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을 바탕으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I초등학교 5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39118
2021
Korean
아들러 ; 공동체 의식 ; 학교생활 만족도 ; 우울 ; Adler ; Community Feeling ; School Life Satisfaction ; Depression
310
KCI등재
학술저널
696-706(1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을 바탕으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I초등학교 5학...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을 바탕으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I초등학교 5학년 38명이며,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학교생활 만족도 척도와 우울 척도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하였다. 프로그램은 관계 형성, 자기 수용, 타인 존중, 상호 협력과 공헌을 중심으로 총 9회기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그 결과,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은 전체 학교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하위요인 중 수업, 교사와의 관계,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는 유의하였으나 학교생활, 교우관계, 학교행사 및 창의적 체험활동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전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하위요인 중 부정적 기분/신체․ 생리적 증상에는 유의하였으나 부정적 자기상/비효율성, 대인관계 문제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아들러 심리학에 기초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은 전체적인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과 우울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Community Feeling Program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38 students who were the fifth grader students and all partici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Community Feeling Program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38 students who were the fifth grader students an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and depression scale.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9 sessions, focusing on building the relationship, self-acceptance, respect for others,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The employed statistical analysis was ANC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Feeling Program had an influence on significant improvement i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ts sub-factor, general classe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 school. Second, the Community Feeling Program had an influence on significant effect in depression and its sub-factor, negative mood/physical symptom. Thus, the Community Feeling Program based on Adlerian Psychology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overall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reducing depress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수철, "한국형 소아우울 척도의 개발" 29 (29): 943-956, 1990
2 하성희, "학급응집력 강화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3 손순자,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적응행동과의 관계분석" 건국대학교 1993
4 이혜미, "초등학생의 신체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원 25 (25): 19-33, 2014
5 한대동,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207-235, 2013
6 정하성, "청소년 사회관계증진 프로그램 개발 방향" 12 : 61-73, 2008
7 강소연,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2015
8 김진용, "자아개념과 학교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1989
9 한주희, "인간관계 집단상담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 김미헌,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고등학생의 우울감소 및 희망고취를중심으로" 강원대학교 2015
1 조수철, "한국형 소아우울 척도의 개발" 29 (29): 943-956, 1990
2 하성희, "학급응집력 강화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3 손순자,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적응행동과의 관계분석" 건국대학교 1993
4 이혜미, "초등학생의 신체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원 25 (25): 19-33, 2014
5 한대동,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207-235, 2013
6 정하성, "청소년 사회관계증진 프로그램 개발 방향" 12 : 61-73, 2008
7 강소연,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2015
8 김진용, "자아개념과 학교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1989
9 한주희, "인간관계 집단상담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 김미헌,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고등학생의 우울감소 및 희망고취를중심으로" 강원대학교 2015
11 김미란,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상담학회 7 (7): 1093-1106, 2006
12 정현동, "아들러 이론에 근거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의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2016
13 유리향,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핵심역량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관심과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8 (18): 417-434, 2019
14 강지영,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2019
15 박우람, "아동의 거부민감성, 우울 및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자기조절의 조절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5 (15): 233-256, 2016
16 통계청, "교육통계편람"
17 유리향, "교사를 위한 아들러 심리학" 학지사 2018
18 오익수, "공동체 의식함양을 통한 인성교육"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505-520, 2016
19 이선영, "공동체 의식 함양 어울림 프로그램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2018
20 곽현경,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소속감과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2017
21 신은정, "격려집단상담프로그램이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자존감, 우울, 자살사고 및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효과" 경북대학교 2017
22 J. L. Luby, "Trajectories of preschool Disorders to full DSM depression at school age and early adolescence : Continuity of preschool depression" 171 (171): 768-776, 2014
23 J. Yang, "The psychology of courage: An Adlerian handbook for healthy social living" Routledge 2010
24 H. L. Ansbacher, "The concept of social interest" 47 (47): 28-47, 1991
25 K. Alina, "The community feeling versus anxiety, self-seteem and well-being" 48 (48): 167-174, 2017
26 A. Adler, "Superiority and social interest"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4
27 H. Hammond, "Self-Compassion, Social Interest, and Depression, The Faculty of the Adler Graduate School" Adleria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2
28 A. Milliren, "Readings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dividual Psychology" Accelerated Development Inc 17-43, 2006
29 M. Kovacs, "Rating Scale to Assess depression in school Aged Children" 46 : 305-315, 1981
30 J. A. Tindall, "Peer Programs:An In-Depth Look at Peer Program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Administration" Accelerated Development Inc 2008
31 A. N. Herringotn, "Lifestyles, coping resources, and negative life events as predictors of emotional distress in university women" 61 (61): 343-364, 2005
32 A. T. Beck,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7
33 L. Adrienne, "An Ecological View of School Satisfaction in Adolescence : Linkages Between Social Support and Behavior Problems" 1 : 279-295, 2006
34 R. W. Lundin, "Alfred Adler’s basic concepts and implications" Accelerated Development Inc 1989
35 T. J. Sweeney, "Adleria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 practitioner’s approach" Routledge 2009
36 윤재원, "Adler 상담이론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 사회적 관심 향상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99-125, 2017
37 한국방정환재단, "2016 제8차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조사 결과 보고서" 한국방정환재단 2016
데스크톱 3D 홀로그램 피라미드에서 피라미드 단면 사이 사용자 이동에 따른 끊김 없는(seamless viewing control) 뷰 생성
지상파 방송사의 뉴스 앱 개선을 위한 사용성 평가 :MBC와 SBS를 중심으로
의미론적 영상 분할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에지 정보 기반 후처리 방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