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사주재자의 지위와 확인의 이익 = The Ancestor Worshipper Status and the Interest of Its Confirm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laintiff brought a lawsuit against the Uiryung Nam-tribe Choongkyunggong-clan Chong-jung (association of families of the Choongkyunggong clan), for a confirmation of his status as the legitimate ancestor worshiper, i.e., that he is the only person authorized to preside over Jesa (ancestral rites) for ancestor Nam Jae of the Chungkyunggong clan. However, the Supreme Court dismissed the case on grounds of lack of any legal interest in confirming the ancestor worshiper status, inasmuch as there is no conflict over property subject to ancestral rites between the parties. The Supreme Court further held that, even if there were such a conflict, the plaintiff should directly demand performance of the defendant or otherwise bring a lawsuit on rights-relationship.
      This article seeks to demonstrate the following: (a) there is no room for the provisions under Article 1008-3 of the current Civil Act of Korea to be applicable to such ancestral rites premised on genealogy succession as in this case; (b) where, as here, there is a conflict over the ancestor worshipper status between a Chong-jung clan and Chong-son (a clan member who is the legitimate ancestor worshipper), the dispute shall be resolved according to the custom of ancestral rites inheritance as the autonomous norms of the Chong-jung association; (c) according to the custom of ancestral rites inheritance, there is a legal interest in litigating for the confirmation of an ancestral worshipper status, which the defendant denies to the plaintiff, even though the plaintiff is a legitimate Chong-son ancestor worshipper of the defendant Chong-jung clan; and (d) as the resolution to deprive the Chong-son of the legitimate ancestral worshipper status is void, the plaintiff’s claim should have been granted.
      번역하기

      The plaintiff brought a lawsuit against the Uiryung Nam-tribe Choongkyunggong-clan Chong-jung (association of families of the Choongkyunggong clan), for a confirmation of his status as the legitimate ancestor worshiper, i.e., that he is the only perso...

      The plaintiff brought a lawsuit against the Uiryung Nam-tribe Choongkyunggong-clan Chong-jung (association of families of the Choongkyunggong clan), for a confirmation of his status as the legitimate ancestor worshiper, i.e., that he is the only person authorized to preside over Jesa (ancestral rites) for ancestor Nam Jae of the Chungkyunggong clan. However, the Supreme Court dismissed the case on grounds of lack of any legal interest in confirming the ancestor worshiper status, inasmuch as there is no conflict over property subject to ancestral rites between the parties. The Supreme Court further held that, even if there were such a conflict, the plaintiff should directly demand performance of the defendant or otherwise bring a lawsuit on rights-relationship.
      This article seeks to demonstrate the following: (a) there is no room for the provisions under Article 1008-3 of the current Civil Act of Korea to be applicable to such ancestral rites premised on genealogy succession as in this case; (b) where, as here, there is a conflict over the ancestor worshipper status between a Chong-jung clan and Chong-son (a clan member who is the legitimate ancestor worshipper), the dispute shall be resolved according to the custom of ancestral rites inheritance as the autonomous norms of the Chong-jung association; (c) according to the custom of ancestral rites inheritance, there is a legal interest in litigating for the confirmation of an ancestral worshipper status, which the defendant denies to the plaintiff, even though the plaintiff is a legitimate Chong-son ancestor worshipper of the defendant Chong-jung clan; and (d) as the resolution to deprive the Chong-son of the legitimate ancestral worshipper status is void, the plaintiff’s claim should have been gra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원고는 피고 의령남씨 충경공파 종회를 상대로 불천위 충경공 남재의 제사주재자 지위 확인을 구하는 소를 제기하였으나, 대법원 2012. 9. 13. 선고 2010다88699 판결은 그 소를 각하하였다. 당사자 사이에 제사용 재산을 둘러싼 다툼이 존재하지 않아 그 전제가 되는 제사주재자 지위의 확인을 구할만한 법률상 이익이 없고, 설령 제사용 재산에 관한 다툼이 있더라도 피고를 상대로 직접 이행청구나 그 밖에 권리관계에 관한 소를 제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불천위의 제사와 같이 가계계승을 전제로 한 제사에 관하여는 현행 민법 제1008조의3이 적용될 여지가 없다는 점, 당해 사건과 같이 종중과 종손 간에 제사주재자 지위를 둘러싼 다툼이 있는 경우에는 종중이라는 단체의 자치규범으로서의 제사상속의 관습에 따라 분쟁이 해결되어야 한다는 점, 제사상속의 관습에 따르면 원고가 피고 종중의 적법한 종손임에도 불구하고 피고가 그 지위를 부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다툴만한 확인의 이익이 있다는 점, 그리고 종손으로부터 제사주재자로서의 지위를 박탈하는 내용의 결의는 무효이므로, 원고의 청구는 인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번역하기

      원고는 피고 의령남씨 충경공파 종회를 상대로 불천위 충경공 남재의 제사주재자 지위 확인을 구하는 소를 제기하였으나, 대법원 2012. 9. 13. 선고 2010다88699 판결은 그 소를 각하하였다. 당사...

      원고는 피고 의령남씨 충경공파 종회를 상대로 불천위 충경공 남재의 제사주재자 지위 확인을 구하는 소를 제기하였으나, 대법원 2012. 9. 13. 선고 2010다88699 판결은 그 소를 각하하였다. 당사자 사이에 제사용 재산을 둘러싼 다툼이 존재하지 않아 그 전제가 되는 제사주재자 지위의 확인을 구할만한 법률상 이익이 없고, 설령 제사용 재산에 관한 다툼이 있더라도 피고를 상대로 직접 이행청구나 그 밖에 권리관계에 관한 소를 제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불천위의 제사와 같이 가계계승을 전제로 한 제사에 관하여는 현행 민법 제1008조의3이 적용될 여지가 없다는 점, 당해 사건과 같이 종중과 종손 간에 제사주재자 지위를 둘러싼 다툼이 있는 경우에는 종중이라는 단체의 자치규범으로서의 제사상속의 관습에 따라 분쟁이 해결되어야 한다는 점, 제사상속의 관습에 따르면 원고가 피고 종중의 적법한 종손임에도 불구하고 피고가 그 지위를 부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다툴만한 확인의 이익이 있다는 점, 그리고 종손으로부터 제사주재자로서의 지위를 박탈하는 내용의 결의는 무효이므로, 원고의 청구는 인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史奉官, "확인의 이익에 대한 소고 -실무상 문제 되는 사안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22 : 2013

      2 송민경, "종중 법리의 딜레마 : 대법원 2005. 7. 21. 선고 2002다1178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의 문제들 - 종중의 재산관계 소송을 중심으로" 한국법학원 137 : 126-164, 2013

      3 정긍식, "조선전기 朱子家禮의 수용과 祭祀承繼 관념" 역사민속학회 (12) : 2001

      4 文叔子,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景仁文化社 2005

      5 박경, "조선 전기 수양·시양의 실태와 입후법의 정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정구태, "제사주재자의 결정방법에 관한 小考 - ‘전통’의 관점에서 본 대법원 2008. 11. 20. 선고 2007다27670 전원합의체 판결의 비판적 검토 -" 법학연구소 45 (45): 55-94, 2010

      7 전효숙, "제사주재자의 결정방법- 대법원(전) 2008.11.20. 선고 2007다27670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법학연구소 14 (14): 299-329, 2010

      8 이진기, "제사주재자의 결정과 제사용재산 - 대법원 2008.11.20. 선고 2007다27670 전원합의체 판결 상고이유 1의 평석-" 법학연구원 (56) : 47-94, 2010

      9 李承遠, "제사주재자 지위 확인의 소의 이익" (93) :

      10 김미영, "불천위 추대 기준에 대한 제도적‧담론적 고찰 -안동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17) : 399-433, 2010

      1 史奉官, "확인의 이익에 대한 소고 -실무상 문제 되는 사안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22 : 2013

      2 송민경, "종중 법리의 딜레마 : 대법원 2005. 7. 21. 선고 2002다1178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의 문제들 - 종중의 재산관계 소송을 중심으로" 한국법학원 137 : 126-164, 2013

      3 정긍식, "조선전기 朱子家禮의 수용과 祭祀承繼 관념" 역사민속학회 (12) : 2001

      4 文叔子, "조선시대 재산상속과 가족" 景仁文化社 2005

      5 박경, "조선 전기 수양·시양의 실태와 입후법의 정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6 정구태, "제사주재자의 결정방법에 관한 小考 - ‘전통’의 관점에서 본 대법원 2008. 11. 20. 선고 2007다27670 전원합의체 판결의 비판적 검토 -" 법학연구소 45 (45): 55-94, 2010

      7 전효숙, "제사주재자의 결정방법- 대법원(전) 2008.11.20. 선고 2007다27670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법학연구소 14 (14): 299-329, 2010

      8 이진기, "제사주재자의 결정과 제사용재산 - 대법원 2008.11.20. 선고 2007다27670 전원합의체 판결 상고이유 1의 평석-" 법학연구원 (56) : 47-94, 2010

      9 李承遠, "제사주재자 지위 확인의 소의 이익" (93) :

      10 김미영, "불천위 추대 기준에 대한 제도적‧담론적 고찰 -안동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17) : 399-433, 2010

      11 민유숙, "민법 제1008조의3에 의한 금양임야의 의미와 그 승계" (49) :

      12 배병일, "대법원 판례에서의 유사 종중" 한국가족법학회 20 (20): 233-262, 2006

      13 이종서, "高麗後期 이후 ‘同氣’ 理論의 전개와血緣意識의 變動" 국학연구원 (120) : 1-35, 2003

      14 윤진수, "高氏 門中의 訟事를 통해 본 傳統 相續法의 變遷" 한국가족법학회 19 (19): 327-370, 2005

      15 정긍식, "韓國近代法史攷" 博英社 2001

      16 鄭光鉉, "韓國相續慣習法에 對한 立法論的 考察" 5 : 1957

      17 윤진수, "變化하는 사회와 宗中에 관한 慣習" 사법발전재단 1 (1): 3-36, 2007

      18 "親族相續에 관한 舊慣習"

      19 정긍식, "續大典의 위상에 대한 小考 ― ‘奉祀 및 立後’조를 대상으로 ―" 법학연구소 46 (46): 312-339, 2005

      20 윤진수, "私法上의 團體와 憲法" 한국비교사법학회 15 (15): 1-69, 2008

      21 정긍식, "祭祀와 財産相續의 法的 問題 - 역사적 시야에서 -" 한국법사학회 (51) : 99-135, 2015

      22 鄭肯植, "祭祀用 財産의 歸屬主體" 博英社 22 : 2000

      23 郭潤直, "相續法" 博英社 2004

      24 朴秉濠, "異姓繼後의 實證的硏究" 14 (14): 1973

      25 尹眞秀, "民法論攷 VII" 博英社 2015

      26 民議院, "民法案審議錄(下)" 1957

      27 朴秉濠, "民法上의 祭祀用財産의 承繼" (10) : 1996

      28 김윤정, "朝鮮中期 祭祀承繼와 兄亡弟及의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20) : 107-130, 2002

      29 鄭肯植, "改譯版 慣習調査報告書" 2000

      30 申榮鎬, "家族法學論叢: 朴秉濠敎授 還甲紀念(I)" 博英社 1991

      31 박경, "15세기 입후법(立後法)의 운용과 계후입안(繼後立案)" 한국역사연구회 (59) : 129-158,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6 0.89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