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에서 동일성의 반복과 이를 반영한 표현 은 양식화로 인하여 그 독창성을 의심 받고 있으며, 다원화로 확장된 의식과 표현은 소통부재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동일성의 극복을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86025
2011
Korean
6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75-185(1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미술에서 동일성의 반복과 이를 반영한 표현 은 양식화로 인하여 그 독창성을 의심 받고 있으며, 다원화로 확장된 의식과 표현은 소통부재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동일성의 극복을 통...
현대미술에서 동일성의 반복과 이를 반영한 표현 은 양식화로 인하여 그 독창성을 의심 받고 있으며, 다원화로 확장된 의식과 표현은 소통부재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동일성의 극복을 통한 근대 이후 미 술의 현장의 노력은 전승된 양식의 해체와 대안의 실험으로 가득하다. 대중주의의 확산과 디지털의 상호작용성은 미술의 가치체계를 흔들고 비평의 새로 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미술에서 동일성의 해체와 표현과 의식의 확장을 본인의 회화에 구현된 해체와 비정주적 표현의 분 석을 통하여 노마디즘적 회화의 확장성과 소통 그 리고 예술적 변용의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reativity in modern art is doubted due to the repetition of identity and the formalized expression of it.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expanded by pluralization reveals communication breakdowns that modern art is likely to have. Post-modern art i...
The creativity in modern art is doubted due to the repetition of identity and the formalized expression of it. Consciousness and expression expanded by pluralization reveals communication breakdowns that modern art is likely to have. Post-modern art is full of experiments with the deconstruction of and alternatives to transmitted styles of art in efforts to overcome the identity problem. Deleze proposed critical views against the emission of human subjecthood`s potential desire and various reasons for the oppression of it. Deleze regarded metaphysics and the concept of identity as the suppression of the potential desire and advocated nomadism leading to the de-territorialisation of the potential desire. This is in agreement of modern art`s pluralistic experiments and nomadism. This study examines the deconstruction of identity and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that changes in episteme seem to accompany. It also considers the expansion and communication of nomadism and the possibility of artistic transformations by analyzing the deconstructive and non-sedentary expressions realized in the author`s painting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계원, "확장된 개념의 회화표면과 그 형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0
2 심명숙, "현대미술의 탈구축과 반근대적 특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2010
3 송옥호, "현대미술에 있어서 해체와 이미지 차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3
4 이광래, "해체주의와 그 이후" 열린책들 2007
5 심웅택, "프란시스베이컨 작품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2007
6 조명식, "팝아트의 대중주의 전략과 그 한계 -탈구축과 다원성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3 (13): 251-262, 2010
7 Gilles Deleuze,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5
8 서양미술사학회,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1997
9 김재인, "베르그손주의" 문학과 지성 1996
10 이광래, "방법을 철학한다 해체에서 융합으로" 知와사랑 2008
1 이계원, "확장된 개념의 회화표면과 그 형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0
2 심명숙, "현대미술의 탈구축과 반근대적 특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2010
3 송옥호, "현대미술에 있어서 해체와 이미지 차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3
4 이광래, "해체주의와 그 이후" 열린책들 2007
5 심웅택, "프란시스베이컨 작품분석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2007
6 조명식, "팝아트의 대중주의 전략과 그 한계 -탈구축과 다원성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3 (13): 251-262, 2010
7 Gilles Deleuze,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5
8 서양미술사학회,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1997
9 김재인, "베르그손주의" 문학과 지성 1996
10 이광래, "방법을 철학한다 해체에서 융합으로" 知와사랑 2008
11 이광래, "미술의 종말과 엔드게임" 2010
12 이광래, "미술을 철학한다" 미술문화사 2007
13 이광래, "미술관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미술문화 2010
14 이지영, "들뢰즈 : 철학과 영화 :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이행" 悅話堂 2004
INTER-MEDIA ART에서 착종(錯綜) 현상에 관한 고찰
블라봐츠키의 신지학 이론의 수용에 관한 연구 -20세기 초의 추상미술의 정신을 중심으로-
일본근대판화의 탄생과 그 시대적 역할 -평면적 전개로부터 조형적 회화의 발상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예술과 미디어학회 -> 예술과미디어학회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0-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 예술과 미디어학회영문명 : Council for Advanced Media & Moving pictures ->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7-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5 | 0.25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3 | 0.531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