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4656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육컨설팅학과 , 2024. 2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156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장은정

      • UCI식별코드

        I804:11021-000000107669

      • 소장기관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necessary to support undergraduates’ career preparation based on practical research results not only in the cognitive domains but also in the behavioral domains, typical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cause undergraduate students must substantially prepare for their own careers during the university days. Based on this need of research,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More specific research objectives were as follows: Firstly, to identify the causal structural model fitness; Secondly, to identify direct impacts between variables; and Thirdly,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resilience.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4-year universities in Korea, and a total of 490 students from 7 universities were sampled using stratified, cluster, and ratio sampling methods. The instrument consisted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resili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demographic items and those items were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ere secured through pilot and main data collection. The pilo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th to 23rd, 2023 and some items were modified based on the pilot test result. The mai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5th to October 10th, 2003. A total of 560 copies of the instrument were distributed, and a total of 399 copi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IBM SPSS Statistics 21.0 and Amos 24.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self-direct learning. This means that the more students have faith that they can make wise career decision, the more prepared they are to control their own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as learners; Second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resilience. This means that the more students have faith in wise career decision making, the better they can cope with difficult situations related to their careers; Third, undergradua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resilience. This means that the more prepared they are to control their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the more efforts they will make to actively cope with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or difficult situations related to their careers; Fourth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resilience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respond flexibly to their career-related environment have a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ly, undergradua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more learners have a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behavior, the higher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comes; and Sixth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have greater belief that they can successfully perform the tasks necessary in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are more likely to displa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and research proces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need to conduct research with expanded sampl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 so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mple and conduct research to confirm differences by grade. In the case of freshm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have not yet performed specific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may not yet have matured in terms of career resilience,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crease as the grades go up; Secondl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tructural model that considers career decision level variabl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including career decision level variables; and Thirdly, since the variables related to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ve been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detailed research on the career guidance system and what preparations are needed within universities to support these preceding variables.
      번역하기

      It is necessary to support undergraduates’ career preparation based on practical research results not only in the cognitive domains but also in the behavioral domains, typical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cause undergraduate students must substa...

      It is necessary to support undergraduates’ career preparation based on practical research results not only in the cognitive domains but also in the behavioral domains, typical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cause undergraduate students must substantially prepare for their own careers during the university days. Based on this need of research,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More specific research objectives were as follows: Firstly, to identify the causal structural model fitness; Secondly, to identify direct impacts between variables; and Thirdly,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resilience.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4-year universities in Korea, and a total of 490 students from 7 universities were sampled using stratified, cluster, and ratio sampling methods. The instrument consisted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resili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demographic items and those items were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ere secured through pilot and main data collection. The pilo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th to 23rd, 2023 and some items were modified based on the pilot test result. The mai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5th to October 10th, 2003. A total of 560 copies of the instrument were distributed, and a total of 399 copi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IBM SPSS Statistics 21.0 and Amos 24.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self-direct learning. This means that the more students have faith that they can make wise career decision, the more prepared they are to control their own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as learners; Second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resilience. This means that the more students have faith in wise career decision making, the better they can cope with difficult situations related to their careers; Third, undergradua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resilience. This means that the more prepared they are to control their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the more efforts they will make to actively cope with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or difficult situations related to their careers; Fourth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resilience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respond flexibly to their career-related environment have a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ly, undergradua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more learners have a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behavior, the higher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comes; and Sixth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have greater belief that they can successfully perform the tasks necessary in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are more likely to displa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and research proces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need to conduct research with expanded sampl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 so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mple and conduct research to confirm differences by grade. In the case of freshm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have not yet performed specific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may not yet have matured in terms of career resilience,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crease as the grades go up; Secondl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tructural model that considers career decision level variabl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including career decision level variables; and Thirdly, since the variables related to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ve been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detailed research on the career guidance system and what preparations are needed within universities to support these preceding variab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생들은 재학 중 자신의 진로를 실질적으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행동적 영역, 대표적으로 진로준비행동 관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진로준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을 주된 목적을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인과적 구조 모형을 검정하고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밝히며, 셋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진로탄력성을 매개로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을 연구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고, 층화 표집, 군집 표집, 비율 표집을 활용하여 총 7개 대학, 490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과 인구통계학적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선행연구들에서 개발된 도구를 연구 맥락에 맞게 선정하여 활용하였으며,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예비조사는 2023년 9월 20일부터 9월 23일까지 실시하였고, 본조사는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역 문항을 일반 문항으로 수정하고, 문항의 순서를 일부 변경하여 2023년 9월 25일부터 10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560부의 조사도구를 배포하여 최종 39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과 Amos 24.0을 활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으며,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 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대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현명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질수록 학습자로서 자신의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을 통제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진로와 관련된 현명한 의사결정에 대한 신념을 가질수록 진로와 관련된 어려운 상황에 처하더라도 잘 대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진로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학습자로서 자신의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을 통제할 준비가 되어 있을수록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환경 변화나 어려운 상황에서도 적극 대처하기 위해 노력함을 의미한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대학생일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와 행동을 할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더 높아짐을 의미한다. 여섯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자신의 진로와 관련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필요한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믿음이 큰 학생일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론과 연구 수행 과정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표집을 확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 학년별로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나, 향후에는 표집을 확대하여 학년별로 차이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1학년의 경우 아직 구체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수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진로탄력성 측면에서도 아직 성숙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결정수준 변인을 고려한 구조모형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수준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해볼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관련된 변인들이 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으므로, 이들 선행 변인을 지원하기 위해서 대학 내에서 어떠한 준비가 필요한지 진로지도 체계에 대한 연구가 보다 구체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구조적 관계, 대학생
      번역하기

      대학생들은 재학 중 자신의 진로를 실질적으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행동적 영역, 대표적으로 진로준비행동 관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진로준비를 지원할...

      대학생들은 재학 중 자신의 진로를 실질적으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행동적 영역, 대표적으로 진로준비행동 관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진로준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을 주된 목적을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인과적 구조 모형을 검정하고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밝히며, 셋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진로탄력성을 매개로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을 연구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고, 층화 표집, 군집 표집, 비율 표집을 활용하여 총 7개 대학, 490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과 인구통계학적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선행연구들에서 개발된 도구를 연구 맥락에 맞게 선정하여 활용하였으며,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예비조사는 2023년 9월 20일부터 9월 23일까지 실시하였고, 본조사는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역 문항을 일반 문항으로 수정하고, 문항의 순서를 일부 변경하여 2023년 9월 25일부터 10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560부의 조사도구를 배포하여 최종 39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과 Amos 24.0을 활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으며,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 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대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현명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질수록 학습자로서 자신의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을 통제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진로와 관련된 현명한 의사결정에 대한 신념을 가질수록 진로와 관련된 어려운 상황에 처하더라도 잘 대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진로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학습자로서 자신의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을 통제할 준비가 되어 있을수록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환경 변화나 어려운 상황에서도 적극 대처하기 위해 노력함을 의미한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대학생일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와 행동을 할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더 높아짐을 의미한다. 여섯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자신의 진로와 관련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필요한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믿음이 큰 학생일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론과 연구 수행 과정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표집을 확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 학년별로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나, 향후에는 표집을 확대하여 학년별로 차이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1학년의 경우 아직 구체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수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진로탄력성 측면에서도 아직 성숙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결정수준 변인을 고려한 구조모형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수준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해볼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관련된 변인들이 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으므로, 이들 선행 변인을 지원하기 위해서 대학 내에서 어떠한 준비가 필요한지 진로지도 체계에 대한 연구가 보다 구체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구조적 관계, 대학생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3. 용어의 정의
      • Ⅰ. 서 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3. 용어의 정의
      • Ⅱ. 이론적 배경
      • 1. 대학생의 진로
      • 2. 진로결정자기효능감
      • 3. 자기주도학습
      • 4. 진로탄력성
      • 5. 진로준비행동
      • 6. 진로준비행동 관련 주요 변인 간의 관계
      • Ⅲ. 연구 방법
      • 1. 연구모형
      • 2. 연구가설
      • 3. 연구대상
      • 4. 연구절차
      • 5. 측정도구
      • 6. 분석방법
      • Ⅳ. 연구 결과
      • 1. 관찰변인 분석
      • 2. 측정모형 분석
      • 3. 인과적 구조모형 분석
      • Ⅴ. 논의 및 결론
      • 1. 논의
      • 2. 결론
      • 3. 제언
      • 참 고 문 헌
      • 부 록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