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영화의 `파편화(fragmentation)`의 서사적 효과 연구-페드로 코스타, 장-뤽 고다르, 요한 반 데르 퀘켄의 영화를 중심으로-

        정은정 ( Jeong Eun Jeo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1

        본 논문은 현대영화의 주요한 형식적 특징인 `파편화`가 영화적 이야기 세계를 어떻게 변형시켜 나가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파편화는 기성의 전체성을 전제한 개념이다. 그리고 영화에서의 전체란 보통 연속적인 시공간과 인과적인 사건 전개로 이루어지는 이야기 세계를 의미한다. 파편화는 이러한 전체로서의 이야기 세계를 해체한다. 그리고 해체를 통해 새로운 이야기 세계를 구성한다. 따라서 파편화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해체와 구성에 대해 이야기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은 현대영화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파편화 형식이 어떻게 이야기 세계를 해체하고 새롭게 재구성하는지를 사례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여러 사상가들의 파편에 대한 사유를 살펴볼 것인데, 여기에서 우리는 파편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를 만나게 될 것이다. 파편에 대한 일반적 논의에 이어 본격적인 사례 연구가 시작될 터인데, 그 대상이 된 영화들은 페드로 코스타의 <뼈>, 장-뤽 고다르의 <미치광이 피에로>, 그리고 요한 반 데르 퀘켄의 <침묵의 순간> 이다. 이 영화들의 파편화는 다양한 방식으로 해체와 재구성을 수행한다. 그러나 작가 각각이 추구하는 영화철학의 차이에 따라서 그들의 파편화 스타일은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코스타의 파편화는 현실의 파편들을 집적함으로 해서 느슨하지만 진실한 하나의 이야기 세계를 제시한다. 이에 비해 고다르의 파편화는 총체적인 파편화 실험을 통해 다중의 이야기 세계를 만들어 내고, 영화의 메타언어로서의 가능성을 한없이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반 데르 퀘켄은 현실에서 경험하는 감각적 파편을 자유롭게 콜라주함으로써 영화적 이야기 세계의 소멸을 감행한다. 현대영화의 파편화는 서사중심의 고전적 재현체계가 추구했던 하나의 명확한 이야기 세계를 거부한다. 현대영화의 파편화가 이처럼 이야기 세계를 변형시키는 이유는 명확한 이야기 세계가 제약하고 있는 영화적 가치들이 존재한다는 공통된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코스타가 추구한 리스본 변두리의 빈민촌의 진실, 혹은 고다르가 추구한 영화의 메타언어화, 또는 반데르 퀘켄이 추구한 감각으로서의 현실 등은 하나의 명확한 이야기 세계로는 도달하기 어려운 영화적 가치들이다. 요컨대 현대영화의 파편화는 이야기 너머를 추구하는 작가들의 형식적 귀결인 셈이다. 따라서 현대영화의 파편화를 연구한다는 것은 영화작가가 추구하는 이야기 너머의 영화적 가치를 이해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how modern film`s important form, “fragmentation” modifies a filmic narrative world. The fragmentation is an opposite concept of the totality which exists as a preconceived idea. The filmic totality means a narrative world which is consisted of continuous space and time, and cause and effect course. However, the fragmentation breaks down the entire narrative world and reconstructs the new narrative through deconstruction, thus the study of the fragmentation represents a discussion about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how various fragmentation forms in modern films that break and reconstruct the narrative world through observing several examples. First of all, this study observes some thinkers` thoughts that express the general discussion. Some of the specific examples of the study are Pedro Costa`s film < Ossos >(1997), Jean-Luc Godard`s < Pierrot le Fou >(1965), and Johan Van der Keuken`s < Un Moment de Silence >(1960). The fragmentation of these films is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in diverse ways. However, the styles of the fragmentation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the film directors`own philosophy. For instance, Costa`s fragmentation pursues an accumulation of fragments of reality based on one diegesis and has phenomenological features. On the other hand Godard`s fragmentation is characterized by a multilayered discourse, which emphasizes the multiple diegeses and film as a metalanguage. Lastly, Van der Keuken demonstrates one layered fragments of sense that the diegesis is totally disappeared. Modern film`s fragmentation rejects a clear narrative line which is pursued by the narrative - centric strategy of Classical realism. The reason why modern film`s fragmentation modifies the narrative is that the clear narrative limits filmic values. For instance, the reality of a poor village of Lisbon`s suburb in Costa`s film, or Godard`s metalanguage, or Van der Keuken`s sensible reality are the filmic values that can`t be reached by one clear narrative. The modern film`s fragmentation is a cosequence of the film form by cineastes who pursue something beyond the narrative. Therefore, the study of the modern film`s fragmentation is a process of understanding of the filmic value that exists beyond the narrative.

      • KCI등재

        영화의 경계적 특성과 통합적 역량

        이정하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3 현대영화연구 Vol.19 No.1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image ecosystem, which is currently forming and proliferating in a very interesting complex system, and the phenomena of divergence, diffusion, and expansion of cinema―various visual forms called “cinema”― that are observed the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oundaries of cinema and its capacity as a ‘montage integrator’. Jacques Rancière stresses that film “exists only as frontière instable, which, in order to exist, needs to be constantly traversed [by other foreign things].” It means that it is impossible to categorize film into a specific outline or to define it uniform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or material. The productivity, formal and technological evolution, and cultural influence of cinema in the last century are largely attributable to the flexibility and dynamism derived from the metastable and plural identity of film, which has fluid and unstable boundaries. However, in fact, this is not a unique condition of existence for cinema, but a general reality and requirement for art. Film, of course, has been continuously transforming with technological and social evolution, as it has been traversed by various heterogeneous fields and layers that coexist. Yet, the peculiarity of film is that it has functioned as “montage integrator”(Déotte) that connects and rearranges these heterogeneities heterogeneously or disproportionately. And thus cinema has actually presented also a new way of creating art. Despite the existential crisis of cinema, which has been controversially discussed along with the transition to digital media, cinema is producing images with unique materiality and new forms of thought through this method of disjunctive connection, and it is still creating problematic art. 본 논문은 현재 매우 흥미로운 복잡계를 형성하며 증식하고 있는 이미지 생태계와 거기서목도되는 영화의 분기, 확산, 확장의 현상들― ‘영화’로 불리는 다양한 시각적 형식들―을 영화의 경계적 특성과 ‘통합자적 몽타주’의 역량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 시도이다. 랑시에르는 영화란 그 자체로 “존재하기 위해 끊임없이 [다른 이질적인 것들에 의해] 횡단되기를 요구하는불안정한 경계로서만 존재”한다고 강조한다. 영화를 특정한 윤곽으로 영역화하거나 매체, 질료등의 특성에 의거해 단일하게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얘기이다. 지난 세기 영화의 생산성과 형식적, 기술적 진화, 그리고 문화적 영향력은 이 유동적이고 불안정한 경계라는 영화의준안정적, 복수적인 정체성이 파생시킨 유연성, 역동성에 힘입은 바 크다. 그러나 이는 사실상영화만의 고유한 존재 조건이라기보다 현재 예술이 처한, 그리고 예술에 요구되는 일반적 상황이기도 하다. 영화는 기술적, 사회적 진화와 함께 공존하는 다양한 이질적인 영역, 층위들에횡단되면서 지속적으로 변용되어왔다. 특히 영화는 이 이질성들을 비균질적 혹은 이접적으로접속하고 재배치하여 형태화하는 ‘통합자적 몽타주’(데오트)로 기능해왔다. 그리고 이는 사실상영화가 제기한 예술을 하는 새로운 방식이기도 하다. 디지털 매체 전환과 함께 논쟁적으로 거론된 영화의 존재론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이러한 이접적 접속의 방식을 통해 독특한물질성을 지닌 이미지들과 새로운 감각적 사유 형태들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여전히 문제의 예술로 생성 중이다.

      • KCI등재

        탈북자 소재 분쟁영화 분석 -크로싱 2008, 두만강 2009, 무산일기 2010, 댄스타운 2011, 겨울나비 2011-

        성경숙 ( Kyoung Suk Su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2 현대영화연구 Vol.8 No.2

        불특정 다수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매체인 영화는 동시에 소비매체이기도 한 까닭에 대중의 요구와 특정 사회적 변화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사회적 생산물”이기도 하다. 이러한 관점에 주목하면 한국영화사와 함께 하나의 고유 장르로 발전해 온 “분쟁영화”가 갖는 중요성과 독특함이 더욱 분명해진다. “분단”이라는 소재는 1950년 한국전쟁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로 발전해 왔다. 이처럼 분단이라는 역사적인 상황 속에서 하나의 독립적인 장르로 성장 및 발전한 “분쟁영화”는 사회 각 분야들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한국 사회가 분단과 북한사회를 바라보는 시각변화를 민감하게 조명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의 분단 상황과 북한과의 관계를 다룬 영화들을 분쟁영화로 정의했다. 한국 분쟁영화는 북한과의 정치적 및 사회문화적인 상황변화와 밀접한 연관관계 속에 있기 때문에 한국전쟁 이후 한국영화사의 발전과 함께 성장 및 발전한 영화장르인 분쟁영화는 영화를 제작하고 만드는 감독들의 세대에 따라 직간접적으로 남북분단 상황에 대한 시각과 영화적 묘사가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이처럼 정치사회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장르라는 점에 주목해 볼 때 전통적인 분쟁영화의 소재였던 남북갈등과 전쟁 등의 소재에서 탈피해 2000년도 중 후반부터 북한사회 고발과 탈북자문제가 새로운 분쟁영화의 주요 소재로 떠오른 점은 또 다른 현실투영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최근 5년 내에 제작된 한국영화들이 북한과 분단이라는 소재를 다루는 방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본문에서는 새로운 소재등장에 대한 사회적 원인을 비롯한 2000년대 후반 분쟁영화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주요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총 5편의 영화를 2000년 후반 이후 분쟁영화의 주요 소재로 떠오른 북한 사회와 탈북이라는 두 개의 주제로 나누어 분석했다. 이들 영화들 속 등장하는 인물들과 주요갈등구조 그리고 장소들을 세부 분석대상으로 선정해 2000년 후반 이후 현실적인 사회문제로 등장한 북한의 생활환경과 북한 탈북자들의 영화 속 표현방식을 살펴보았다. Films are a kind of mass piece of art, it becomes clear which role conflict films play in the South Korean film history. After Korea War in 1950 the theme “division” was often treated and is still mentioned frequently. As an independent film genre, conflict films developed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land division and history shows again and again the importance of this issue in the society and the strong influence on the different areas of the country. In this analysis conflict films mean films that make the issue of the divide of the country and the relationship to North Korea the topic of the film. The Korean conflict film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is political situation and the portrayal and theme of North Korea are presented in different ways by different generations of film makers. After the Korean War in the year 1950 the topic of the division of the country was often portrayed and still is until today. In this work five example films are chosen and analysed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he current social problems since the end of 2000, arising due to the situation of the country being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Korea, are represented. The focus is on the life conditions in North Korea and that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South Korean films. Thereby, it is examined how the film aspects have changed North Korea and the country, the “physical reality”.

      • KCI등재

        영화적 재배치로서 메타버스 영화

        정인선 ( Jung In Sun ),함충범 ( Ham Chung Beom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2 현대영화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표는 사회적·산업적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영화학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메타버스 영화의 형태와 함의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문적으로 완벽히 정의되지 않은 메타버스 영화의 정의보다 현상적으로 드러난 메타버스 영화의 형태와 요소에 대해 집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가상현실, 증강현실 영화로 불리면서 만들어지고 있는 많은 영화들이 결국은 메타버스 영화로 재배치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런 사실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사례로 현재 만들어지고 있는 메타버스 영화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메타버스 영화라는 것이 오늘날 다양한 형태로 불리고 있는 영화의 형태를 융합할 수 있는 좋은 용어로서 제시하고, 다양한 형태의 영화들이 메타버스 영화로 재배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aper study on the form and implications of metaverse cinema, which have not been rarely addressed in film studies despite a lot of social and industrial interests. For this purpose, rather than the definition of metaverse cinemas that are not fully defined academ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metaverse cinema types and classifications that were revealed phenomenally. Based on this research, this paper was confirmed that many of the cinema that are currently being called a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films can eventually be integrated into metaverse cinema. Based on this fact,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cinemas that are currently being made as concrete exampl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metaverse movies are a good term that can converge the forms of cinemas that are called various forms today, and it is confirmed that various types of cinema can be relocated as metaverse movies.

      • KCI등재

        북한 영화기술 교재를 통해 본 디지털 영화기술 수용 양상

        정인선 ( Jung In Su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3 현대영화연구 Vol.19 No.2

        남북교류 행사에서는 정치적, 사회적인 이유로 상대적으로 분쟁 거리가 적은 문화교류를 많이 한다. 그리고 영화교류는 주요한 남북간 문화교류 행사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근래에 남·북한의 영화교류가 활성화될 때 조금 더 효율적인 교류를 위해 북한의 디지털 영화기술 수용 양상에 관해 연구하였는데, 북한 영화기술 교재를 통해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북한의 영화기술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예술의 기술 역시 북한 사회 지도자들의 교시라는 것이다. 다음으로 김정은 시대에는 ‘현대화’와‘세계화’라는 키워드로 디지털 영화기술을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이러한 특성들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북한 디지털 영화기술 수용 양상을 확인해 보면, 김일성-김정일 시대에도 영화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주장하지만 제한적으로 디지털 기술(스캔을 통한 상영본 디지털화와 합성 기술)이 수용된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김정은 시대에는 ‘현대화’와 ‘세계화’라는 기치아래 촬영, 편집, 믹싱, 색보정, 영사까지 거의 전 부분에서 디지털화된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또 기술 용어를 최대한 한글로 순화하지만, 영어를 병기하는 세계화된 특성도 보인다. In inter-Korean exchange events, there are many cultural exchanges with relatively little dispute, film exchange is one of the major cultural events. This study explored North Korea’s acceptance of digital film technology through textbooks on North Korean film technology for more efficient exchanges when film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uture. This confirmed two important facts. First of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to understand North Korea’s film technology is that the technology of art is also taught by the leaders of North Korean society. Next,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Kim Jong Un era, digital film technology was being accepted with the keywords of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Based on these facts, concretely examining the pattern of acceptance of digital film technology in North Korea, it was confirmed that even in the Kim Il-sung and Kim Jong-il eras, although the importance of film technology was insisted on, digital technology (digitization of screenings through scanning and composition technology) was accepted in a limited way. However, under the banner of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in the era of Kim Jong Un, digitalization can be found in almost all parts, from shooting, editing, mixing, color correction, and projection. In addition, technical terms are refined in Korean as much as possible, but there is also a globalized characteristic of writing english together.

      • KCI등재

        사유하는 영화, 에세이영화 -에세이영화의 이론적 접근을 위한 시론-

        이도훈 ( Lee Do Hoon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현대영화연구 Vol.14 No.2

        이 논문은 에세이영화에 관한 이론적 지형을 그리기 위한 시도이다. 문학의 에세이가 그러하듯이 에세이영화의 주요 특징은 장르적 실험, 주관성의 표출, 공적인 영역에의 개입으로 정리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총 세 단계로 나누어서 에세이영화의 주요 특징들을 살펴본다. 우선, 문학적 에세이의 전통과 관련해 게오르그 루카치, 막스 벤제, 테오도르 아도르노의 글을 검토한다. 이들은 에세이가 실증적인 학문의 전통에 반기를 들면서 저자의 사유를 형상화하는 작업으로 정리했다. 다음으로, 1940년대 에세이영화의 등장에 주목한 일부 비평가, 영화감독들의 논의를 살펴본다. 이들은 에세이영화가 지성의 보고이자 매개물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끝으로 1990년대 이후 에세이 영화의 정의를 둘러싼 논쟁을 검토한다. 이 시기를 중심으로 에세이영화의 형식적 층위와 내용적 층위 각각을 둘러싼 몇 가지 쟁점들이 불거졌다. 이처럼 이 논문은 에세이영화의 전통, 출현, 발전과 관련된 논의들을 단계적으로 검토해나가면서 에세이영화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raw a theoretical ground for essay films. As with literary essays, the main features of essay films can be organized into genre experiments, presentation of subjectivity, and involvement in public domain. The body of this text divided into three steps to explore the main features of the essay films. First, consider Georg Lukacs, Max Bense, and T. W. Adorno’s writings on the tradition of literary essays. They explained the essays that configured author’s thought as they rebelled against the empirical academic tradition. Next, take a look at some of the critics and film directors who drew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the 1940s essay films. They expected the essay film to be the source and medium of intelligence. Finally, consider the arguments surrounding the definition of an essay film after the 1990s. Around this time, the issues surrounding the formal and content layers of the essay film were raised. As a result, this paper aims to form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essay movies as it examines the traditions,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essay films in stages.

      • KCI등재

        대구 경북 지역의 영화 배급사 연구

        안재석 ( An Jae Seok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1

        한국영화사 연구에서 지역(지방) 영화사 연구는 소외 분야였다. 더욱이 오랜 기간 소위 `입도선매(立稻先賣)식 단매`라 불린 `지역별 간접배급구조`가 유지되어, 무엇보다 `지역`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한국 영화산업의 배급 혹은 배급사(史)에 대한 연구에서마저도 늘 `지역`보다는 `서울의 제작사`를 중심으로 논의되어져 왔다. 본 논문은 이처럼 `서울의 제작사`를 중심으로 논의되어온 한국 영화산업의 배급 혹은 배급사 연구를 `지역`의 입장에서 재고(再考)하기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영화의 지역별 상권이 6개 권역으로 나뉘어져 간접배급구조를 취하게 되는 1950년대 후반부터 한국 영화시장의 개방과 멀티플렉스 시대의 도래와 함께 직접배급체계로 변화하게 되는 2000년대까지 `대구 경북 지역`의 영화 배급 구도의 변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필자는 과거 대구 경북 지역에서 활동했던, 그리고 지금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는 지역 배급업자이자 극장 관계자들인 고의부, 안갑수, 이석근, 이중호 등과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 분들의 증언을 통해 그동안 왜곡되고 간과되어온 `지역` 영화인들의 활동과 비어 있던 `지역` 영화사(史)의 틈을 메울 수 있었다. The study on the local film history has been an excluded field in the study on the Korean film history. Moreover, the `indirect distribution system by regions`, so-called `pre-sale`, has been kept for a long time, so the study on the film distribution or distribution history in Korean film industry which should have dealt the `region` importantly has always discussed around the `film production companies in Seoul` than the `region`. As a part of its goal for reconsidering the study on the film distribution or distribution history in Korean film industry which has been discussed around the `film production companies in Seoul`,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nge process of film distribution composition in `Daegu-Gyeongbuk region` from the late 1950s when the indirect distribution system was started after the film`s commercial blocks by region had been divided into 6 areas to 2000s when it was replaced by the direct distribution system with the opening of Korean film market and the start of multiplex cinema age. For this study, I carried out some interviews toward distributors and cinema staff who have worked in Daegu-Gyeongbuk region from the past until now. These interviewees` testimonies could correct the distorted or ignored `local` filmmakers` activities and fill the gap of `local` film history which has been emptied.

      • KCI등재

        1. 기획논문: "한국영화 7선" 2015년 한국영화를 말하다 : <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 >, 범죄영화장르의 진화와 폭력의 서사화 방식

        정민아 ( Min Ah Jeo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현대영화연구 Vol.12 No.1

        영화 <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 >은 지배층의 반칙과 특권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는 한국 권력층의 한복판으로 들어가, 그들의 얽히고설킨 이너서클의 실체를 추적한다. 대한민국은 신자유주의 체제가 공고화되고, 신(新)계급주의 구도를 깰 수 없을 정도로 사회의 계층이동이 막힌 폐쇄형 사회로 향하고 있다. 이에 2010년대 한국영화 시장에서는 사회고발 영화의 성공이 뚜렷하게 감지된다. 사회 불만이 고조되고, 사회고발성 작품에 대한 투자와 제작이 활성화되며, 이로 인해 사회고발 영화의 안정적 시장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 >은 단단하게 맺어진 1% 지배층의 내부거래에 균열을 가하는 힘이 얼마큼 가능한지, 못가진자들의 연대와 전략이 통하는지를 시험한다. 또한 현재 모순으로 가득한 한국사회의 지배구조가 재벌, 정치, 언론의 삼각동맹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직시한다. 견고한 그들만의 동맹관계 안에서 서로 밀고 당겨주며, 때로는 서로의 약점을 포착하여 협박하는 방식으로 권력층은 비열하고 부도덕한 지배를 공고히 한다. 이 영화의 장르는 범죄영화이자 갱스터영화이며, 액션과 음모, 신뢰와 배신의 연속으로 긴장감을 놓지 않는 남자들의 이야기이다. 본고는 <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 >의 한국 범죄영화의 장르적 진화로서의 의미를 탐구하고, 영화가 화두로 던지는 구조적 폭력의 문제가 서사화되는 방식을 살펴본다. 잔혹한 범죄가 난무하는 사회상을 소재로 하는 영화가 유행하는 사회적 이유 및 장르영화가 가지는 전복적 쾌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확인해본다. 더불어 사회적 병폐를 해결할 영웅을 만들기 위해 삽입되는 에피소드와 조연 캐릭터들의 희생의 병치, 사악하고 병적인 성격으로 묘사되는 나쁜 자들의 성격화 등 주류 장르영화의 한계 및 봉합점에 대해 탐구한다. Inside Men: The Original penetrates into the heart of the power structure in South Korea and traces the inner circle to its intricate and morbid truth. In 2010s when Neoliberalist system is being consolidated and class mobility is getting tightened, films exposing and criticizing social reality seem promising in Korea’s film market. Upsurge of people’s discontent of social status quo and growing investment in society-critical works lead to stable growth of societycritical films in the market. The film is a testing ground where we test our ability to break up the bond among the ruling class and see if solidarity and strategy among the deprived work. In a strictly exclusive alliance among themselves, colluding with each other on the one hand and preying on other’s weaknesses on the other, the powers consolidates their immoral and despicable domination of the society. The film follows genre conventions of the crime film and the gangster film, and it tells a story of men with fluctuation of trust and betrayal. In this paper I look for the meaning of the genre evolution of Korea’s gangster film in The Inside Men: The Original and examine the way how structural violence is narrated. I also try to find out why films depicting our society in terms of atrocious crimes are popular and what the nature of subversive pleasure from a genre film is. In addition, this paper explores limitation or suture point of the mainstream genre film including the expense of the supporting characters and inserted episodes in order to make a hero to solve the social stigma, and characterization of enemies who are depicted as to be pathological.

      • KCI등재

        근대적 공장으로서의 필름 영화-기술, 제작, 배급에서의 포디즘

        심효원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현대영화연구 Vol.14 No.1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Fordist aspect of cinema by comparing the technology and production of films with those of a modern factory. Before proceeding to the discussion, the following question is raised: Why has cinema seldom dealt with factories, despite a certain homogeneity, as both emerged from modernity? To answer this question, we should investigate some resemblances between cinema and the factory. First, the shape of a film strip and the mechanism of film production are similar to those of a factory with conveyor belts, as both deal with time as if it is a finite resource or has monetary value. Second, the dominant film production companies strategically adopted Fordism in the era of classical Hollywood cinema. Consequently, the films of the time were treated as cultural commodities rather than art. In this respect, the features of the studio system and ‘movie palaces,’ each corresponding to a manufacturing system and retail stores, are analyzed. Films were produced by following a designated order founded on modern infrastructure, which is similar to the production of a commodity on a conveyor belt. Moreover, they were distributed in a state of mystification by removing all traces of the process. Considered in this framework, the secret is revealed that cinema can paradoxically sustain its existence by virtue of workers—another identity of the spectators watching films after working hours, who go to the movies to escape labor. Eventually, this leads to one answer to the question raised above: Cinema is a factory or a workplace that the spectators (workers) do not want to recall. 본 연구는 20세기 필름 영화의 기술과 제작 양식을 근대적 공장과 비교하여 포디즘적 속성에 주목한다. 가장 먼저 영화가 공장과의 동질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왜 공장을 거의 다루지 않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그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공장과 필름 영화 사이의 공통점을 찾는다. 첫째, 기술적인 원리 면에서, 필름의 모양과 작동 방식은 공장의 컨베이어 벨트와 닮아 있다. 그리고 둘 다 시간을 유한 자원, 혹은 화폐처럼 다루는 근대적 시간의 속성을 발현시킨다. 둘째, 고전 할리우드 영화 시대의 대형 제작사는 포디즘을 전략적으로 채택했다. 이 시기 영화는 공장에서 생산되는 상품으로서의 경향을 가장 강하게 드러냈다. 그렇다면 영화 제작과 배급 과정에서 그 양상이 어떻게 드러났는지 탐색할 필요가 있다. 그 일환에서 스튜디오 체계를 공장과, 영화관을 소매점과 비교한다. 필름 영화는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처럼 미리 조성된 인프라를 기반으로 정해진 경로와 수순을 거쳐 만들어졌고, 최종 목적지인 극장에 도달하는 순간 각종 공정과 개입의 흔적들이 지워져 신비화되었다. 이에 주목함으로써 공장 등지에서 일하는 근대적 노동자의 또 다른 정체성인 관객은 노동에서 벗어나기 위한 도피적 창구로서 영화를 여가 수단으로 대하지만, 역설적으로 영화는 그들의 노동을 통해 가치를 획득한다는 비밀스러운 근대의 순환 고리가 최종적으로 드러날 수 있다. 공장으로서의 영화는 관객이 떠올리고 싶지 않은 노동의 현장 그 자체였던 것이다. 이러한 주장이 영화가 왜 공장을 전면적으로 다루지 않았는지에 대한 한 가지 대답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려 한다.

      • KCI등재

        특집논문 : 재일교포의 영화적 재현 -오시마 나기사의 <교사형>과 박철수의 <가족 시네마>-

        노광우 ( Kwang Woo Noh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2 현대영화연구 Vol.8 No.2

        1960년대 이후 일부 일본 뉴 웨이브 영화는 일본 내의 소수자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 재일교포 문제도 주요한 영화의 소재가 되었다. 이러한 일본 영화 안에서의 재일교포의 재현은 신독일영화에서 터어키 이민 노동자를 다루거나 미국영화에서 인종적 소수자로서 유색인종을 다루는 경향과 비교할 만하다.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나 영화에서는 재일교포 문제가 한국의 민족주의적 관심사에 의해 주로 일본 내의 민족 차별이나 남한의 일원으로서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내용을 담은 작품들이 나오기도 했다. 일본 내의 재일교포 공동체는 현대의 일본의 근대화와 제국주의적 정책과 관련이 있다. 한국은 20세기 초반에 일본에 병합되었고, 일제 치하기에 일본의 자원 공급지이자 일본자본주의의 부수적 시장으로서 기능했다. 1937년 중일전쟁이후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정책에 따라 한국은 일본의 병참기지화되었으며, 일제시기에 이미 룸펜 프롤레타리아트로 전락한 수많은 한국인들이 일본으로 이주했거나 전쟁기간 동안에 징병 및 징용으로 강제이주했다. 1945년, 일본이 패전할 때까지 약 2백만명의 한국인들이 일본으로 이주했다. 종전 후, 이들중 상당수가 귀국했으나 일부는 한국전쟁과 같은 불안한 상황 때문에 그대로 일본에 남게 되어 재일교포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었다. 근대 일본의 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인의 부정적 이미지는 가난, 무지, 범죄, 불복종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아울러 일제시대의 일본이 지닌 한국인의 이미지는 무시, 동정, 센티멘탈리즘으로 나타난다. 2차대전의 종전 이후, 일본 뉴웨이브 영화 운동이 일면서 재일동포에 대한 태도는 동정으로 바뀐다. 이후에 재일동포 작가들의 작품을 일본영화인들이 만들거나 재일교포 영화들이 스스로 작품을 만드는 현상이 나타난다. 일본은 단일민족의 공동체라는 신화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일교포, 아이누족, 그리고 오키나와 문제같은 타민족 문제를 안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는 일본 뉴웨이브를 비롯한 진보적인 영상매체의 주요한 소재가 된다. 본 논문은 소수자로서 재일교포가 영화에서 어떻게 재현되는 지를 오시마 나기사의 <교사형Death by Hanging>를 통해 분석한다. 아울러 1990년대에는 재일교포 공동체 내의 다른 세대의 이야기를 다룬 유미리의 동명의 자전적 소설을 영화화한 박철수의 <가족시네마Family Cinema>를 분석한다. <교사형>은 1958년에 벌어진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기억상실증에 걸린 주인공을 국가기구가 일본의 이등시민으로서의 의식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야기가 짜여져 있다. <가족 시네마>는 재일교포 삼세대가 겪은 불행한 가정사 자체에 주목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