 박병숙, "사회 극놀이 중 교사의 개입이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시간 중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4 (4): 29-52, 2004

      28 권순황, "사진교환 의사소통체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유아의 말하기 표현신장에 미치는 효과" 22 (22): 317-338, 2006

      29 장혜원, "비장애유아와 함께하는 음악놀이가 어린이집에 통합된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16 (16): 133-150, 2007

      30 이명희,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를 통한 또래중재가 중도지체장애유아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12 (12): 317-333, 2007

      31 정계숙,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 촉진 프로그램의 효과" 14 (14): 235-246, 1998

      32 오세림, "문해활동 중심의 극놀이 중재가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문해활동에 미치는 영향" 7 (7): 248-268, 2002

      33 이효신, "기능평가를 통한 행동지원이 발달지체 유아들의 부적응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40 (40): 91-111, 2005

      34 권길복, "기능평가를 통한 통합유치원 정신지체 유아의 문제행동 중재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1 (1): 159-178, 2001

      35 장혜원, "긍정적 정서표현을 유도하는 음악활동이 장애유아의 어린이집 자유놀이 시간에서 또래를 향한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23 (23): 151-172, 2007

      36 김하종, "국내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실험 사례연구 분석" 14 (14): 67-87, 2005

      37 양명희, "구조화된 놀이 상황에서 자극용암법과 정적강화기법 사용이 선택적 함묵 유아의 말하기 행동에 미치는 효과" 22 (22): 29-47, 2006

      38 박소현ㆍ심현섭, "교실중심언어중재에 관한 문헌 고찰 in 1995-2005년의 연구를 중심으로" 4 (4): 1-20, 2005

      39 이인숙, "가정과 유치원,지역사회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의 바람직한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5 (5): 161-190, 2005

      40 Ratcliffe,N., "Use the environment to prevent discipline problems and support learning" 56 (56): 84-88, 2001

      41 Horner, R. H., "The use of single 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71 (71): 165-180, 2004

      42 Carnine,D., "The professional context for collaboration and collaborative research" (16) : 368-372, 1995

      43 Law,M., "Strategies for implementing evidence-based practice in early intervention" 13 (13): 32-40, 2000

      44 Wolf,M.M., "Social validity in The case for subjective measurement or how applied behavior analysis is finding its heart" (11) : 203-241, 1978

      45 Kazdin,A.E., "Single case research design"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46 Shavelon,R.J., "Scientific research in education" National Academy Press 2002

      47 Barnett,D.W., "Response to intervention in Empirically based special service decision from single-case design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intensity" (38) : 66-79, 1999

      48 LeLaurin,K., "Research standards in early intervention in Defining, describing, and measuring the independent variable" (16) : 275-287, 1992

      49 Wolery,M., "Reporting on studies using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24 (24): 85-89, 2001

      50 Craig-Unkefer,L.A., "Improving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at risk preschool children in a play context" 22 (22): 3-13, 2002

      51 Laus,M., "Following directions in Suggestions for facilitating success" 2 (2): 2-8, 1999

      52 Odom,S.L., "Evidence-based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 Contributions for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18 (18): 166-175, 2003

      53 Odom,S.L., "Evidence-based practice in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25 (25): 151-160, 2002

      54 Patrick,P.D., "Evidence-based care and the single- subject design" 13 (13): 60-73, 2000

      55 Lonigan,C.J., "Empirically supported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children in An overview" (27) : 138-145, 1998

      56 Stoiber,K.C., "Empirically supported interventions and school psychology in Rationale and methodological issues" (15) : 75-105, 2000

      57 Brotherson,M.,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nd their needs and issues for inclusive early childhood programs" 21 (21): 31-45, 2001

      58 Division for Early Childhood, "DEC recommended practices in Indictors of quality in program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eir families" Division for Early Childhood,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1993

      59 Brown,W.H., "An intervention hierarchy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s in natural environments" 21 (21): 162-175, 2002

      60 Furcell,M.L., "A qualitative study of the initiation and continuation of preschool inclusion programs" 74 (74): 85-99,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