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내 자생적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 요인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조직 내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학교 문화와 학교풍토를 개선하기 위해 교사학습공동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학 습공동체를 적극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학교 내 자생적 교사학습공동체 구성원 8명을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면담, 학교 내 메신저, 문서 를 통해 이루어졌다. 면담 자료는 이끄미교사의 경우 직접적 해석 방법을, 따르미교사의 경우 범주적 합산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후 연구참여자 점검을 통해 수정 및 보완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학습공동체 형성과 관련하여 이끄미교사의 참여 요인은 수업 고충과 좋은 연수를 공유하고 싶은 마음, 수업철학의 중요성을 가르쳐주고 싶은 마음, 교사로서의 소명의 식, 수업 문화를 바꾸고 싶은 마음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관리자와 동료교사의 지원과 협조 라는 사회적 요인에서 비롯되었다. 따르미교사의 참여 요인은 자신의 수업에 대한 문제 인식, 수업에 대한 배움과 성장 욕구라는 개인적 요인, 동료교사와의 관계 발전, 유사한 교육관을 지닌 동료교사와의 소통, 이끄미교사의 영향력이라는 사회적 요인, 폐쇄적인 수업 문화, 형식 적인 장학 문화라는 조직적 요인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첫째, 교사들의 자아실현 욕구를 격려하고 지원해 주는 방향으로 교사학습공동체가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조직 차원 에서 이끄미교사의 출현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과 활 성화를 위한 학교장의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 넷째, 기존 학교문화의 개선 및 변화의 단초로 서 교사학습공동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교조직 내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학교 문화와 학교풍토를 개선하기 위해 교사학습공동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학 ...

      본 연구는 학교조직 내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학교 문화와 학교풍토를 개선하기 위해 교사학습공동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사학 습공동체를 적극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자료 수집은 학교 내 자생적 교사학습공동체 구성원 8명을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면담, 학교 내 메신저, 문서 를 통해 이루어졌다. 면담 자료는 이끄미교사의 경우 직접적 해석 방법을, 따르미교사의 경우 범주적 합산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후 연구참여자 점검을 통해 수정 및 보완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학습공동체 형성과 관련하여 이끄미교사의 참여 요인은 수업 고충과 좋은 연수를 공유하고 싶은 마음, 수업철학의 중요성을 가르쳐주고 싶은 마음, 교사로서의 소명의 식, 수업 문화를 바꾸고 싶은 마음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관리자와 동료교사의 지원과 협조 라는 사회적 요인에서 비롯되었다. 따르미교사의 참여 요인은 자신의 수업에 대한 문제 인식, 수업에 대한 배움과 성장 욕구라는 개인적 요인, 동료교사와의 관계 발전, 유사한 교육관을 지닌 동료교사와의 소통, 이끄미교사의 영향력이라는 사회적 요인, 폐쇄적인 수업 문화, 형식 적인 장학 문화라는 조직적 요인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첫째, 교사들의 자아실현 욕구를 격려하고 지원해 주는 방향으로 교사학습공동체가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조직 차원 에서 이끄미교사의 출현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의 형성과 활 성화를 위한 학교장의 역량 제고가 필요하다. 넷째, 기존 학교문화의 개선 및 변화의 단초로 서 교사학습공동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make forming spontaneous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schools. This is due to the importance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improving school culture and school climate. Data collecting had been conducting by semi-structured interview on eight members of the spontaneous teacher’s learning community from a school, in-of-school messenger and various papers. The interview data was processed through ‘direct interpretation’ of the leading teacher, ‘categorical aggregation’ of seven following teachers, and ‘member checking’.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formation of the leader's community are as follows. To share class pain and good training, to teach peer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philosophy, to change class culture, the role of vocation as a teacher, and the principal's recommendation and encouragement.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formation of the follower's community are as follows. Awareness of the problem of ones’ class, the need for growth in class, the need to develop relations with colleagues, the need for communication with peers who have similar educational values, the leader’s influence, closed class culture and formal supervision culture. Based on the findings, there are four focuses o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First, operating the community in the direction of encouraging and supporting teachers’ self-realization. Secondly, Striving to grow a leading teacher at a school site. Thirdly, Striving to improve the principal’s competence for it. Fourthly, Striving for the revitalization of it as a beginning of school culture and climate enhanc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make forming spontaneous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schools. This is due to the importance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improving school culture and school climate. Data collect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make forming spontaneous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schools. This is due to the importance of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improving school culture and school climate. Data collecting had been conducting by semi-structured interview on eight members of the spontaneous teacher’s learning community from a school, in-of-school messenger and various papers. The interview data was processed through ‘direct interpretation’ of the leading teacher, ‘categorical aggregation’ of seven following teachers, and ‘member checking’.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formation of the leader's community are as follows. To share class pain and good training, to teach peer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philosophy, to change class culture, the role of vocation as a teacher, and the principal's recommendation and encouragement.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formation of the follower's community are as follows. Awareness of the problem of ones’ class, the need for growth in class, the need to develop relations with colleagues, the need for communication with peers who have similar educational values, the leader’s influence, closed class culture and formal supervision culture. Based on the findings, there are four focuses on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First, operating the community in the direction of encouraging and supporting teachers’ self-realization. Secondly, Striving to grow a leading teacher at a school site. Thirdly, Striving to improve the principal’s competence for it. Fourthly, Striving for the revitalization of it as a beginning of school culture and climate enhanc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연호, "현대인간관계론" 박영사 2000

      2 송태민, "혁신학교가 전문적학습공동체 형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 윤창국,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4 박선형,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모델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179-200, 2004

      5 Fullan, M., "학교를 개선하는 교사" 레인보우북스 2015

      6 김희규,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학습조직의 이론적 함의"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7 (27): 69-91, 2013

      7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53-80, 2008

      8 맹재숙, "학교 내 교사학습모임의 형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2015

      9 송경오, "초·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79-201, 2010

      10 고미영, "질적사례연구" 청목출판사 2009

      1 박연호, "현대인간관계론" 박영사 2000

      2 송태민, "혁신학교가 전문적학습공동체 형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 윤창국,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4 박선형,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모델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179-200, 2004

      5 Fullan, M., "학교를 개선하는 교사" 레인보우북스 2015

      6 김희규,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학습조직의 이론적 함의"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7 (27): 69-91, 2013

      7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53-80, 2008

      8 맹재숙, "학교 내 교사학습모임의 형성과 확산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2015

      9 송경오, "초·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79-201, 2010

      10 고미영, "질적사례연구" 청목출판사 2009

      11 Stake, R. E., "질적 사례 연구" 창지사 2000

      12 Hargreaves, A., "지식사회와 학교교육" 학지사 2011

      13 여성희, "중등학교 교원연수에 대한 교사들의인식 조사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1 (21): 323-347, 2004

      14 오석홍, "조직이론" 박영사 2011

      15 정바울,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성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127-151, 2016

      16 이경호, "전문가학습공동체 운영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 미국‘Cottonwood Creek School'의 실천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395-419, 2010

      17 이준희, "전문가 학습공동체 구현양상에 관한 질적 연구: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28 (28): 231-259, 2015

      18 주삼환, "장학・교장론 : 교육의 질관리" 성원사 1990

      19 김이경, "우수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325-350, 2008

      20 김병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초등학교 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50) : 7-34, 2014

      21 김경은,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사회 수업 학습공동체 활동 사례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31-55, 2010

      22 "서울 ‘성적 우수’ 중학교 77%가 강남3구"

      23 Yin, R.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1

      24 Hargreaves, A., "교직과 교사의 전문적 자본 - 학교를 바꾸는 힘" 교육과학사 [ 경기] 2014

      25 Lortie, D. C., "교직 사회 : 교직과 교사의 삶" 양서원 1993

      26 송미섭,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형설출판사 2008

      27 오찬숙, "교사학습공동체의 개혁확산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28 지윤경, "교사학습공동체 형성수준 결정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9 김성천,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 과정 : 협동학습연구회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30 한희진, "교사공동체가 중학생의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117-140, 2011

      31 서경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43-276, 2009

      32 장훈, "공립학교군별 전문학습공동체 형성 정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33 유영옥, "경영조직론" 학문사 1998

      34 Palmer, P. J., "가르칠 수 있는 용기" 한문화 2011

      35 Rosenholt, S. J., "Workplace conditions that affect teacher quality and commitment : Implications for teacher induction programs" 89 (89): 420-439, 1989

      36 DuFour. R., "What i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61 (61): 6-11, 2004

      37 Hord, S., "What Is An Authentic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38 Fullan, M., "The school as learning organization: distant dreams" 34 : 230-235, 1995

      39 Louis, K. S.,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in restructuring schools" 33 (33): 757-798, 1996

      40 Sergiovanni, T. J., "Supervision: A redefinition" McGraw-Hill 2007

      41 OECD, "Schooling for tomorrow : What schools for the future?" OECD Center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Innovation 2001

      42 추갑식, "PLC를 통한 주제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0 (10): 47-66, 2016

      43 Meyer, T., "Notic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31 (31): 27-42, 2002

      44 Harris, A., "Improving schools in difficult context : Towards a differentiated approach" 52 (52): 417-431, 2014

      45 McLaughlin, M. W., "Building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Teachers College Press 2006

      46 OO중학교, "2016학년도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계획서"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