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수진, "활동-중심 자연적 중재 적용 훈련이 자유선택활동 일과에서의 교사의 교수행동과 장애유아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 27 (27): 29-49, 2007
2 이수정, "활동-기술 도표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21 (21): 213-237, 2005
3 송미경,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9 (9): 67-90,
4 박혜진,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가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37 (37): 237-257, 2002
5 한성희, "특수교육에서의 단일대상연구 적용의 질적 개선을 위한 문헌 분석" 40 (40): 103-130, 2005
6 강혜경, "특수교사와 치료교사간 협력적 접근을 통한 교실중심언어중재가 장애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7 김미영, "통합환경에서의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를 지닌 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6 (6): 85-107, 2006
8 조숙경, "통합환경에서 또래협력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22 (22): 263-286,
9 조광순, "통합환경내의 행동장애유아들을 위한 상황중심 기능평가와 중재의 효과" 17 (17): 173-205, 2001
10 여민자, "통합학급 청각장애유아의 의사소통행동 향상을 위한 컴퓨터 활동 중심 상호작용 촉진전략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12 (12): 189-206, 2003
1 김수진, "활동-중심 자연적 중재 적용 훈련이 자유선택활동 일과에서의 교사의 교수행동과 장애유아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 27 (27): 29-49, 2007
2 이수정, "활동-기술 도표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21 (21): 213-237, 2005
3 송미경,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9 (9): 67-90,
4 박혜진, "학급도우미 역할 부여가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37 (37): 237-257, 2002
5 한성희, "특수교육에서의 단일대상연구 적용의 질적 개선을 위한 문헌 분석" 40 (40): 103-130, 2005
6 강혜경, "특수교사와 치료교사간 협력적 접근을 통한 교실중심언어중재가 장애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7 김미영, "통합환경에서의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를 지닌 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6 (6): 85-107, 2006
8 조숙경, "통합환경에서 또래협력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22 (22): 263-286,
9 조광순, "통합환경내의 행동장애유아들을 위한 상황중심 기능평가와 중재의 효과" 17 (17): 173-205, 2001
10 여민자, "통합학급 청각장애유아의 의사소통행동 향상을 위한 컴퓨터 활동 중심 상호작용 촉진전략의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12 (12): 189-206, 2003
11 정계숙, "통합학급 언어발달지체유아를 위한 사회적 언어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in 자연적 교수를 통하여" 22 (22): 239-269, 2006
12 조윤경,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훈련이 교사교수행동 및 장애유아 행동에 미치는 영향" 7 (7): 131-155, 2007
13 배성현, "통합된 소집단 협동놀이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6 (6): 1-25, 2006
14 이명희, "통합교실에서 또래 대화상대자 훈련이 장애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in 음성출력 의사소통 도구의 사용을 중심으로" 24 (24): 173-191, 2004
15 이효신, "전래동요 놀이를 통한 자폐장애유아의 규칙지키기 행동 변화" 4 (4): 159-177, 2004
16 이소현, "장애유아의 유치원 통합교육 현황 및 프로그램 지원 욕구" 39 (39): 189-212, 2004
17 조윤경, "장애유아 통합의 긍정적·부정적 영향 및 실행 과정에서의 역할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37 (37): 297-318, 2003
18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교육 실행요소 in 국내 연구에 나타난 요소들을 중심으로" 7 (7): 1-27, 2007
19 이소현, "장애유아 통합 보육프로그램의 시작과 실행에 대한 시설장 및 교사들의 인식 in 통합프로그램 지원 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41 (41): 253-281, 2006
20 김지영, "자연적 중재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교수가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8 (8): 253-274, 2003
21 이소현, "유치원 통합교육을 위한개별화 교육과정의 개발 및 실행 방안 고찰" 7 (7): 111-135, 2007
22 신미희, "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태도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6 (6): 69-84, 2006
23 박은영, "우리나라 단일대상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고찰" 40 (40): 65-89, 2005
24 도명애, "역할놀이가 자폐성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놀이참여에 미치는 영향" 23 (23): 291-318, 2007
25 이민경, "선호활동선택이 유치원에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17 (17): 329-353, 2001
26 신승미, "선호성 중심의 교육과정 수정ㆍ적용이 발달장애 유아의 활동참여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4 (4): 105-133, 2004
27 박병숙, "사회 극놀이 중 교사의 개입이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자유선택활동 시간 중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4 (4): 29-52, 2004
28 권순황, "사진교환 의사소통체계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유아의 말하기 표현신장에 미치는 효과" 22 (22): 317-338, 2006
29 장혜원, "비장애유아와 함께하는 음악놀이가 어린이집에 통합된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16 (16): 133-150, 2007
30 이명희, "보완대체 의사소통체계를 통한 또래중재가 중도지체장애유아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12 (12): 317-333, 2007
31 정계숙,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기술 촉진 프로그램의 효과" 14 (14): 235-246, 1998
32 오세림, "문해활동 중심의 극놀이 중재가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문해활동에 미치는 영향" 7 (7): 248-268, 2002
33 이효신, "기능평가를 통한 행동지원이 발달지체 유아들의 부적응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40 (40): 91-111, 2005
34 권길복, "기능평가를 통한 통합유치원 정신지체 유아의 문제행동 중재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1 (1): 159-178, 2001
35 장혜원, "긍정적 정서표현을 유도하는 음악활동이 장애유아의 어린이집 자유놀이 시간에서 또래를 향한 정서표현에 미치는 효과" 23 (23): 151-172, 2007
36 김하종, "국내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실험 사례연구 분석" 14 (14): 67-87, 2005
37 양명희, "구조화된 놀이 상황에서 자극용암법과 정적강화기법 사용이 선택적 함묵 유아의 말하기 행동에 미치는 효과" 22 (22): 29-47, 2006
38 박소현ㆍ심현섭, "교실중심언어중재에 관한 문헌 고찰 in 1995-2005년의 연구를 중심으로" 4 (4): 1-20, 2005
39 이인숙, "가정과 유치원,지역사회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의 바람직한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5 (5): 161-190, 2005
40 Ratcliffe,N., "Use the environment to prevent discipline problems and support learning" 56 (56): 84-88, 2001
41 Horner, R. H., "The use of single 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71 (71): 165-180, 2004
42 Carnine,D., "The professional context for collaboration and collaborative research" (16) : 368-372, 1995
43 Law,M., "Strategies for implementing evidence-based practice in early intervention" 13 (13): 32-40, 2000
44 Wolf,M.M., "Social validity in The case for subjective measurement or how applied behavior analysis is finding its heart" (11) : 203-241, 1978
45 Kazdin,A.E., "Single case research design"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46 Shavelon,R.J., "Scientific research in education" National Academy Press 2002
47 Barnett,D.W., "Response to intervention in Empirically based special service decision from single-case design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intensity" (38) : 66-79, 1999
48 LeLaurin,K., "Research standards in early intervention in Defining, describing, and measuring the independent variable" (16) : 275-287, 1992
49 Wolery,M., "Reporting on studies using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24 (24): 85-89, 2001
50 Craig-Unkefer,L.A., "Improving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at risk preschool children in a play context" 22 (22): 3-13, 2002
51 Laus,M., "Following directions in Suggestions for facilitating success" 2 (2): 2-8, 1999
52 Odom,S.L., "Evidence-based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in Contributions for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18 (18): 166-175, 2003
53 Odom,S.L., "Evidence-based practice in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25 (25): 151-160, 2002
54 Patrick,P.D., "Evidence-based care and the single- subject design" 13 (13): 60-73, 2000
55 Lonigan,C.J., "Empirically supported psychosocial intervention for children in An overview" (27) : 138-145, 1998
56 Stoiber,K.C., "Empirically supported interventions and school psychology in Rationale and methodological issues" (15) : 75-105, 2000
57 Brotherson,M.,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and their needs and issues for inclusive early childhood programs" 21 (21): 31-45, 2001
58 Division for Early Childhood, "DEC recommended practices in Indictors of quality in program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eir families" Division for Early Childhood,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1993
59 Brown,W.H., "An intervention hierarchy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s in natural environments" 21 (21): 162-175, 2002
60 Furcell,M.L., "A qualitative study of the initiation and continuation of preschool inclusion programs" 74 (74): 85-99,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