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회화적 변용에 의한 자연의 다원성 연구 = (A) study on diversification of nature through modification of pain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1789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 회화과 , 2006.2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59.951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v, 31장 : 채색삽도,도판 (특수매수에 한함) ; 26 cm + 별책1책

      • 일반주기명

        별책부록: 流, Tak Jung Im 2nd solo exhibition([20] p. ; 23 cm)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연을 주제로 한 작품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래전부터 표현되어 왔다. 자연(自然)에 대한 인간의 사고가 시대와 역사에 따라 변하고, 현대에 이르러 미술의 개념이 폭 넓어지면서 표현매체와 장르도 경계가 허물어져 표현방법도 다양해졌다. 또한 현대의 자연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사회생활뿐만 아니라 예술 분야에도 변화를 가져왔는데 그것은 미(渼)에 대한 관점이 새롭게 대두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세기까지 평면 공간에 환영을 재현하기 위한 원근법, 명암법, 해부학 등을 사용하였으나, 20세기에 이르러서는 전통적 사고에서 벗어나 작가 개인의 정신성과 본질성 탐구 등을 포함한 미의식의 표현이 새로운 관점으로 인식되었다. 현대미술의 발전은 회화적인 공간을 구성하는데 있어 표현매체의 다양성과 표현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과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본인의 작품은 자연의 흐름과 순환, 회귀라는 자연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자연의 이치에 의한 회화의 공간은 대상의 객관적 사실에 바탕을 두었는데, 주관적인 통찰에 의해 구성된 대상은 분해 되었다가 다시 중첩되면서 사각화면을 가득 채운다. 순환되어 반복되는 자연의 이미지는 점, 선, 면 등을 사용하여 표현되었다. 본인의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선이 지니고 있는 본질로서의 상징적 의미의 재해석과 이를 통한 내면세계의 표현, 그리고 자연과 인간의 만남 속에서 생성되는 관계는 전통소재인 한지에 중첩된 이미지로 조형화된다.
      동서양화에 있어서 선의 개념과 추상적 이미지가 갖는 의미는 구성요소의 특성을 통해 조형성을 연구하면서 독창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다양한 물질성과 표현성을 갖는 현대 미술의 흐름 속에서 우리의 전통적인 물성 작업을 바탕으로 정체성을 찾아 발전시키는 것이다.
      번역하기

      자연을 주제로 한 작품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래전부터 표현되어 왔다. 자연(自然)에 대한 인간의 사고가 시대와 역사에 따라 변하고, 현대에 이르러 미술의 개념이 폭 넓어지면서 표현매...

      자연을 주제로 한 작품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래전부터 표현되어 왔다. 자연(自然)에 대한 인간의 사고가 시대와 역사에 따라 변하고, 현대에 이르러 미술의 개념이 폭 넓어지면서 표현매체와 장르도 경계가 허물어져 표현방법도 다양해졌다. 또한 현대의 자연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사회생활뿐만 아니라 예술 분야에도 변화를 가져왔는데 그것은 미(渼)에 대한 관점이 새롭게 대두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세기까지 평면 공간에 환영을 재현하기 위한 원근법, 명암법, 해부학 등을 사용하였으나, 20세기에 이르러서는 전통적 사고에서 벗어나 작가 개인의 정신성과 본질성 탐구 등을 포함한 미의식의 표현이 새로운 관점으로 인식되었다. 현대미술의 발전은 회화적인 공간을 구성하는데 있어 표현매체의 다양성과 표현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과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본인의 작품은 자연의 흐름과 순환, 회귀라는 자연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자연의 이치에 의한 회화의 공간은 대상의 객관적 사실에 바탕을 두었는데, 주관적인 통찰에 의해 구성된 대상은 분해 되었다가 다시 중첩되면서 사각화면을 가득 채운다. 순환되어 반복되는 자연의 이미지는 점, 선, 면 등을 사용하여 표현되었다. 본인의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선이 지니고 있는 본질로서의 상징적 의미의 재해석과 이를 통한 내면세계의 표현, 그리고 자연과 인간의 만남 속에서 생성되는 관계는 전통소재인 한지에 중첩된 이미지로 조형화된다.
      동서양화에 있어서 선의 개념과 추상적 이미지가 갖는 의미는 구성요소의 특성을 통해 조형성을 연구하면서 독창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립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다양한 물질성과 표현성을 갖는 현대 미술의 흐름 속에서 우리의 전통적인 물성 작업을 바탕으로 정체성을 찾아 발전시키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rks to address nature have been expressed from days of old without distinction of East or West. As human thinking of nature has changed according to times and history, and the concept of fine art widened as modern times began, expression media and genres crossed the border and the way of expression became diversified.
      In addition, the advancement of natural science in the modern times brought changes to arts as well as social life, and this means that new perspectives of beauty are emerging.
      Until the 19th century, perspective, shading, anatomy, and others were used in order to reproduce images in plane space. As the 20th century began, departing from the conventional thinking, the expression of beauty consciousness such as spirits of individual authors and the exploration of essence has gained recognition as a new perspective.
      The development of modern fine art arises from the efforts to expand the diversification of expression media and surmount the limitation of expression methods in composing a painting space and from the inquiry into the essence of existence.
      The works of the author embody the image of nature, Which includes the flow, circulation, and return of nature. The space of painting according to the law of nature is based on the objective facts of objects. The objects comprised by subjective insight are decomposed and filled a square surface while being overlapped again. The image of nature which is circulated and overlapped was expressed with points, lines, and side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symbolic meaning of the lines, that are expressed in the works of the author, carry, the expression of internal world through it, and the relationship created through rendezvous of nature and human are shaped as overlapped image in hanji, which is Korean traditional material.
      The significance the concept and abstract image of line implies in both Oriental and Western painting has been established creative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together with the study of formativity.
      In the current of modern fine art which has various material properties and expression method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art and develop it through the works, which were made during this study.
      번역하기

      Works to address nature have been expressed from days of old without distinction of East or West. As human thinking of nature has changed according to times and history, and the concept of fine art widened as modern times began, expression media and g...

      Works to address nature have been expressed from days of old without distinction of East or West. As human thinking of nature has changed according to times and history, and the concept of fine art widened as modern times began, expression media and genres crossed the border and the way of expression became diversified.
      In addition, the advancement of natural science in the modern times brought changes to arts as well as social life, and this means that new perspectives of beauty are emerging.
      Until the 19th century, perspective, shading, anatomy, and others were used in order to reproduce images in plane space. As the 20th century began, departing from the conventional thinking, the expression of beauty consciousness such as spirits of individual authors and the exploration of essence has gained recognition as a new perspective.
      The development of modern fine art arises from the efforts to expand the diversification of expression media and surmount the limitation of expression methods in composing a painting space and from the inquiry into the essence of existence.
      The works of the author embody the image of nature, Which includes the flow, circulation, and return of nature. The space of painting according to the law of nature is based on the objective facts of objects. The objects comprised by subjective insight are decomposed and filled a square surface while being overlapped again. The image of nature which is circulated and overlapped was expressed with points, lines, and side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symbolic meaning of the lines, that are expressed in the works of the author, carry, the expression of internal world through it, and the relationship created through rendezvous of nature and human are shaped as overlapped image in hanji, which is Korean traditional material.
      The significance the concept and abstract image of line implies in both Oriental and Western painting has been established creative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together with the study of formativity.
      In the current of modern fine art which has various material properties and expression method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art and develop it through the works, which were made during this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대표작품 = ⅰ
      • 국문초록 = ⅱ
      • 서론 = 1
      • I. 작품 형성배경 = 3
      • 1.자연과 인간에 대한 해석 = 3
      • 대표작품 = ⅰ
      • 국문초록 = ⅱ
      • 서론 = 1
      • I. 작품 형성배경 = 3
      • 1.자연과 인간에 대한 해석 = 3
      • 2.자연의 재해석 = 4
      • Ⅱ. 작품의 전개 = 6
      • 1.중첩에 의한 공간과 시간 = 6
      • 2.선의 해석 = 7
      • Ⅲ. 작품 특성 분석 = 9
      • 1.선과 색채를 통한 표현 = 9
      • 2.전면적 화면 = 11
      • 3.유기적 해석 = 13
      • 4.한지의 특징 = 14
      • 결론 = 19
      • 참고문헌 = 21
      • 그림목차 = 23
      • 도판 = 24
      • 영문초록 = 3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