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공사례기법을 적용한 경력단절여성 대상 커리어 코칭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Career Coaching focusing on Career-Interrupted Women using the Success Case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590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성공사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G 지역 새일센터에서 진행한 <경력단절여성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피코치(참여자) 중 성공사례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피코치 3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코칭 경험 전 – 코칭 중 - 코칭 후의 경험과 코칭의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다. 경력단절여성들은 심리적 불안감을 갖고 우연한 기회에 코칭에 참여하였다. 코칭을 경험하면서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일에 대한 마인드 셋이 변화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구직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코치와의 대화를 통해서 경력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새로운 경력에 도전하게 된 경험을 발견하였다. 또한 코칭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코치의 전문성, 신뢰,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도울 수 있는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이 확대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성공사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G 지역 새일센터에서 진행한 ...

      이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성공사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G 지역 새일센터에서 진행한 <경력단절여성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의 피코치(참여자) 중 성공사례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피코치 3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코칭 경험 전 – 코칭 중 - 코칭 후의 경험과 코칭의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다. 경력단절여성들은 심리적 불안감을 갖고 우연한 기회에 코칭에 참여하였다. 코칭을 경험하면서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일에 대한 마인드 셋이 변화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구직활동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게 되었다. 더 나아가 코치와의 대화를 통해서 경력의 방향성을 확립하고, 새로운 경력에 도전하게 된 경험을 발견하였다. 또한 코칭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코치의 전문성, 신뢰,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도울 수 있는 커리어 코칭 프로그램이 확대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ccess stories of participants in a career coaching program designed for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case study by selecting successful examples among the coachees (participants) in the "Career Coaching Program for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held at the Saeil Center in Area G, Seou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coachees, and the analysis identified their experiences before, during, and after coaching, as well a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the coaching.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itially joined the coaching program by chance, often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unease. Through the coaching experience, they established a positive self-identity, underwent a mindset shift concerning work, and ultimately regained confidence in job-seeking activities. Furthermore, conversations with the coach helped them establish a sense of direction in their careers and take on new career challenge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coach's expertise, trust, and social support were instrumental in achieving successful coaching outcom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expanding career coaching programs that can assist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 re-entering the job marke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ccess stories of participants in a career coaching program designed for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case study by selecting successful examples amo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ccess stories of participants in a career coaching program designed for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case study by selecting successful examples among the coachees (participants) in the "Career Coaching Program for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held at the Saeil Center in Area G, Seou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coachees, and the analysis identified their experiences before, during, and after coaching, as well a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ccess of the coaching.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itially joined the coaching program by chance, often accompanied by psychological unease. Through the coaching experience, they established a positive self-identity, underwent a mindset shift concerning work, and ultimately regained confidence in job-seeking activities. Furthermore, conversations with the coach helped them establish a sense of direction in their careers and take on new career challenge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coach's expertise, trust, and social support were instrumental in achieving successful coaching outcom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expanding career coaching programs that can assist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in re-entering the job marke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윤희 ; 이수경 ; 임수원 ; 김지영 ; 장운민 ; 김지수 ; 송영주, "훈련 교·강사 보수교육의 현업적용 성공요인: 성공사례기법(Success Case Method)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5 (25): 185-217, 2022

      2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회 19 (19): 43-80, 2003

      3 은기수,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와 경력단절" 한국인구학회 41 (41): 117-150, 2018

      4 리상섭, "한국 글로벌 기업 A사의 해외 법인장 코칭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1-18, 2010

      5 김인숙, "학습자중심 혁신교수법의 협력적 수업코칭 사례연구"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5 (5): 47-62, 2021

      6 임연규, "통계로 보는 코로나19 이후 여성 노동 및 일자리 실태" (봄) : 61-79, 2023

      7 조성진 ; 송계충, "코칭 효과 연구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3 (13): 27-74, 2010

      8 오유라, "코로나19 기혼 근로 여성의 일자리 변화 영향 요인 분석" 아시아여성연구원 61 (61): 145-175, 2022

      9 원경림, "커리어코칭 교육프로그램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인문사회 21 10 (10): 917-930, 2019

      10 박윤희 ; 기영화, "커리어코치의 역량 도출 및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139-167, 2010

      1 박윤희 ; 이수경 ; 임수원 ; 김지영 ; 장운민 ; 김지수 ; 송영주, "훈련 교·강사 보수교육의 현업적용 성공요인: 성공사례기법(Success Case Method)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5 (25): 185-217, 2022

      2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회 19 (19): 43-80, 2003

      3 은기수,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와 경력단절" 한국인구학회 41 (41): 117-150, 2018

      4 리상섭, "한국 글로벌 기업 A사의 해외 법인장 코칭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12 (12): 1-18, 2010

      5 김인숙, "학습자중심 혁신교수법의 협력적 수업코칭 사례연구"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5 (5): 47-62, 2021

      6 임연규, "통계로 보는 코로나19 이후 여성 노동 및 일자리 실태" (봄) : 61-79, 2023

      7 조성진 ; 송계충, "코칭 효과 연구를 위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3 (13): 27-74, 2010

      8 오유라, "코로나19 기혼 근로 여성의 일자리 변화 영향 요인 분석" 아시아여성연구원 61 (61): 145-175, 2022

      9 원경림, "커리어코칭 교육프로그램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인문사회 21 10 (10): 917-930, 2019

      10 박윤희 ; 기영화, "커리어코치의 역량 도출 및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139-167, 2010

      11 조은선 ; 박윤희 ; 이재은, "카지노 딜러 직무교육의 교육훈련 전이 핵심성공요인: 성공사례기법의 적용"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1 (31): 347-368, 2019

      12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I" 아카데미프레스 2016

      13 은혜경, "직업상담자가 인식한 진로유연성 탐색: 경력단절 기혼여성의 재취업 과정을 중심으로" 미래원격교육연구원 9 (9): 81-104, 2013

      14 이병남 ; 김세은, "지역 여성의 경제 현실과 정부 정책의 지역성: 강원도 춘천 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4 (54): 43-88, 2015

      15 박윤희 ; 한영수,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코칭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17 (17): 193-204, 2015

      16 정은이 ; 박용한, "일상적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문제연구소 (17) : 155-183, 2002

      17 김현정, "인수합병 이후 중소기업의 조직개발 사례: 그룹코칭 기법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13-143, 2014

      18 최혜은, "워크디자인" 21세기 북스 2020

      19 한운옥 ; 이영민, "여성의 경력단절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7-43, 2019

      20 권순애 ; 강주원, "여성새로일하기센터는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해 어떤 사업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G지역 새일센터 사례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3 (23): 47-73, 2021

      21 배진경, "여성노동정책 말고 성평등노동정책" 103 : 32-36, 2017

      22 최윤정 ; 이지은 ; 최정순 ; 박선주 ; 안후남, "여성 진로 발달 및 상담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한국상담학회 14 (14): 1285-1308, 2013

      23 최명원, "성공사례기법을 활용한 경력코칭 사례연구:경력 메타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8 (38): 1-19, 2019

      24 김정식 ; 김현철, "리더의 코칭과 부하직원들의 성과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의 영향" 대한경영학회 25 (25): 675-695, 2012

      25 문승태 ; 박미하 ; 양복만, "대학생의 인간관계와 학습의 자기주도성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39-60, 2012

      26 조성진, "대학생 진로코칭 프로그램 효과 검증에 기반을 둔커리어코칭 시스템 개발 연구" 한국코칭학회 11 (11): 5-29, 2018

      27 김진모 ; 손규태 ; 이은표 ; 강혜림,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상사의 코칭, 심리적 안전감, 직무자율성 및 직무몰입의 관계: A기업의 사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2 (52): 97-120, 2020

      28 이상민 ; 남숙경 ; 박희락 ; 김동현, "단축형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척도의 구인타당도 재점검" 한국상담학회 8 (8): 1047-1062, 2007

      29 유진성,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변화 분석과 시사점" KERI Insight 1-32, 2021

      30 정희정 ; 탁진국, "구직관련 개인자원증진 커리어 그룹코칭 효과성 검증: 이공계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31 (31): 611-641, 2018

      31 배을규, "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학이시습 2012

      32 이찬 ; 최영준 ; 박혜선, "교육훈련 전이 촉진 및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성공 사례 기법(Success Case Method)을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53-84, 2013

      33 이정은 ; 이상희,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경력단절여성의 인식 유형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57) : 55-77, 2021

      34 윤혜경,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분석 :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중장년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5 장서영,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74 (74): 79-104, 2008

      36 선미진 ; 유나현,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진로구성상담의 질적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3 (23): 781-802, 2023

      37 장서영, "고등교육기관을 활용한 고학력 경력차단 여성의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2006

      38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39 이숙자, "경력단절여성이 인식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3 (13): 4667-4678, 2022

      40 정은영, "경력단절여성의 평생학습을 통한 인식전환에 관한 연구 -이미지 코칭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26 (26): 135-160, 2020

      41 오은진,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조사 연구" 여성정책연구원 2008

      42 김은실, "경력단절여성의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

      43 김종희 ; 주용국,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85-223, 2014

      44 최경화 ; 탁진국, "경력단절여성 대상 강점 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자존감, 구직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심리학회 1 (1): 73-97, 2017

      45 전보라,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설정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커리어 스토리 인터뷰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6 (26): 333-352, 2020

      46 임도영 ; 김성길,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 연구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 구성주의진로이론의 진로적응모형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33 (33): 111-132, 2020

      47 Blustein, D. L., "Voice of the forgotten half: The role of social class i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49 : 311-323, 2002

      48 Kochanowski, S., "Using coaching to enhance the effects of behavioral feedback to managers" 17 (17): 363-369, 2010

      49 Brown, C.,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midlife women taking part in a work-life balance career coaching programme: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16 (16): 110-125, 2018

      50 Brinkerhoff, R. O, "The success case method: Find out quickly what’s workingand what’s not" Berrett-Koehler 2003

      51 Creed, P. A.,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person and situation variables, and career concerns in young adults" 74 : 219-229, 2009

      52 Baron, L., "The impact of executive coaching on self-efficacy related to management soft-skills" 31 (31): 18-38, 2010

      53 Stier, H., "The determinants of women's employment dynamics: The case of Israeli women" 24 (24): 363-377, 2008

      54 Hunt, J. M., "The Coaching Manager: Developing Top Talent in Business" Sage 2002

      55 Colombo, J. J., "Strategic career coaching for an uncertain world" 46 (46): 33-38, 2003

      56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Sage 1994

      57 Hall, D. T., "Protean careers of the 21st century" 10 (10): 8-16, 1996

      58 Olson, C. A., "Peering inside the clock: Using success case method to determine how and why practice‐based educational interventions succeed" 31 (31): S50-S59, 2011

      59 Miller, L., "New jobs, old occupational stereotype: gender and jobs in the new economy" 19 (19): 67-93, 2006

      60 Lim, D. H., "Mediating Role of Career Coaching on Job-Search Behavior of Older Generations" 88 (88): 82-104, 2019

      61 Bianco-Mathis, V. E., "Leading from the Inside Out: A Coaching Model" Sage 2002

      62 OECD, "Joining Forces for Gender Equality: What is Holding us Back?" OECD Publishing 2023

      63 Koen, J., "Job-search strategies and reemployment quality : The impact of career adaptability" 77 : 126-139, 2010

      64 Zikic, J., "Job loss as a blessing in disguise: The role of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in predicting reemployment quality" 69 : 391-409, 2006

      65 허예라 ; 조아라 ; 김선, "How to provide tailored career coaching for medical students" 한국의학교육학회 27 (27): 45-50, 2015

      66 Betz, N. E, "Handbook of career counseling for women" Lawrence Erlbaum 45-74, 2006

      67 World Economic Forum, "Global Gender Gap Report 2023" 2023

      68 Spurk, D., "Fostering networking behavior, career planning and optimism,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An intervention study" 87 : 134-144, 2015

      69 Grant, A. M., "Executive coaching enhances goal attainment, resilience and workplace well-being: A randomised controlled study" 4 (4): 396-407, 2009

      70 Lee, C., "Evaluating training for new government officials: A case study using the success case method" 46 (46): 419-444, 2017

      71 Fugate, M., "Employability: A psycho-social construct, its dimensions, and applications" 65 (65): 14-38, 2004

      72 Ratiu, L., "Developing managerial skills through coaching:Efficacy of a cognitive-behavioral coaching program" 34 : 244-266, 2016

      73 Hamlin, R. G., "Coaching at the heart of managerial effectiveness: A cross-cultural study of managerial behaviours" 9 (9): 305-331, 2006

      74 Feldman, D. C., "Career coaching: What HR professionals and managers need to know" 24 (24): 26-35, 2001

      75 Chung, Y. B., "Career coaching: Practice, training, professional, and ethical issues" 52 (52): 141-152, 2003

      76 Bench, M, "Career coaching: An insider’s gu" Davies-Black 2003

      77 Kamens, J., "Career coaching for scientists" 33 (33): 668-669, 2015

      78 McMahon, M., "Career adaptability: A qualitative under- standing from the stories of order women" 80 : 762-768, 2012

      79 Savickas, M. L., "Career adaptabilities scale : Construction, reliability, and measurement equipvalence across 13 countries" 80 : 661-673, 2012

      80 Herr, E. L.,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span" Allyn & Bacon 2004

      81 Alexander, G., "Behavioural coaching–the GROW model, Excellence in coaching: The Industry Guide"

      82 Ellinger, A. D.,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oaching behavior" 16 (16): 5-28, 2003

      83 Dweck, C. S.,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95 (95): 256-273, 1988

      84 Hackett, G.,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18 (18): 326-339, 1981

      85 Reio Jr, T. G., "A critique of Kirkpatrick's evaluation model" 29 (29): 35-53, 2017

      86 Luthans, F., "360-degree feedback with systematic coaching: Empirical analysis suggests a winning combination" 42 (42): 243-256, 2003

      87 유정이 ; 김수리 ; 이수림, "30대 대졸 경력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31-964, 2016

      88 통계청, "2022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보도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