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flecting Academic Symposia as a Trend at Animation Festivals, Media Art Festivals and Conferences on Computer Animation

        욜건 하글러,프란지스카 부르크너,Hagler, Juergen,Bruckner, Franziska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9

        우선 실습이 있고 난 다음, 페스티벌과 이론이 뒤따른다. 매체필름 자체보다 오래된 애니메이션 제작과 비교해서 이 영역의 페스티벌과 이론은 늦게 시작되었다. 애니메이션 194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프랑스 칸느와 같은 영화 페스티벌에서 1960년에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에 선보였고, 몇몇 단편적 이벤트들이 루마니아, 이탈리아 그리고 도쿄에서 이어졌다. 그리고 마침내 1972년 두 번째로 오래된 페스티벌인 자그레브 아니마페스트가 있다. 애니메이션 이론은 1980년대말 '큰누나'격인 필름 학회에 이어 애니메이션학회(the Society for Animation Studies) 같은 백인-미국인 사회와 연관되어 발전했다. 학술영역에 확장이 있어왔다. 프랑스와 독어권 나라들을 위시한 유럽권 애니메이션 연구와, 폴란드 혹은 크로아티아는 최근 이론학회와 출판을 하면서 뒤를 이어오고 있다. 실습과 페스티벌 그리고 이론 사이의 선명한 시너지는 언제나 애니메이션 아트 형식과 문화에 교두보를 정립하는 주요요소였다. 그러나 지난 몇 년 동안 경향은 애니메이션과 이론 사이의 보다 압착된 관계로 나아가고 있는 듯하다.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은 이론적이고 과학적인 심포지움이나 컨퍼런스를 주최한다. 이런 컨퍼런스는 작가나 산업종사자들에게 열려있다. 강연 시작에 아니마페스트 스캐너 자체 개념의 짧은 반영은 린츠 에이알에스 일렉트로니카의 확장된 애니메이션 심포지움의 소개를 따른다. 토론은 나중에 ITFS 애니메이티드 필름 페스티벌과 슈투트가르트의 국제 애니메이션, 특수효과, VR, 게임과 트랜스 미디어의 다중 아카데미 심포지움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연구는 예술과 과학, 이론과 산업의 허물어진 경계를 아티스트와 실무자, 학자, 큐레이터와 페스티벌 참가자들에게 다른 형식으로 드러낸다. At first there was practice, then festivals and theory followed. Compared to the animation production, which is older then the medium film itself, festivals and theory in this area started with a delay. While animation programs where shown in film festivals like Cannes since the mid 1940s, the first animation festival in Annecy, France was founded in 1960, followed by several short-lived events in Romania, Italy and Tokyo and finally in 1972 by the second oldest festival up to date, Animafest Zagreb. Animation theory evolved in the late 1980s in the Anglo-American area with associations like the Society for Animation Studies, following its 'big sister' film studies. Expanding ever since as a research area, European animation studies in e.g. France, German speaking countries, Poland or Croatia have been catching up in recent years by organizing theoretical conferences and publications. A vivid synergy between practice, festivals and theory has always been a key factor for establishing a platform for the art form and culture of animation. However, in the past few years a trend could be observed towards a more intense interaction between animation festivals and theory. Animation festivals are hosting theoretical and scientific symposia or conferences, which are open for artist positions and insights into the industry. At the beginning of the lecture a short reflection of the concept of Animafest Scanner itself is followed by an introduction of the Symposium Expanded Animation at the media festival Ars Electronica Linz. The talk will subsequently focus on the multilayered academic symposia at the Festival of Animated Film ITFS and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nimation, Effects, VR, Games and Transmedia in Stuttgart. These case studies will reveal the blurring boundaries between art, science, theory and industry as well as the specificities of the interplay between artists, practitioners, scholars, curators and festival visitors in different formats.

      • KCI등재

        Siamese Cats - Analysis of Six Thai Independent Animators

        YOUNG, Millie The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5

        나는 태국 방콕에 소재한 Mahidol 대학교 국제학부에서 애니메이션 교육자로서 지난 8년동안 태국의 신 세대 애니메이터의 작은 집단을 교육하는 특권을 지닌 위치에 있었다. 태국은 태국 고유의 애니메이션 실험적용이 그 동안 거의 없었으며, 그런 다양성에 접근도 인터넷 이전 시대에는 제한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나의 연구 배경이 되는 특히 영국과 유럽의 풍요로운 애니메이션 역사를 강의실로 가져와 소개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특히, 내가 가르치는 데 있어서 둔 목적은 초기의 (또한 현재의) 실험적/독립 애니메이터들이 탐구했던 매체, 양식과 텍스트 네러티브(서사) 선택에 관한 다양한 가능성을 소개하는 것이었다. 최초의 장편 상업 영화 "Khun Kluay"가 2006년에 출시된 이래로, 태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그간 외국에서 훈련 받고 일하고 돌아온 숙련된 인력을 형성하면서 상업적인 부면에서 여러 기복을 겪어왔다. 현재는 독립 애니메이션이 출현하기 시작하는 확실한 증거가 보인다. 태국 애니메이션에 관한 나의 연구의 연장으로, 본 논문은 선정된 독립작품에 대해서 그 주제를 비롯해 사용된 양식과 테크놀로지를 탐구하면서 세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그러나 동시에 해석에 대한 오류의 가능성도 인정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나의 문화적 언어와 해석은 아웃사이더의 관점이기 때문에 본래 크리에이터의 경험을 초월할 수도 있고 대안적인 해석을 추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작품의 내용과 아이디어와 문화적인 관점을 맥락화하고, 더 많은 태국의 작품들이 애니메이션 연구 학계에 시선을 모을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s an animation educator at Mahidol University International College, Bangkok, for eight years I have been in a privileged position to be educating a small section of a new generation of Thai animators. Thailand has had little animation experimentation of their own and pre-internet had limited access to such diversity so I have attempted to bring some of the wealth of animation history, in particular British and European, as this is my background, into the classroom. In particular my teaching aim has been to introduce various possibilities to the choices of medium, styles and textual narratives that early (and current) experimental and independent animators have explored. Since the release of the first commercial feature film, Khun Kluay 2006, the Thai animation industry has gone through various highs and lows in the commercial sector, building a skilled workforce, many of whom trained and worked abroad then returned. Now there is strong evidence of an independent animation starting to emerge. In a continuation to my research on Thai Animation this paper will analyze selected independent works in more detail, exploring the themes, style and technology used. Whilst also acknowledging the possible mis- interpretation as that this is coming from the perspective of an outsider whose cultural language and interpretation may transcend the creators' given experiences and add alternative interpretation. The aim will be to contextualize the content, ideas and cultural perspective and bring more Thai works into the gaze of animation studies academics

      • KCI등재

        Psychological dependence in Japanese animation films: A case of Rin Taro

        Yokota, Masao,Koide, Masashi,Nomura, Koji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200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8

        There are many opportunistic events that accidentally happen in Rin Taro's animations. However, audiences usually enjoy them in which dramatic catastrophic scenes inflict destruction on a city. Every acquaintance that a hero meets helps him to complete his wish in <Galaxy Express 999>. Rin's animations describe the hero as a person that every acquaintance is eager to help. This means that the fulfillment of hero's wish depends on sympathy of the other persons toward the hero. Thus, the hero is psychologically dependent on the others. However, Rin Taro gradually became to describe destructive aspects of psychological dependence. A female character in 'X' has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a computer that has a human-like jealousy. At last, it kills her from its jealousy. Rin Taro had shifted from helpful psychological dependence to destructive one in his animations. Therefore, Rin Taro described Japanese mental state as psychological dependence in his anim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state in Japan.

      • KCI등재

        A Study of Kwon Kisoo's Paintings : focused on The 'Four Gracious Plants' and 'Dongguri'

        Adjah, John,Hong, Mi-Hee The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0

        Kwon Kisoo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artist in Korea. His paintings portray a lot of metaphors and philosophies in oriental art. As an artist, he adapts both oriental and contemporary ideas to make his paintings. His main motifs are Plum blossoms, Chrysanthemum, Orchid and Bamboos. These plants are known as 'Sa-gonja' in Korean but translated as the 'Four Gracious plants' or the 'Four Gentle Plants in english'. These noble plants represent the four seasons. They grow in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In oriental art, these plants are considered very important for their qualities. These qualities are important attributes for gentlemen in literati painting. The drawing of the 'Four Gracious Plants' in Kwon Kisoo's paintings is simplified. He uses lines, shapes and colour to create contours of the motifs. In his paintings, there is another icon he calls 'Dongguri'. Dongguri is the main character in Kwon Kisoo's paintings. It was developed in 2002 by fast brush strokes. Dongguri is an admired character because it looks like very cute in Kwon Kisoo's paintings. Dongguri is always seen living in the midst of the 'Four Gracious Plants'. The 'Four Gracious Plants' with other landscape features like rocks and mountains are places 'Dongguri' lives. Dongguri is also often found performing a lot of actions like climbing, running, sitting etc. All these actions depict metaphors which have been unraveled in this study. 권기수는 한국의 가장 촉망되는 화가 중 한사람이다. 그의 작품에는 많은 동양예술의 비유들과 철학이 담겨져 있다. 화가로서, 권기수는 그의 그림에 동양적 사상과 현대적 사상을 모두 채택하였다. 그의 주요 주제들은 '매화꽃, 국화, 난초 그리고 대나무'이다. 이 식물들은 한국에서 '사군자'라고 알려졌으나, 영어로 '네 개의 품위 있는 식물' 또는 '네 개의 온화한 식물' 번역되기도 한다. 또한 이 식물들은 네 개의 계절을 나타낸다. 그들은 각기 다른 환경에서 자라나고, 동양 미술에서 이 식물들의 품격과 지성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권기수 역시 그의 작품 속에 사군자를 소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의 모든 작품에는 '동구리'라는 캐릭터가 나온다. 2002년에 빠른 붓 스트로크에 의해 고안된 동구리는 권기수의 작품에서 주요한 캐릭터이다. 동글동글하고 귀여운 인상의 동구리는 많은 사람들에게 칭찬과 사랑을 받는다. 동구리는 보통 '사군자' 가운데 살고 있다. 바위와 산과 같이 특색 있는 지역에 있는'사군자'는 동구리가 살고 있는 곳이다. 동구리는 또한 등산, 달리기, 앉기 등과 같이 다양한 동작을 취하고 있다. 이 모든 동작들이 이번 과제에서 해석되어온 은유를 묘사한다.

      • KCI등재

        Animation and Machines: designing expressive robot-human interactions

        장 파울로 스클리터,Schlittler, Joao Paulo Amaral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9

        만화와 종국적으로 애니메이션은 환상적 시나리오 시각화의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고 에서는 어떻게 애니메이션이 미래 현재(변모되어가고 있는 인공두뇌, 매개 사회) 아주 흔한, 그리고 필수불가결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는지 알아볼 것이다. 따라서 애니메이션은 인터페이스이거나 혹은 대변자로서 일시적 형태의 대상인 인간과 현실의 담화형태가 된다. 애니메이션 혹은 특히 애니메이트된 필름은 보통 단편, 실사영화, 픽션이나 논픽션의 캐릭터와 연결되어있다. 하지만 애니메이션은 전통적 영화 형식과 언어와는 거리가 있고 같은 이유로 디자인과 커뮤니케이션 역시 다른 영역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Vil{\acute{e}}m$ Flusser에 따르면 그렇지 않다. 같은 전제가 네트워크 문화 속 애니메이션에 적용된다. 애니메이션은 디자인 과정과 제작에 본질(모션 그래픽이나 인터페이스 디자인 그리고 3D 영상작업 등)로 자리한다. 비디오 게임, VR, map 기반 app과 소셜 네트워크 등은 확장된 우주인 우리의 네트워크 기반 문화에 자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것들은 애니메이션과 연결성이 증대된(세계공통어가 디지털 환경 속 멀티-컬처 상호작용에 적용된 것처럼) 디자인 제품과 미디어 훈련이다. 이러한 감각에서 애니메이션은 담론화 되었으며 같은 방법으로 Roland Barthes는 담화 형식의 신화를 묘사한다. 디자인 도구로서의 애니메이션 역할을 탐구하는 목적으로, 제안된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사용하여 트렌스 미디어 창작의 이미지 전략을 네러티브와 유저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Cartoons and consequently animation are an effective way of visualizing futuristic scenarios. Here we look at how animation is becoming ubiquitous and an integral part of this future today: the cybernetic and mediated society that we are being transformed into. Animation therefore becomes a form of speech between humans and this networked reality, either as an interface or as representation that gives temporal form to objects. Animation or specifically animated films usually are associated with character based short and feature films, fiction or nonfiction. However animation is not constricted to traditional cinematic formats and language, the same way that design and communication have become treated as separate fields, however according to $Vil{\acute{e}}m$ Flusser they aren't. The same premise can be applied to animation in a networked culture: Animation has become an intrinsic to design processes and products - as in motion graphics, interface design and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Video-games, virtual reality, map based apps and social networks constitute layers of an expanded universe that embodies our network based culture. They are products of design and media disciplines that are increasingly relying on animation as a universal language suited to multi-cultural interactions carried in digital ambients. In this sense animation becomes a discourse, the same way as Roland Barthes describes myth as a type of speech. With the objective of exploring the role of animation as a design tool, the proposed research intends to develop transmedia creative visual strategies using animation both as narrative and as an user interface.

      • KCI등재

        From Broken Visions to Expanded Abstractions

        막스 하틀러,Hattler, Max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9

        최근 영화적 제작에서 필름과 애니메이션은 입체시각과 3D 댑스를 관객들을 위해 만들고 있다. 소비자 입장의 VR 기술의 성숙은 동시에 미디어 제작 추세를 3D 공간, 컴퓨터 게임에서 포르노 비디오 그리고 아카데미에 노미네이트된 VR 단편 'Pearl'에 이르기까지 박차를 가한다. 이 모든 작업들이 양안시차의 정도에 반응하는 우리의 눈이 뇌의 좌우반구에 영향을 받아 입체시를 이루는 입체 퓨전과 연관이 있다. 이는 인간의 정상 시각을 모방한 것이다. 하지만 실험적 작업에서는 3D 공간 제작이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다. 본인의 추상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본인은 2D의 평평함과 장소의 혼돈성을 즐겨 사용한다. 이러한 점이 본인이 추상적 시각을 추구하는 부분이다. 내 앞에 있는 것과 무엇이 뒤에 있는지를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없어서, 감상에서 요구되는 효과를 강화한다. 2015년에 큐레이터인 제프리 쇼(Jeffrey Shaw)가 나에게 아니마 믹스 비엔날레(2015~2016)를 위한 입체시각 작품 제작을 요구했다. 이것이 나로 하여금 어떻게 3차원에서 초결정적 공간보다 입체경이 장소적 시각의 혼돈을 성취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호기심이 일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연달아서, 어떻게 추상과 실험 움직임 이미지 실행이 입체경으로부터 새로운 시각과 네러티브 기회를 여는 해택을 얻을 수 있는가, 만약 유기적인 융합을 넘어서는 방법으로 사용된다면 말이다. 주목할 만한 작업은 전통성 내의 전형적인 예, 양안시에 대한 확장된 접근이 본 논문에서 논의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본인이 아니마믹스 비엔날레를 위해 작업한 반복 입체시 애니메이션 III=III의 간략한 소개와 예술가들이 관심가질 만한 기술, 즉 입체시와 관련된 더욱 실험적이고 확장된 작업방법에 대해 논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film and animation for cinematic release have embraced stereoscopic vision and the three-dimensional depth it creates for the viewer. The maturation of consumer-level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simultaneously spurred a wave of media productions set within 3D space, ranging from computer games to pornographic videos, to Academy Award-nominated animated VR short film Pearl. All of these works rely on stereoscopic fusion through stereopsis, that is, the perception of depth produced by the brain from left and right images with the amount of binocular parallax that corresponds to our eyes. They aim to emulate normal human vision. Within more experimental practices however, a fully rendered 3D space might not always be desirable. In my own abstract animation work, I tend to favour 2D flatness and the relative obfuscation of spatial relations it affords, as this underlines the visual abstraction I am pursuing. Not being able to immediately understand what is in front and what is behind can strengthen the desired effects. In 2015, Jeffrey Shaw challenged me to create a stereoscopic work for Animamix Biennale 2015-16, which he co-curated. This prompted me to question how stereoscopy, rather than hyper-defining space within three dimensions, might itself be used to achieve a confusion of spatial perception. And in turn, how abstract and experimental moving image practices can benefit from stereoscopy to open up new visual and narrative opportunities, if used in ways that break with, or go beyond stereoscopic fusion. Noteworthy works which exemplify a range of non-traditional, expanded approaches to binocular vision will be discussed below, followed by a brief introduction of the stereoscopic animation loop III=III which I created for Animamix Biennale. The techniques employed in these works might serve as a toolkit for artists interested in exploring a more experimental, expanded engagement with stereoscopy.

      • KCI등재

        The Archeology of Memory: The Explorations of Animated Documentary

        곽춘저,Guo, Chunning The Korean Society of Cartoon and Animation Studie 2016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5

        본 논문은 실행에 근거한 연구로, 기억의 신비와 복잡함을 탐구할 수 있는 유일한 형태인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에 관한 실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란 역사적으로 자리잡아 영향을 받은 내러티브의 맥락에서 한 개인의 기억을 밝혀낼 수 있는 하나의 매체라고 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과 다큐멘터리간의 혼인은 새로운 형태의 영화를 탄생하게 했다. 그렇다면 이 새로운 형태를 어떻게 범주화할 것인가? 이것은 애니메이션 단편영화인가 아니면 다큐멘터리 단편영화인가? 실제로 이것은 애니메이션과 다큐멘터리의 본질에 대해 질문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슈이보 왕 (Shuibo Wang)의 작품 이래로 더 많은 젊은 중국의 아티스트들은 시각적 나레이션에 있어서 상징을 통한 (정치적인 팝 트렌드와 관련된 상징) 실험을 해왔는데 이것은 중국 현대 예술분야에서 구조주의와 기호학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보여질 수도 있다. 사례연구로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 단편 "케첩 (Ketchup)"이 6세 소년의 기억을 통해서 어떻게 청춘의 문제와 사회적 혼란을 드러내는 지에 대해서 밝힐 것이다. 그간 영화제와 학회에서 청중은 이 "케첩"이 사실에 근거해서 만든 작품이라는 사실을 알고 충격을 받았으며, 또한 그런 중대한 사건이 어떻게 해서 거의 잊혀지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궁금함을 표시했다. 사실상 이 망각이라는 것은 기억의 층의 한 부분이다.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는 우리의 기억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탐험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This is a practice-based research, aiming to explore the experiments of Animated Documentary, which is a unique form can explore the mysteries and complexity of memories. Animated Documentary is a medium through which one can reveal an individual's memories within the context of a narrative that is historically situated and influenced. The marriage of animation and documentary gave birth to a new form of film. How to category this new form? Is it an animated short or documentary short? In fact, this raises issue that questioning the nature of animation and documentary. From Shuibo Wang's works, more young Chinese artists began to experiment with symbols (related to the Political Pop Trend) in visual narration, which could also be seen as a reflection of structuralism and semiology in the contemporary Chinese art field. As a case study, this paper demonstrates how animated short "Ketchup" revealed the problems of youth and social turmoil through the memories of a six-year boy. On the Festivals and conferences, the publics were shocked to know "Ketchup" based on true memories, and they were more curious why the crucial things almost be forgotten. Actually forget fulness is one of the layers of memories and Animated Documentary will offer a new way to explore how our memories are sha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