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몰입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의 대기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200719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51-370(20쪽)
1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몰입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의 대기업...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몰입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9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측정도구는 2X2 구조모형(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의 4요인 구조)의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와 최적 경험에 대한 Csikszentmihalyi(1990/2004)의 정의를 적용한 몰입 척도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직장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성취목표지향성은 숙달접근, 숙달회피 그리고 수행회피로, 숙달접근은 정적인 영향을, 숙달회피와 수행회피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성취목표지향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설명력은 30%였다. 성취목표지향성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숙달접근이 가장 큰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수행접근은 미약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숙달회피가 부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몰입에 대한 성취목표지향성의 설명력은 47%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취목표지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몰입의 매개효과는 숙달접근은 완전매개, 숙달회피는 부분매개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employe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find whether flow showed it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 To examine its effects,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low...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employe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find whether flow showed its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 To examine its effects,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low,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s were administered and: the total of 393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current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level of employees’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and ‘performance-avoidance’. Additionally, the employe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actors which influenced the level of flow were ‘mastery-approach’, ‘mastery-avoidance’ and ‘performance-approach’.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of flow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erfect mediation effect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of ‘mastery-approach’ a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were found in the relationship of ‘mastery-avoidance’.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근수, "한국형 일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81-112, 2007
2 소연희, "학습자 동기 특성 변인들이 고등학생들의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007-1028, 2007
3 이동귀, "직장인의 자기계발 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2 (22): 261-293, 2009
4 국민일보, "직장인 10명 중 2명만 “행복”. 15면"
5 성미송, "조직 장면에서 2×2 성취 목표 모형의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8 (18): 97-117, 2005
6 박에스더,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 몰입, 성취도, 만족도 간의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15 (15): 19-39, 2001
8 이희화, "순기능 완벽주의와 역기능 완벽주의의 성격 및 발달 비교 : 성격특질, 기질, 애착유형, 양육태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9 탁하얀,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0 권두승, "성인교육자의 교수동기, 몰입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61-185, 2007
1 박근수, "한국형 일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81-112, 2007
2 소연희, "학습자 동기 특성 변인들이 고등학생들의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1007-1028, 2007
3 이동귀, "직장인의 자기계발 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2 (22): 261-293, 2009
4 국민일보, "직장인 10명 중 2명만 “행복”. 15면"
5 성미송, "조직 장면에서 2×2 성취 목표 모형의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8 (18): 97-117, 2005
6 박에스더,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 과제의 실제성, 몰입, 성취도, 만족도 간의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7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15 (15): 19-39, 2001
8 이희화, "순기능 완벽주의와 역기능 완벽주의의 성격 및 발달 비교 : 성격특질, 기질, 애착유형, 양육태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9 탁하얀,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0 권두승, "성인교육자의 교수동기, 몰입 및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61-185, 2007
11 박병기, "변화신념,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및 주관적 안녕의 인과구조 탐색: Dweck 모형의 확장"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333-350, 2008
12 손지희, "몰입경험의 교육적 가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3 유영달, "몰입감이 시험상황에서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219-242, 2004
14 유영달, "몰입감 모델(flow model)의 심리치료적 활용"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35-55, 2005
15 고현정, "몰입, 스트레스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16 김창대, "몰입(Flow) 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모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0 (10): 5-30, 2002
17 이태정, "몰입 경험이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18 오홍석, "동기특성 변인들이 공기업 직장인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업무동기,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515-532, 2010
19 권성연, "대학생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49-71, 2007
20 LG경제연구원, "구성원이 몰입하지 못하는 이유"
21 마정희,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와 심리적 안녕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매개변인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22 Maehr, M., "Thoughts about motivation, In Research on motivation in education. 3" Academic Press 299-315, 1989
23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24 Kaplan, A.,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s: Does level of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make a difference?" 22 (22): 415-435, 1997
25 Goldberg, L. R., "The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4 : 26-42, 1992
26 Midgley, C.,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s assessing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23 (23): 113-131, 1998
27 Deci, E. L., "The concept of competence: A starting place for understanding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ed extrinsic motivation, In Handbook of competence and motivation" Guilford 579-597, 2005
28 Meece, J. L., "Students' 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80 (80): 514-523, 1988
29 Dweck, C. S., "Self-theories and goals: Their role in motivation, personality, and development, In Perspectives on Motivation.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235, 1991
30 Wells, A. J., "Self-esteem and optimal experience, In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31 Flett, G. L.,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frequency of perfectionistic thinking" 75 (75): 1363-1381, 1998
32 Harackiewicz, J. M., "Predictors and consequences of achievement goals in the college classroom : Maintaining interest and making the grade" 73 (73): 1284-1295, 1997
33 Pintrich, P. R., "Multiple goals, multiple pathways :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learning and achievement" 92 (92): 544-555, 2000
34 Dweck, C. S., "Motivational processes affecting learning" 41 (41): 1040-1048, 1986
35 Atkinson, J. W., "Motivational determinants of risk-taking behavior" 64 (64): 359-372, 1957
36 Iacobucci, D., "Meditation Analysis" Sage Publications 2008
37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57): 1069-1081, 1989
38 Csikszentmihalyi, M., "Happiness and creativity: Going with the flow. Special report on Happiness" 1997
39 Sheldon, K. M., "Goal striving, need satisfaction, and longitudinal well-being : The self-concordance model" 76 (76): 482-497, 1999
40 Sideridis, G. D., "Goal ori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depression : Evidence in favor of a revised goal theory framework" 97 (97): 366-375, 2005
41 Sheldon, K. M., "Getting older, getting better? personal strivings and psychological maturity across the life span" 37 (37): 491-501, 1998
42 Csikszentmihalyi, M., "Flow: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한울림 2004
43 Csikszentmihalyi, M.,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Basic Books 1997
44 Urdan, T. C., "Examining the relations among early adolescent students’ goals and friends’ orientation toward effort and achievement in school" 22 (22): 165-191, 1997
45 Franken, R. E., "Dislike of competition and the need to win : Self-image concerns, performance concerns and the distraction of attention" 11 : 695-712, 1996
46 Jackson, S.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 The flow state scale" 18 : 17-35, 1996
47 Pintrich, P. R., "Current issues in achievement goal theory and research" 39 (39): 319-337, 2003
48 Ames, C., "Classrooms :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84 (84): 261-271, 1992
49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Jossey-Bass 1975
50 Elliot, A. J., "Avoidance personal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23 (23): 915-927, 1997
51 Sobel, M. 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guation models" 13 : 290-312, 1982
52 Jackson, S. A., "Assessing Flow in Physical Activity : The Flow State Scale-2 and Dispositional Flow Scale-2" 24 : 133-150, 2002
53 Elliot, A. J.,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goals and intrinsic motivation : A mediational analysis" 70 (70): 461-475, 1996
54 Elliot, A. J., "Approach and achievement motivation" 34 : 169-189, 1999
55 Elliot, A. J., "Achievement goals, study strategies, and exam performance : A mediational analysis" 91 (91): 549-563, 1999
56 Ames, C.,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80 (80): 260-267, 1988
57 McGregor, H. A., "Achievement goals as predictors of achievement-relevant processes prior to task engagement" 94 (94): 381-395, 2002
58 Kaplan, A., "Achievement goals and student well-being" 24 (24): 330-358, 1999
59 Dweck, C. S., "Achievement Motivation,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 Wiley 643-691, 1983
60 Elliot, A. J.,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72 (72): 218-232, 1997
61 Dweck, C. S.,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95 (95): 256-273, 1988
62 Elliot, A. J., "A 2 × 2 achievement goal framework" 80 (80): 501-519, 2001
63 권성연, "2x2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13-240, 2008
64 경향신문, "2030세대 행복지수 평균 54점 “낙제 수준”. 온라인판, 사회-일반"
65 LG경제연구원, "2007년 대한민국 직장인 행복도"
66 Hoggard, L., "(영국 BBC 다큐멘터리) 행복: 행복전문가 6인이 밝히는 행복의 심리학" 예담 2006
초심 상담수련생과 내담자가 겪는 조기종결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초등학생의 자기보고 된 ADHD 성향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지각된 스트레스, 불안, 문제성 인터넷 사용과의 관계에서 걱정에 대한 상위인지의 다중매개효과
치료적 요인으로서의 상담자 요인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 차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6-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2 | 2.32 | 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39 | 2.58 | 3.685 | 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