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력정보공개 이해관계자 프레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력정보공개 이슈네트워크의 다양한 참여자를 이해관계자로 설정하였고, 상호 작용시 이루어진 쟁점을 기준으로 찬성집단과 반대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더불어 각집단별 프 레임과 차이점에 관심을 두고, 집단별로 주장하는 텍스트에 대해 Semantic Network analysis 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론으로서 첫째, ‘공교육 무력화 원인’에 대해 찬성측은 ‘평준화 정책’, 반대 측은 ‘성적 공개’프레임을 설정하였다. 둘째, ‘학교 간 경쟁 유발 결과’에 대해 찬 성측은 ‘공교육 강화’→‘학력 향상’, 반대 측은‘공교육 붕괴’→‘사교육 과열’프레임을 설정하였 다. 셋째, ‘학력정보’에 대해 찬성측은 ‘소비자 즉, 국민의 것’, 반대 측은 ‘개인의 것’이라는 프 레임을 설정하였다. 다원화를 지향하는 미래사회는, 다양한 프레임을 가진 이해관계자가 참여 하여, 갈등을 전제로 하는 이슈네트워크가 중심이 될 것이다. 각각의 이해관계자들의 핵심프 레임을 파악하는 것은, 갈등을 최소화하고‘이해관계자들을 위한 가치 창조’에 초점을 둔 공동 체 형태를 지향하게 함으로써 정책의 효과 극대화를 추구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력정보공개 이슈네트워크의 다양한 참여자를 이해관계자로 설정하였고, 상호 작용시 이루어진 쟁점을 기준으로 찬성집단과 반대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더불어 각집단별 프 레...

      본 연구는 학력정보공개 이슈네트워크의 다양한 참여자를 이해관계자로 설정하였고, 상호 작용시 이루어진 쟁점을 기준으로 찬성집단과 반대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더불어 각집단별 프 레임과 차이점에 관심을 두고, 집단별로 주장하는 텍스트에 대해 Semantic Network analysis 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론으로서 첫째, ‘공교육 무력화 원인’에 대해 찬성측은 ‘평준화 정책’, 반대 측은 ‘성적 공개’프레임을 설정하였다. 둘째, ‘학교 간 경쟁 유발 결과’에 대해 찬 성측은 ‘공교육 강화’→‘학력 향상’, 반대 측은‘공교육 붕괴’→‘사교육 과열’프레임을 설정하였 다. 셋째, ‘학력정보’에 대해 찬성측은 ‘소비자 즉, 국민의 것’, 반대 측은 ‘개인의 것’이라는 프 레임을 설정하였다. 다원화를 지향하는 미래사회는, 다양한 프레임을 가진 이해관계자가 참여 하여, 갈등을 전제로 하는 이슈네트워크가 중심이 될 것이다. 각각의 이해관계자들의 핵심프 레임을 파악하는 것은, 갈등을 최소화하고‘이해관계자들을 위한 가치 창조’에 초점을 둔 공동 체 형태를 지향하게 함으로써 정책의 효과 극대화를 추구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t is focus on pro and con of the academic ability information release. Especially I investigated the groups' text opinion with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I found the public education inability caused the educational leveling off from the pro supports, but academic ability release from the con supports. Second, pro supports insisted over competition among schools caused public education intension, but con supports insisted it made huge private learning mood in our society. Third, pro supports expressed academic ability information is students' and national people's, the other concluded it belonged only individual portion. I think majority stakeholder will join the educational issue network contained lots of conflicts in the future. They'll set up the various frame, too. Like in the crucible of the chaos, I should pursue the value creation of the stakeholder with taking advantage of the community spirit for the better education policy.
      번역하기

      In this study, it is focus on pro and con of the academic ability information release. Especially I investigated the groups' text opinion with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I found the public education inability caused the educational ...

      In this study, it is focus on pro and con of the academic ability information release. Especially I investigated the groups' text opinion with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I found the public education inability caused the educational leveling off from the pro supports, but academic ability release from the con supports. Second, pro supports insisted over competition among schools caused public education intension, but con supports insisted it made huge private learning mood in our society. Third, pro supports expressed academic ability information is students' and national people's, the other concluded it belonged only individual portion. I think majority stakeholder will join the educational issue network contained lots of conflicts in the future. They'll set up the various frame, too. Like in the crucible of the chaos, I should pursue the value creation of the stakeholder with taking advantage of the community spirit for the better education poli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선향, "학부모행정의 투명성과 만족도 관계에서 공정성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2015

      2 정홍상, "하이데거의 세계-내-존재 관점에서 본 조직 내 집단의사결정" 한국정부학회 27 (27): 47-68, 2015

      3 나익주, "프레임의 덫에 걸린 ‘세월호’" 81 : 284-311, 2015

      4 Lakoff, G., "프레임 전쟁" 창비 2007

      5 이주호, "평준화를 넘어 다양화로" 학지사 2006

      6 박치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소 19 (19): 73-108, 2013

      7 심준섭,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지역주민과 공무원의 갈등 프레임 비교분석" 한국행정연구소 50 (50): 221-249, 2012

      8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16

      9 이성우, "정책분석론 이론과 기법" 조명문화사 2013

      10 최선향, "정부3.0 원문공개시점에서 교육주체의 법적 정보마인드 제고" 대한교육법학회 26 (26): 211-235, 2014

      1 최선향, "학부모행정의 투명성과 만족도 관계에서 공정성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2015

      2 정홍상, "하이데거의 세계-내-존재 관점에서 본 조직 내 집단의사결정" 한국정부학회 27 (27): 47-68, 2015

      3 나익주, "프레임의 덫에 걸린 ‘세월호’" 81 : 284-311, 2015

      4 Lakoff, G., "프레임 전쟁" 창비 2007

      5 이주호, "평준화를 넘어 다양화로" 학지사 2006

      6 박치성,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정부학연구소 19 (19): 73-108, 2013

      7 심준섭,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지역주민과 공무원의 갈등 프레임 비교분석" 한국행정연구소 50 (50): 221-249, 2012

      8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2016

      9 이성우, "정책분석론 이론과 기법" 조명문화사 2013

      10 최선향, "정부3.0 원문공개시점에서 교육주체의 법적 정보마인드 제고" 대한교육법학회 26 (26): 211-235, 2014

      11 Freeman, R. E., "이해관계자를 위한 경영" 재승출판 2009

      12 김지수, "원자력 에너지 정책 갈등에 대한 이해당사자의 프레임 분석- 원전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15

      13 박수정, "신문기사에 나타난 학교정보공시 자료의 활용실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369-391, 2015

      14 최희경, "스웨덴의 환경책임 실천모형-지역 거버넌스 사례" 집문당 2013

      15 곽기영, "소셜네트워크 분석" 청람 2014

      16 김용학, "사회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6

      17 손동원, "사회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13

      18 류제운, "복잡계 네트워크 분석도구로써 k-core 알고리즘의 응용" 235-255, 2010

      19 최선향, "교육정보공개 정책네트워크의 변화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207-237, 2016

      20 홍성창, "교육정보공개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21 홍성창, "교육정보공개 정책과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9 (39): 235-259, 2012

      22 양희준,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 제정과정분석-법안 제5조 심사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3

      23 신상명, "교육과 행정" 가람문화사 2014

      24 이주호,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여건조성 방안" 한국경제연구원 2005

      25 김미정, "공공쟁점에 대한 프레임유형과 공중유형이 인지과정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6 김진탁, "갈등네트워크구조 및 갈등당사자의 프레임분석- 제주 해군기지 갈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16

      27 Prell, C., "Social network analysis : History, theory, and methodology" SAGE Publications Inc 2012

      28 Scott, J., "Social network analysis : Handbook" SAGE Publications Inc 2012

      29 Kenis, P., "Policy networks as an analytical tool for policy analysis" 1989

      30 Seidman, S. B., "Network structure and minimum degree" 5 (5): 269-287, 1983

      31 Lakoff, G., "Moral politics: How liberals and conservatives think" Univ of Chicago 2002

      32 Jordan, A. G., "Iron triangles, woolly corporatism, and elastic net : Images of the policy process" 1 (1): 95-123, 1981

      33 권호천, "20대 총선에 대한 신문보도의 의미네트워크 분석: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42) : 39-87,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