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focuses on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Aesop’s fable in Gasa style, focusing on the “Godam(古談)” column of the Kyunghyang Magazine. The “Godam” column is intended to convey lessons through fables, the content is Aesop's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07178
김강은 (성균관대학교)
2019
Korean
京鄕雜誌 ; 이솝우화 ; 가사체 우화 ; 啓蒙歌辭 ; 歌辭體 ; 歌辭 ; 敍事 ; 敎訓 ; Kyunghyang Magazine ; Aesop’s Fables ; Fables in Gasa Style ; Enlightening-Gasa ; Gasa Style ; Gasa ; Narrative ; Lesson
KCI등재
학술저널
157-179(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Aesop’s fable in Gasa style, focusing on the “Godam(古談)” column of the Kyunghyang Magazine. The “Godam” column is intended to convey lessons through fables, the content is Aesop's ...
This paper focuses on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the Aesop’s fable in Gasa style, focusing on the “Godam(古談)” column of the Kyunghyang Magazine. The “Godam” column is intended to convey lessons through fables, the content is Aesop's fable, but the form is a Gasa style.
First, look at what aspects, there is the story and added lessons can be seen that having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content of the lesson, it was confirmed that several lessons were overlapped more than a single lesson in one story. The content of the lesson here is very critical, so social issues such as hi-color and foreign excursion have been presented.
In regard to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narrative incompleteness of Aesop's Fable complemented by Gasa format. It can be seen that the Aesop's fable, an incomplete narrative form, and the stylized open-ended object have found their own contact points.
국문 초록 (Abstract)
김강은, 2019, 가사체 우화의 성격과 의의, 어문연구, 181 : 157~179 본고는 <京鄕雜誌>의 ‘古談’을 중심으로, 가사체 우화의 성격과 의의에 대해 조망하였다. <京鄕雜誌>의 古談란은 우...
김강은, 2019, 가사체 우화의 성격과 의의, 어문연구, 181 : 157~179 본고는 <京鄕雜誌>의 ‘古談’을 중심으로, 가사체 우화의 성격과 의의에 대해 조망하였다. <京鄕雜誌>의 古談란은 우화를 통해 교훈을 전달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내용은 이솝우화이지만 형식은 4·4조의 가사체이다. 우선 내용적 측면을 살펴보면, 본 이야기와 추가된 교훈이 서로 연관성을 지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교훈의 내용과 관련해서는 한 이야기에서 단일한 교훈보다 여러 교훈들이 중첩적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교훈의 내용은 매우 현실 비판적이었는데, 만국 유람과 상업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오로지 농업만을 강조하였다는 입장을 취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한편 양식적 특성과 관련해서는, 이솝우화가 가사 형식으로 변환되면서 독자의 이해를 더욱 원활하게 했다는 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는 불완전한 서사 양식의 이솝우화와, 양식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가사체가 나름의 접점을 찾은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세민, "한국 최장수 잡지《경향잡지》연구" 한국출판학회 (51) : 265-351, 2006
2 김용희, "한국 창작동화의 형성과정과 구성원리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3 이혜정, "천주가사의 저작배경과 내용의 변화" 한국종교학회 통권 (통권): 391-420, 2004
4 윤세민, "창간 100년 경향잡지 연구"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6-, 2006
5 임기중, "역대가사문학집성" 아세아문화사 1998
6 강진호, "근대계몽기의 ‘독본’과 서사 양식 - 紀事, 話, 이기, 이솝우화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67) : 9-46, 2016
7 허경진, "근대계몽기 조선의 이솝우화" 보고사 2009
8 이형대,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한국시조학회 (32) : 9-33, 2010
9 고은지, "계몽가사의 문학적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 양식적 원리와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10 김종회, "개화기 천주가사의 세계- 새로운 연구 방향의모색을 위한 시론" 현대문학이론학회 (26집) : 69-84, 2005
1 윤세민, "한국 최장수 잡지《경향잡지》연구" 한국출판학회 (51) : 265-351, 2006
2 김용희, "한국 창작동화의 형성과정과 구성원리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3 이혜정, "천주가사의 저작배경과 내용의 변화" 한국종교학회 통권 (통권): 391-420, 2004
4 윤세민, "창간 100년 경향잡지 연구"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6-, 2006
5 임기중, "역대가사문학집성" 아세아문화사 1998
6 강진호, "근대계몽기의 ‘독본’과 서사 양식 - 紀事, 話, 이기, 이솝우화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67) : 9-46, 2016
7 허경진, "근대계몽기 조선의 이솝우화" 보고사 2009
8 이형대, "근대계몽기 시가 장르의 존재 양상과 근대적 대응 -근대계몽기 시가사 인식의 구도와 관련하여-" 한국시조학회 (32) : 9-33, 2010
9 고은지, "계몽가사의 문학적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 양식적 원리와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10 김종회, "개화기 천주가사의 세계- 새로운 연구 방향의모색을 위한 시론" 현대문학이론학회 (26집) : 69-84, 2005
11 구인모, "가사체(歌辭體) 형식의 창가화(唱歌化)에 대하여" 동악어문학회 (51) : 107-137, 2008
12 조세형, "가사 장르의 담론 특성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3 "京鄕雜誌"
14 윤선자, "《경향잡지》의 〈관보적요〉 분석" (재)한국교회사연구소 (44) : 245-284, 2014
15 윤인선, "《경향잡지》 소재 〈은화〉 에 나타나는 천주교 공동체 고난 경험에 관한 역사 재현적 글쓰기"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13) : 297-327, 2016
16 김윤선, "≪경향잡지≫ 게재 천주교 미담(美談)의 전개 양상 및 가치" 국제언어인문학회 15 (15): 11-43, 2013
17 Lee, Hyunjoo, "The introduction of Western theater in early 20th century and Korean Catholic Church - “The Understanting of Theatre”, Kyunghyang Magazine, Feburary 15, 1917"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 1 (1): 173-207, 2018
18 조지형, "1906~1910년 경향신문 소재 천주가사의 특성과 그 지향" 국어문학회 46 : 273-302, 2009
聲調 方言의 非語頭 長音에 관한 問題 -만두소:(LLR), 그래:도(LRH) ; 아랫마:(LLF), 바래:고(LFL) 유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9-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942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