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reveal about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Wang-O-Chunchookgook-Jun”(往五天竺國傳), which is the first Korean travelogue essay on India and some other countries nearby written by the monk Hyecho(704~780) at ar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604001
2012
-
810
KCI등재
학술저널
181-216(3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reveal about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Wang-O-Chunchookgook-Jun”(往五天竺國傳), which is the first Korean travelogue essay on India and some other countries nearby written by the monk Hyecho(704~780) at a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reveal about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Wang-O-Chunchookgook-Jun”(往五天竺國傳), which is the first Korean travelogue essay on India and some other countries nearby written by the monk Hyecho(704~780) at around 1300years ago, and its literary meanings. This document is conveyed as the form off the back and forth and plus, it is housed in French National Museum. This had been the starting point for the formation of the new school so-called “Dunhwang” since it dramatically discovered by P. Pelliot Pelliot(French scholar) in 1908. This document shows the circumstances of the 8th century’s India and its surrounding area very well, as one of travelogue essay of the four pilgrimage period with “Bulgukgi”(佛國記), “Daedangseoyeokgi”(大唐西域記), “Daedanggubeobgosengjeon”(大唐西域求法高僧傳). Therefore this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various angles from many scholars of the Eastern and Western academics such as historical research about a author, types of documents, characteristics, narrative aspects, translation, etc. A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ang-O-Chunchookgook-Jun”(往五天竺國傳) shows the various aspects on discourse characteristics by “separation of Subject”, travelling Subject and narrative Subject. Travelling Subject is a “text speaker”, “Subject of contents” and “shown Subject”. Narrative Subject however is a “Subject who is writing” “travelling experiences”, “Subject of acting”, and “seeing Subject”. In the discourse that “Travelling Subject” becomes centered, it is discovered that “other-discourse”, “objective form”, “epistemological landscape” and “Prose-centered discourse”, etc. On the other hand, in the discourse that “Narrative Subject” becomes centered, it is discovered that “coexistence of self-discourse and other-discourse”, “Subjective form”, “ontological landscape”, “the bargaining of prose-poetry”, etc.
These discourse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literary implications, the author as the public self and the one as the private self. The former has the meaning of ‘journey for purpose’ to deliver information to people with a position of monk and political point of view in Buddhism, the latter has the meaning of “inner journey” to look for the author himself and to show the maturation process of huma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규, "혜초인물 자료 검증: 往五天竺國傳 저자 慧超는 과연 신라인일까"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 : 121-151, 2010
2 박기석, "혜초 <왕오천축국전>의 기행문학적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2) : 33-58, 2006
3 "한국역사정보시스템"
4 윤치부, "표해류 작품의 종합적 고찰, In 고전산문연구 1" 태학사 155-159, 1998
5 이효덕, "표상 공간의 근대" 소명출판 42-43, 2002
6 "조선왕조실록 세종 16년 11월 5일조 기사"
7 혜초, "왕오천축국전" 학고재 2004
8 권덕영, "신라 '西化' 구법승과 그 사회"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319-347, 2007
9 박상영, "사설시조 웃음의 미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10 김홍중, "문화사회학과 풍경(風景)의 문제:풍경 개념의 구성과 그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이론사회학회 (6) : 129-167, 2005
1 박현규, "혜초인물 자료 검증: 往五天竺國傳 저자 慧超는 과연 신라인일까" 한국고대사탐구학회 4 : 121-151, 2010
2 박기석, "혜초 <왕오천축국전>의 기행문학적 고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2) : 33-58, 2006
3 "한국역사정보시스템"
4 윤치부, "표해류 작품의 종합적 고찰, In 고전산문연구 1" 태학사 155-159, 1998
5 이효덕, "표상 공간의 근대" 소명출판 42-43, 2002
6 "조선왕조실록 세종 16년 11월 5일조 기사"
7 혜초, "왕오천축국전" 학고재 2004
8 권덕영, "신라 '西化' 구법승과 그 사회"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319-347, 2007
9 박상영, "사설시조 웃음의 미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10 김홍중, "문화사회학과 풍경(風景)의 문제:풍경 개념의 구성과 그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이론사회학회 (6) : 129-167, 2005
11 허흥식, "고려시대의 國師․王師制度와 그 기능" 역사학회 67 : 1-44, 1975
12 박윤진, "고려시대 王師?國師에 대한 대우" 역사학회 (190) : 1-32, 2006
13 "鳳林寺眞鏡大師寶月凌空塔碑"
14 원효, "金光明最經勝王經玄樞 9권, 大正藏56冊"
15 "薩遮尼乾子經, 大正藏 9冊"
16 "有唐新羅國故康州智異山雙溪寺敎謚眞鑑國師碑銘幷序, 海東金石苑 1"
17 "普願寺法印國師寶乘塔碑"
18 엄기표, "新羅時代 浮屠와 塔碑가 건립된 僧侶들의 지위와 활동" 한국고대학회 (31) : 227-257, 2009
19 이세호, "新羅 中代 王權과 密敎" 동국사학회 (49) : 265-292, 2010
20 이구의, "慧超 ≪往五天竺國傳≫의 敍事構造와 그 意味" 동아인문학회 (20) : 161-187, 2011
21 신은경, "往五天竺國傳에 대한 비교문학적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66) : 55-86, 2008
22 "太子寺朗空大師白月栖雲塔碑"
23 이용재, "『大唐西域記』와 『往五天竺國傳』의 文學的 比較 硏究" 중국어문학연구회 (56) : 369-407, 2009
24 김일렬, "<往五天竺國傳>에 관한 문학적 연구" 경북어문학회 15 : 67-87, 1981
25 최연식, "8세기 신라 불교의 동향과 동아시아 불교계" 불교학연구회 (12) : 241-273, 2005
26 김상현, "7세기 후반 신라불교의 정법치국론" 신라문화연구소 (30) : 91-115, 2007
27 김효주, "1930년대 여행소설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28 일연, "(晩松文庫本) 三國遺事 4권, <歸竺諸帥>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2 | 0.55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