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한문학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에 대한 유형적 접근 = 관련 연구의 종합 및 확장 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288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한문학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을 유형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우리 한문학 표현의 기저에 작용하는 『시경』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조명하는 것을 중심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 서술에 있어서는 각 연구 분야에서 단편적으로 다루어졌던 연구성과들을 표현 운용 양상이라는 주제 아래 종합하고 이를 확장 분석함으로써 『시경』 표현 운용상의 특징을 개관하였다. 분석은 크게 詩類 · 文類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詩類에서의 『시경』 원용 관련 연구는 크게 『시경』 詩篇 · 詩句 · 詩語 · 意象 등의 운용 양상에 대한 연구와 體式에의 원용 연구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아울러, 우리 한문학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에 대한 연구가 현상적 비교를 넘어서 보다 심도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시경』 등의 古典을 운용하여 어떻게 우리 한문학의 미적질감을 풍부하게 하는지를 포착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文類에 있어서는 소설 담화 및 역사문헌에서의 원용에 대한 연구 성과를 고찰함으로써, 기존에 상대적으로 연구가 희소했던 文類에서의 『시경』 운용 또한 다양한 연구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나 주석성과를 보다 확장하여, 『시경』의 표현 구조를 변용한 사례까지 확장시켜 고찰할 경우, 소설 등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을 보다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한문학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을 유형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우리 한문학 표현의 기저에 작용하는 『시경』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조명하는 것을 중심 목적으로 하였...

      본 연구는 한국 한문학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을 유형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우리 한문학 표현의 기저에 작용하는 『시경』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조명하는 것을 중심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 서술에 있어서는 각 연구 분야에서 단편적으로 다루어졌던 연구성과들을 표현 운용 양상이라는 주제 아래 종합하고 이를 확장 분석함으로써 『시경』 표현 운용상의 특징을 개관하였다. 분석은 크게 詩類 · 文類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詩類에서의 『시경』 원용 관련 연구는 크게 『시경』 詩篇 · 詩句 · 詩語 · 意象 등의 운용 양상에 대한 연구와 體式에의 원용 연구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아울러, 우리 한문학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에 대한 연구가 현상적 비교를 넘어서 보다 심도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시경』 등의 古典을 운용하여 어떻게 우리 한문학의 미적질감을 풍부하게 하는지를 포착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文類에 있어서는 소설 담화 및 역사문헌에서의 원용에 대한 연구 성과를 고찰함으로써, 기존에 상대적으로 연구가 희소했던 文類에서의 『시경』 운용 또한 다양한 연구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나 주석성과를 보다 확장하여, 『시경』의 표현 구조를 변용한 사례까지 확장시켜 고찰할 경우, 소설 등에서의 『시경』 표현 운용 양상을 보다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Shih Ching’s role, as an underlying influence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by scrutinizing modes of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 in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For a more efficient approach to the modes mentioned above, we collated and re-analyzed the results from existing research across multiple fields. The paper is separated into two parts: poetry and prose.
      In the poetry section, we subdivided the modes of expressions into two subsections: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s titles, lines, vocabulary and images, and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s formulaic style.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in order to expand the study of Shih Ching’s poetry beyond a simple comparison, we need to focus on details and minute changes - on how poetry successfully enriched their own literary expression by accepting and changing Chinese Classics.
      In the prose section, we analyzed the modes of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 in discourses from traditional fictions and descriptions within historical texts. After collating research, we assured that there were diverse possibilities to extend this paper’s -and future studies’- scope within the prose genre in a manner, which has rarely been studied before. We could extend other existing studies, which are mainly limited to typical modes of expression or go further and study transformed modes of expressions, such as narrative-like-prose gen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Shih Ching’s role, as an underlying influence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by scrutinizing modes of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 in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For a more efficient approach to the modes me...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Shih Ching’s role, as an underlying influence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by scrutinizing modes of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 in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For a more efficient approach to the modes mentioned above, we collated and re-analyzed the results from existing research across multiple fields. The paper is separated into two parts: poetry and prose.
      In the poetry section, we subdivided the modes of expressions into two subsections: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s titles, lines, vocabulary and images, and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s formulaic style.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in order to expand the study of Shih Ching’s poetry beyond a simple comparison, we need to focus on details and minute changes - on how poetry successfully enriched their own literary expression by accepting and changing Chinese Classics.
      In the prose section, we analyzed the modes of expressions quoting Shih Ching in discourses from traditional fictions and descriptions within historical texts. After collating research, we assured that there were diverse possibilities to extend this paper’s -and future studies’- scope within the prose genre in a manner, which has rarely been studied before. We could extend other existing studies, which are mainly limited to typical modes of expression or go further and study transformed modes of expressions, such as narrative-like-prose gen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詩類에서의 援用
      • 3. 文類에서의 援用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詩類에서의 援用
      • 3. 文類에서의 援用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홍, "한국의 집구시 연구" 근역한문학회 5 : 5-74, 1987

      2 심경호, "한국 한시의 이해" 태학사 123-, 2000

      3 김순화, "하서 김인후 한시의 『시경』 관련양상에 대한 고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4 조규익, "조선조악장연구" 새문사 26-30, 2014

      5 조규익, "조선조 악장의 문예미학" 민속원 20-, 2005

      6 강미정,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시경 인용 양상과 그 문학치료적 의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7 김수경, "조선시대 韓日ㆍ韓中 외교 필담ㆍ창화에 나타난 ≪詩經≫인식과 援用" 중국어문연구회 (53) : 227-252, 2012

      8 김남기, "삼연 김창흡의 시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9 황수연, "두기 최성대의 민요풍 한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10 송재소, "다산의 四言詩에 대하여" 다산학회 6 : 29-, 2005

      1 김상홍, "한국의 집구시 연구" 근역한문학회 5 : 5-74, 1987

      2 심경호, "한국 한시의 이해" 태학사 123-, 2000

      3 김순화, "하서 김인후 한시의 『시경』 관련양상에 대한 고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4 조규익, "조선조악장연구" 새문사 26-30, 2014

      5 조규익, "조선조 악장의 문예미학" 민속원 20-, 2005

      6 강미정,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시경 인용 양상과 그 문학치료적 의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3

      7 김수경, "조선시대 韓日ㆍ韓中 외교 필담ㆍ창화에 나타난 ≪詩經≫인식과 援用" 중국어문연구회 (53) : 227-252, 2012

      8 김남기, "삼연 김창흡의 시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9 황수연, "두기 최성대의 민요풍 한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10 송재소, "다산의 四言詩에 대하여" 다산학회 6 : 29-, 2005

      11 전경원, "다산 정약용의 사언시(四言詩)와 시경론(詩經論) 및 시인식(詩認識)의 상관성" 우리어문학회 (28) : 223-252, 2007

      12 서신혜, "김소행의 글쓰기 방식과 삼한습유" 박이정 100-112, 2004

      13 徐首生, "龍飛御天歌에 미친 詩經의 影響" 14 : 1-20, 1965

      14 박희병, "韓國漢文小說校合句解" 돌베개 [서울] 2005

      15 李德懋, "靑莊館全書" 한국고전번역원

      16 張明華, "集句詩嬗變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1

      17 李慶, "關於『詩經·周頌』中『大武』諸詩的探討: 王國維『周大武樂章考』商榷" 復旦大學 (5) : 80-87, 2005

      18 김수경, "通信使行 筆談‧唱和에서의 引詩‧論詩연구" 한민족어문학회 (59) : 119-142, 2011

      19 申緯, "警修堂全藁" 한국고전번역원

      20 雨辰, "詩經體議析" 鄭州大學 (4) : 39-44, 1992

      21 向熹, "詩經詞典" 四川人民出版社 487-, 1986

      22 江林, "詩經與宗周禮樂文明" 浙江大學 2004

      23 夏傳才主, "詩經學大辭典" 河北出版傳媒集團 317-319, 2014

      24 何丹, "詩經四言體起源探論"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0-, 2001

      25 조융희, "英祖 御製와 ‘風泉’, 그리고 ‘風泉’의 典故化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20) : 117-142, 2008

      26 南龍翼, "箕雅校註" 中華書局 2008

      27 이병찬, "白鳳來 詩經論의 編輯批評的 性格 硏究" 어문연구학회 48 : 195-217, 2005

      28 김수경, "燕行使와 淸 인물 간 贈答詩에 나타난 [詩經] 운용 양상" 한국학연구원 (57) : 137-162, 2014

      29 鄭仁卓, "滄皐集" 경인문화사

      30 金麟厚, "河西全集" 한국고전번역원

      31 閔胄顯, "沙厓集" 경인문화사

      32 金時習, "梅月堂集" 한국고전번역원

      33 張孝鉉, "校勘本韓國漢文小說英雄小說(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34 김수경, "朝鲜-明“赋诗外交”中的用≪诗≫— 以≪皇华集≫为中心" 중국학연구소 (42) : 195-213, 2013

      35 徐蓮花, "朝鮮朝歌辭用典硏究-以中國古代人名·詩句爲中心" 延邊大學 2013

      36 김수경, "朝鮮時代 賦比興 論議의 認識層位에 대한 고찰" 한국한문학회 (62) : 7-43, 2016

      37 李岩, "朝鮮古代『詩經』接受史考論" 中國社會科 學院文學研究所 (5) : 127-138, 2015

      38 黃姸, "朝鮮上古詩歌對詩經的接受及其影響-以公無渡河· 黃鳥歌· 龜旨歌爲例" 延邊大學校 2007

      39 林哲權, "春亭卞季良與『詩經』的關聯研究" 延邊大學校 2011

      40 劉毓慶, "從文學到經學—先秦兩漢詩經學史論" 華東師範大學出版社 485-513,

      41 안병혁, "國文學에 끼친 詩經의 影響" 문창어문학회 5 : 1975

      42 李卓藩, "唐詩與詩經傳承關係硏究" 中華書局 39-42,

      43 國史編纂委員會, "各司謄錄" 한국고전번역원DB

      44 조규익, "卞季良악장의 문학사적 의미: 형태적 특질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01 : 50-, 1989

      45 鄭玄 註, "儀禮註疏" 北京大學出版 1999

      46 白鳳來, "九龍齋文集" 국립중앙도서관

      47 김대중, "『시경(詩經)』 「큰 쥐(碩鼠)」와 김시습의 「큰 쥐」 비교 연구" 민족문학사학회 (51) : 172-199, 2013

      48 정화순, "『風雅十二詩譜』 소재 詩樂에 대한 硏究" 한국동양예술학회 7 : 289-341, 2003

      49 金英娥, "『詩經』與韓國古代詩歌發展" (3) : 9-11, 2012

      50 王曉平, "『詩經』之於亞洲漢文學" 天津師範大學 (6) : 62-63, 1997

      51 昝風華, "『漢書』引『詩』初探" 西安文理學院 (5) : 5-, 2005

      52 王哲, "『朝鮮漢詩集』箕雅『中的』詩經典故研究" 中南大學校 2013

      53 조규익, "「徽懿公主魂殿大享樂章」의 시경 텍스트 수용 양상과 의미" 우리문학회 (49) : 87-127, 2016

      54 정원호, "≪朝鮮王朝實錄≫의 ≪詩經≫ 活用例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55 丁若鏞, "(校勘·標點)定本與猶堂全書" 다산학술문화재단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79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