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필리핀 장기체류 외국인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Determinants of Long-staying Foreigners in the Philippines -Focused on Makati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8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residential choice characteristic factors, residential satisfaction to foreigners who have left their homeland to live in Metro Manila for a long time among other foreign nationals particularly Koreans.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in key cities in Metro Manila by selecting the factors universally used in previous studies at home and abroad. The whole model was estimated using the SPSS regression analysis pattern. As a result, the effect of 7 explanatory variables of residential choice characteristic factor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was calculated to hav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stimated coefficie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choice characteristic factors of foreign occupants in Metro Manila on their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in orders of amenity (healthiness) (0.269), safety (0.243), locationality (convenience) (0.236), sociality (0.217), educational environment (0.176), view (scenery) (0.169) and economic value (0.141).
      The subject foreign residents in Metro Manila felt a very high level of reliability as to residential satisfac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residential choice characteristic factors, residential satisfaction to foreigners who have left their homeland to live in Metro Manila for a long time among other foreign nationals particularly Korean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residential choice characteristic factors, residential satisfaction to foreigners who have left their homeland to live in Metro Manila for a long time among other foreign nationals particularly Koreans.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in key cities in Metro Manila by selecting the factors universally used in previous studies at home and abroad. The whole model was estimated using the SPSS regression analysis pattern. As a result, the effect of 7 explanatory variables of residential choice characteristic factor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was calculated to hav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stimated coefficie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 The effect of the residential choice characteristic factors of foreign occupants in Metro Manila on their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in orders of amenity (healthiness) (0.269), safety (0.243), locationality (convenience) (0.236), sociality (0.217), educational environment (0.176), view (scenery) (0.169) and economic value (0.141).
      The subject foreign residents in Metro Manila felt a very high level of reliability as to residential satisfa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매트로 마닐라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계교민과 더불어 고국을 떠나 필리핀에 장기체류하고 있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주거선택특성요인, 주거만족도를 파악해 보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한 요인을 선정하여 현지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회귀분석모형으로 전체모형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주거선택특성요인의 7개 설명변수가 종속변수인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추정계수로 산출되었다.
      이 결과 매트로 마닐라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들의 주거선택특성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쾌적(보건)성(0.269), 안전성(0.243), 입지(편리)성(0.236), 사회성(0.217), 교육환경(0.176), 조망(경치)성(0.169)과 경제성(0.141)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이 매트로 마닐라에서 느끼는 주거만족도는 신뢰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매트로 마닐라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계교민과 더불어 고국을 떠나 필리핀에 장기체류하고 있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주거선택특성요인, 주거만족도를 파악해 보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

      매트로 마닐라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계교민과 더불어 고국을 떠나 필리핀에 장기체류하고 있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주거선택특성요인, 주거만족도를 파악해 보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한 요인을 선정하여 현지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회귀분석모형으로 전체모형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주거선택특성요인의 7개 설명변수가 종속변수인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추정계수로 산출되었다.
      이 결과 매트로 마닐라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들의 주거선택특성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쾌적(보건)성(0.269), 안전성(0.243), 입지(편리)성(0.236), 사회성(0.217), 교육환경(0.176), 조망(경치)성(0.169)과 경제성(0.141)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이 매트로 마닐라에서 느끼는 주거만족도는 신뢰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코리아포스트"

      2 정무웅, "초고층 주거의 거주성․안정성 향상 방안 연구" 34 : 1999

      3 이영행, "청년 독신 가구의 원룸 선호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 2010

      4 김형돈, "지역·단지규모별 쾌적성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고층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93-103, 2002

      5 김기수, "중소도시 아파트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6 (6): 2006

      6 김황배, "접근성이론과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행정기관의 입지선정" 대한토목학회 26 (26): 385-391, 2006

      7 류현주, "울산시 중장년층 가구의 주의식과 주거선택" 2008

      8 윤복자, "신세대 소비자․대학생의 주거와 주거입지환경 선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5 (15): 1999

      9 박선영, "소비가치가 주택유형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75-91, 2005

      10 최유미, "서울시 가구특성별 주거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1996년부터 2006년까지 변화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195-210, 2008

      1 "코리아포스트"

      2 정무웅, "초고층 주거의 거주성․안정성 향상 방안 연구" 34 : 1999

      3 이영행, "청년 독신 가구의 원룸 선호도·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 2010

      4 김형돈, "지역·단지규모별 쾌적성이 공동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고층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93-103, 2002

      5 김기수, "중소도시 아파트의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6 (6): 2006

      6 김황배, "접근성이론과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행정기관의 입지선정" 대한토목학회 26 (26): 385-391, 2006

      7 류현주, "울산시 중장년층 가구의 주의식과 주거선택" 2008

      8 윤복자, "신세대 소비자․대학생의 주거와 주거입지환경 선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5 (15): 1999

      9 박선영, "소비가치가 주택유형 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75-91, 2005

      10 최유미, "서울시 가구특성별 주거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1996년부터 2006년까지 변화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195-210, 2008

      11 윤정중, "도시경관의 조망특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2 이강희, "도시가구의 주택점유선택 요인분석" 대한건축학회 13 (13): 1993

      13 박성하, "공동주택의 주거환경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14 오주용, "개발밀도에 따른 주거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25-42, 2006

      15 최막중,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수요에 관한 실증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6 (36): 2001

      16 林晩澤, "住居環境의 滿足度에 관한 實證的 연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0

      17 Shin Jung-Chul, "Residential Location Choice (Nested Logit Model)" Stanford University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감정평가연구 -> 부동산연구
      외국어명 : Korean Appraisal Review -> Korea Real Estate Review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6 1.1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