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의․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탈놀이의 통합 및 융합 지도 방안 = A Study on the Integrated and Convergent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for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28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music has many genres that hold integrative nature. Among various genres,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can be regarded as “integrated” since it involves singing, dancing, instrumental performance, and play. Due to this property, research on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has been actively done. However, in real practice, typically at schools, the case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re rare. The study explored integration teaching methods and convergence teach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for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which meet the national policy “Korean STEAM education.”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13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s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o find common components of those. Next, it examined the teaching contents involved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in elementary textbooks.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this study developed integration instruc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nd looked for a way to teach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s blending with others.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includes dance elements such as the mask dancing, theatrical elements such as jokes and dialogues, musical elements such as singing, playing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music and formative elements such as masks and furnishings. It also includes historical, cultural and ideological elements. As a result of reviewing elementary textbooks,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has been taught in Korean, society, gym, music, art, and others. This is an indication that we can teach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with multiple integration courses. This study was developed integration teaching contents and common integrated instruc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based on such considerations. This study included creative thinking activity into integration teaching contents,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all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nd made a specific teaching plans focusing on ‘Bongsan Mask Dance'. Integration is simply combining related items, but fusion is creating something new out of the combination of given items.
      In this study, the author searched for convergence teaching methods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There are how to fuse other genres, how to fuse other art and culture, how to fuse other studies such as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convergence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teaching cases for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is a suitable subject for integrated and convergent education.
      번역하기

      Korean music has many genres that hold integrative nature. Among various genres,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can be regarded as “integrated” since it involves singing, dancing, instrumental performance, and play. Due to this property, ...

      Korean music has many genres that hold integrative nature. Among various genres,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can be regarded as “integrated” since it involves singing, dancing, instrumental performance, and play. Due to this property, research on the integrated educ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has been actively done. However, in real practice, typically at schools, the case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re rare. The study explored integration teaching methods and convergence teach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for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which meet the national policy “Korean STEAM education.”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13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s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o find common components of those. Next, it examined the teaching contents involved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in elementary textbooks.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this study developed integration instruc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nd looked for a way to teach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s blending with others.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includes dance elements such as the mask dancing, theatrical elements such as jokes and dialogues, musical elements such as singing, playing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music and formative elements such as masks and furnishings. It also includes historical, cultural and ideological elements. As a result of reviewing elementary textbooks,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has been taught in Korean, society, gym, music, art, and others. This is an indication that we can teach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with multiple integration courses. This study was developed integration teaching contents and common integrated instructional model of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based on such considerations. This study included creative thinking activity into integration teaching contents,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all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and made a specific teaching plans focusing on ‘Bongsan Mask Dance'. Integration is simply combining related items, but fusion is creating something new out of the combination of given items.
      In this study, the author searched for convergence teaching methods using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There are how to fuse other genres, how to fuse other art and culture, how to fuse other studies such as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convergence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specific teaching cases for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mask performance is a suitable subject for integrated and convergent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악에는 종합적․총체적 특성을 가진 장르들이 많다. 그 중에서 탈놀이는 가(歌), 무(舞), 악(樂), 희(戲), 극(劇) 등이 포함되어 있어 특히 통합적 또는 융합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놀이의 통합적․총체적 특성으로 인해 교육에서는 탈놀이를 활용한 통합 지도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학교 현장에서는 탈놀이를 통합적으로 지도하는 실질적인 사례가 드물고 이에 대한 인식도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융합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정책에 맞추어 창의․융합적 사고를 함양하는 탈놀이의 통합 및 융합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13가지 탈놀이의 내용을 조사하여 탈놀이의 통합적 구성 요소를 고찰하고 현행 교과서에 제시된 탈놀이 관련 지도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탈놀이의 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선정한 통합 지도 내용과 통합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창의․융합적 사고를 함양하는 탈놀이의 통합 및 융합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탈놀이는 탈춤이라는 무용적 요소, 재담과 대사라는 연극적 요소, 여러 장르의 노래와 반주음악, 악기연주, 악기 등의 음악적 요소, 탈과 소품 등의 조형적 요소뿐만 아니라 이야기에 담긴 사상과 유래, 민속 문화적 가치 등 역사적․문화적․사상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탈놀이 관련 내용을 고찰한 결과, 탈놀이는 국어, 사회, 체육, 음악, 미술 교과 등에서 다루고 있었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탈놀이의 통합 지도 내용 선정과 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할 수 있었다. 탈놀이의 통합 지도 내용은 탈놀이에 포함된 구성 요소를 지도할 수 있도록 선정하였고 더불어 창의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창의 활동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모든 탈놀이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봉산탈춤을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지도 계획도 세워보았다.
      통합은 관련된 것을 단순히 합치는 것이지만 융합은 합쳐서 새롭게 바꾸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탈놀이의 통합 지도 방안 뿐 아니라 융합 지도 방안도 모색하였다. 탈놀이의 융합 지도 방안으로 국악의 다른 장르와 융합하는 방법, 국악이외의 문화 예술과 융합하는 방법, 기존 탈놀이에 전혀 포함되지 않은 다른 교과나 학문 예컨대 과학․기술 등과 융합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융합 지도 방안을 가지고 창의․융합적 사고를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융합 지도 사례를 몇 가지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 탈놀이는 통합 및 융합 지도하기에 매우 적합한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국악에는 종합적․총체적 특성을 가진 장르들이 많다. 그 중에서 탈놀이는 가(歌), 무(舞), 악(樂), 희(戲), 극(劇) 등이 포함되어 있어 특히 통합적 또는 융합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

      국악에는 종합적․총체적 특성을 가진 장르들이 많다. 그 중에서 탈놀이는 가(歌), 무(舞), 악(樂), 희(戲), 극(劇) 등이 포함되어 있어 특히 통합적 또는 융합적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놀이의 통합적․총체적 특성으로 인해 교육에서는 탈놀이를 활용한 통합 지도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학교 현장에서는 탈놀이를 통합적으로 지도하는 실질적인 사례가 드물고 이에 대한 인식도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융합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정책에 맞추어 창의․융합적 사고를 함양하는 탈놀이의 통합 및 융합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13가지 탈놀이의 내용을 조사하여 탈놀이의 통합적 구성 요소를 고찰하고 현행 교과서에 제시된 탈놀이 관련 지도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탈놀이의 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선정한 통합 지도 내용과 통합 수업 모형을 바탕으로 창의․융합적 사고를 함양하는 탈놀이의 통합 및 융합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탈놀이는 탈춤이라는 무용적 요소, 재담과 대사라는 연극적 요소, 여러 장르의 노래와 반주음악, 악기연주, 악기 등의 음악적 요소, 탈과 소품 등의 조형적 요소뿐만 아니라 이야기에 담긴 사상과 유래, 민속 문화적 가치 등 역사적․문화적․사상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탈놀이 관련 내용을 고찰한 결과, 탈놀이는 국어, 사회, 체육, 음악, 미술 교과 등에서 다루고 있었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탈놀이의 통합 지도 내용 선정과 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할 수 있었다. 탈놀이의 통합 지도 내용은 탈놀이에 포함된 구성 요소를 지도할 수 있도록 선정하였고 더불어 창의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창의 활동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모든 탈놀이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봉산탈춤을 대상으로 한 구체적인 지도 계획도 세워보았다.
      통합은 관련된 것을 단순히 합치는 것이지만 융합은 합쳐서 새롭게 바꾸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탈놀이의 통합 지도 방안 뿐 아니라 융합 지도 방안도 모색하였다. 탈놀이의 융합 지도 방안으로 국악의 다른 장르와 융합하는 방법, 국악이외의 문화 예술과 융합하는 방법, 기존 탈놀이에 전혀 포함되지 않은 다른 교과나 학문 예컨대 과학․기술 등과 융합하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융합 지도 방안을 가지고 창의․융합적 사고를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융합 지도 사례를 몇 가지 제안하였으며 그 결과 탈놀이는 통합 및 융합 지도하기에 매우 적합한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식, "한국의 탈놀이 음악" 용인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3 : 2004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한국민속사전 편찬위원회, "한국민속대사전" 민중서관 1998

      4 "한국민속대백과사전"

      5 전신재, "한국 탈놀이의 융복합문화적 성격" 한국공연문화학회 (29) : 515-538, 2014

      6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7 유정현, "하회별신굿탈놀이 교육 방안 연구 :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9학년 과정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서윤희, "통합교과에 의한 고성오광대 수업 모형 개발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6

      9 "통영오광대보존회"

      10 이소라, "탈놀이의 종합예술성 : 수영야류의 노래 고찰" 한국공연문화학회 5 : 2002

      1 이용식, "한국의 탈놀이 음악" 용인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3 : 2004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한국민속사전 편찬위원회, "한국민속대사전" 민중서관 1998

      4 "한국민속대백과사전"

      5 전신재, "한국 탈놀이의 융복합문화적 성격" 한국공연문화학회 (29) : 515-538, 2014

      6 "하회별신굿탈놀이보존회"

      7 유정현, "하회별신굿탈놀이 교육 방안 연구 :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9학년 과정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서윤희, "통합교과에 의한 고성오광대 수업 모형 개발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06

      9 "통영오광대보존회"

      10 이소라, "탈놀이의 종합예술성 : 수영야류의 노래 고찰" 한국공연문화학회 5 : 2002

      11 양종승, "탈놀이의 종합예술성 : 강령탈춤을 통해 본 가면극의 무용적 요소" 한국공연문화학회 5 : 2002

      12 배동희, "초등학생을 위한 하회별신굿탈놀이 지도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이재용, "초등학교 체육 5 지도서" 금성출판사 2015

      14 김방출, "초등학교 체육 5" (주) 교학사 2015

      15 최예종, "초등학교 체육 5" 비상교육 2015

      16 박승하, "초등학교 체육 5" 천재교과서 2015

      17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5~6" 두산동아 2015

      18 윤명원, "초등학교 음악 5~6" 천재교육 2015

      19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5~6" (주) 미래엔 (구) 대한교과서 2015

      20 정길선, "초등학교 음악 5~6" 지학사 2015

      21 노승종, "초등학교 음악 5~6" 교학사 2015

      22 주대창, "초등학교 음악 5~6" 비상교육 2015

      23 양종모, "초등학교 음악 3~4" 음악과생활 2014

      24 황병훈, "초등학교 음악 3~4" 교학사 2014

      25 주대창, "초등학교 음악 3~4" 비상교육 2014

      26 정길선, "초등학교 음악 3~4" 지학사 2014

      27 장기범, "초등학교 음악 3~4" (주) 미래엔 (구) 대한교과서 2014

      28 오세균, "초등학교 음악 3~4" 천재문화 2014

      29 석문주, "초등학교 음악 3~4" 두산동아 2014

      30 이은적, "초등학교 미술 3~4, 5~6" 금성출판사 2015

      31 김동영, "초등학교 미술 3~4" 아침나라 2014

      32 박은덕, "초등학교 미술 3~4" 비상교육 2014

      33 노영자, "초등학교 미술 3~4" 교학사 2014

      34 이지혜, "초등국어교육에서의 탈놀이 교재화 방안 연구 : 하회별신굿탈놀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35 김민지, "인문학을 융합한 국악 지도 방안 : 경복궁타령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6 김민경, "음악교과와 타 교과와의 주제중심 통합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방안 : 초등학교 5, 6학년 국악 제재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7 정혜인, "음악과 국어교과의 통합교육을 활용한 감상수업연구 : 10학년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8 한영임, "음악·미술·체육이 연계된 통합학습을 통한 봉산탈춤의 교수학습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9 "은율탈춤보존회"

      40 윤하림, "웃다리풍물과 봉산탈춤의 통합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계발활동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1 변미혜, "우리 문화 관련 주제 중심의 국악 지도법" 민속원 2009

      42 "양주별산대보존회"

      43 강상미, "시조와 봉산탈춤으로 음악극을 만드는 음악 통합수업 프로그램 개발 : 국사·문학과의 내용과 관련지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44 소병구, "송파산대놀이의 문화환경적 변화에 따른 탈놀이의 변모 양상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6

      45 교육부, "사회 3-2, 5-1, 6-1, 6-2" 천재교육 2015

      46 "북청사자놀음보존회"

      47 "봉산탈춤보존회"

      48 신지호, "봉산 탈춤 지도 내용 고찰"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5 : 1991

      49 김순희, "민속무용 관노가면놀이의 수업모형 연구" 강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4 : 2001

      50 박진태, "민속극의 예술성―탈놀이의 종합예술성과 諷刺美―" 비교민속학회 23 : 2002

      51 "문화재청"

      52 변미혜, "문화 예술 주제 중심의 교과간 통합 지도 방안: 초등학교 3~6학년 국악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4 (4): 2005

      53 교육부, "국어 3-1(나)" 미래엔 2014

      54 한윤이, "국악 중심 융합교육의 유형과 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9 (9): 237-264, 2015

      55 한윤이,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국악 중심의 교과간 통합 지도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101-145, 2006

      56 배동희, "교과 통합을 통한 하회별신굿탈놀이 지도방안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 (2): 2008

      57 "고성오광대보존회"

      58 이성애, "고등학교 음악교과와 문학교과의 통합수업에 관한 연구 : 극음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9 "강릉단오제보존회"

      60 "강령탈춤보존회"

      61 "가산오광대보존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8 1.394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