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교는 공존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가?: 듀이 ‘자연과의 상호의존성’ 개념의 명확화를 중심으로

        정철희 ( Jeong¸ Cheolhee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우리 사회에 폭증하고 있는 혐오 현상을 극복하고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공존적 삶의 태도를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탐구한 것이다. 우리가 마주한 코로나19라는 위기 상황은 궁극적으로 ‘자연과의 분리’와 ‘공동체와의 분리’라는 복합적인 분리 현상에 원인이 있다는 측면에서, 듀이의 ‘자연과의 상호의존성(natural piety)’ 개념은 인간과 자연, 인간과 사회의 상호작용과 관계의 회복을 추구하는 삶의 태도를 교육하는 일의 중요성과 함께 학교의 구체적 역할을 도출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연구자는 먼저 듀이의 ‘자연과의 상호의존성’ 개념을 그의 다른 저작과 연결하여 명확화하였으며, 이 개념의 핵심을 (ⅰ) 의존성, (ⅱ) 총체적 환경으로서의 자연, (ⅲ) 지성적 탐구로서 설명하였다. 여기에 근거하여 학교가 공존을 가르칠 수 있는 구체적 원리로서 (ⅰ) 관계의 회복과 의사소통 교육, (ⅱ) 통합적 생태교육, (ⅲ) 삶의 연속성 교육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자연과의 상호의존성’을 획득한다는 것은 자아와 세계를 분리하는 상황에 저항하는 삶의 태도인 동시에, 차이를 아우르는 ‘곁’을 늘려가는 공존적 태도를 지닌 시민으로 성장한다는 것임을 설명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how to overcome the hate phenomenon that is exploding in our society due to COVID-19 and teach an attitude of coexistence in living together. Dewey's concept of “natural piety” is applicable in the sense that the crisis situation we face is ultimately caused by the complex separation phenomenon of “separation from nature” and “separation from community.” This study provides numerous implications for deriving the specific role of schools along with the importance of educating students on a life attitude that seeks to restore the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between humans and society. First, Dewey's concept of “natural piety” was clarified by linking it with his other works, and the core of this concept was explained as (i) dependence, (ii) total environment, and (iii) intellectual inquiry. Based on this, as specific principles that schools can teach in regard to coexistence, (i) education for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ii) integrated eco-education, and (iii) continuity of life education were proposed. Furthermore, I explain that acquiring “natural piety” is a life attitude in of resisting situations that attempt to separate the self and the world and, at the same time, growing into a citizen with a coexistence attitude that increases “side”-encompassing differences.

      • KCI등재

        Spatial Downscaling of MODIS Land Surface Temperature: Recent Research Trend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Cheolhee Yoo,임정호,박수민,Dongjin Cho 대한원격탐사학회 202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6 No.4

        Satellite-based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has been used as one of the major parameters in various climate and environmental models. Especially,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LST is the most widely used satellite-based LST product due to its spatiotemporal coverage (1 km spatial and sub-daily temporal resolutions) and longevity (> 20 years). However,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LST products with finer spatial resolution (e.g., 10-250 m) over regions such as urban areas. Therefore,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produce high-resolution MODIS-like LST less than 250 m (e.g., 100 m).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overview of recent research trends and challenges for the downscaling of MODIS LST. Based on the recent literature survey for the past decade, the downscaling technique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kernel-driven, fusion-based, and the combination of kernel-driven and fusion-based methods—were reviewed with their pros and cons. Then, five open issues and challenges were discussed: uncertainty in LST retrievals, low thermal contrast, the nonlinearity of LST temporal change, cloud contamination, and model generalization.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LST downscaling were finally provided.

      • KCI등재

        The Sublime in Yeats and Eliot

        Cheolhee Lee 한국예이츠학회 2015 한국예이츠 저널 Vol.46 No.-

        예이츠와 엘리엇은 동시대 시인이면서도 별개의 시인처럼 여겨지는 경 우가 많다. 그러나 이 둘 사이에는 유사성이 매우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은 시의 대 상 표현에 있어서 “시적 숭고성”을 얻어내고 있다. 먼저 예이츠는 이를 위하여 고대의 도시 중에 하나인 “비잔티움”을 선택하는 가하면 엘리엇은 “시간”의 이동이라는 개념 에 의지하고 있다. ‘숭고성’이라는 롱기누스의 정의에 어울리게 시적 표현의 탁월성과 우수성을 이 두 시인 모두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look at the sublime in Yeats and Eliot. According to Longinus, sublimity is “a certain distinction and excellence in expression.” Both Yeats and Eliot appreciate Longinus’s definition of the sublime. Yeats uses the city Byzantium and Eliot uses the abstract image (of time’s movement) to express the sublime in their work.

      • KCI등재

        Yeats’s “Sailing to Byzantium” and The Upanishads

        Cheolhee Lee 한국예이츠학회 2015 한국예이츠 저널 Vol.48 No.-

        이글은 예이츠의 「비잔티움으로의 항해」를 인도경전인 『우파니샤드』에 적용해 보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비잔티움으로의 항해」에서 시인은 변화무쌍한 이 세계에서 벗어나서 모든 것이 조화롭고 통일되며 변화가 없는 비잔티움으로 가기를 갈망한다. 그러데 이러한 모습은 『우파니샤드』에 나타난 브라만과의 소통의 경지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영육간의 조화 및 지상계와 천상계 사이의 조화가 이루어지면 브라만과 하나가 될 수 있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ad Yeats’s “Sailing to Byzantium” using The Upanishads. Above all, Yeats wishes to go away from this physical and material world and go to Byzantium where all is harmonized and unified. The speaker of the poem is in pursuit of such a world. The Upanishads also teaches the same world for us: according to The Upanishads, we should communicate with Brahman, the highest principle, which symbolizes a state of harmony between the spiritual and physical world. Brahman is the highest goal and is represented by Byzantium in this poem.

      • KCI등재

        The Poetic Self in the Poetry of W. B. Yeats and T. S. Eliot

        Cheolhee Lee 한국예이츠학회 2018 한국예이츠 저널 Vol.55 No.-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예이츠와 엘리엇의 시적 자아가 추구하는 최종 목적(방향)을 찾아보는 것이다. 그 목적에서의 차이를 발견함으로써 시적 자아의 이상향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장점이다. 그 결과 예이츠는 시적 자아의 “개인적 해방”을 추구하는가 하면 엘리엇의 경우“자아비우기”를 통해 절대자 수용을 강조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is essay looks into the poetic self as realized in Yeats’s and Eliot’s poems. Both poets want to swerve from the present condition/ status.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m: Yeats’s poetic self wants to be liberated from our present being while Eliot’s hopes to confronts God by negating “self.” In general Yeats tends to depend on the descriptions of the natural world while Eliot deals with the abstractive ideas.

      • KCI등재

        Modern Man and Reality in the Poetry of Yeats and Eliot

        Cheolhee Lee 한국예이츠학회 2014 한국예이츠 저널 Vol.43 No.-

        예이츠와 엘리엇은, 비록 동시대 작가들이지만, 다른 시인들로 간주된다. 그러나 우리는 문학적 차이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엘리엇은 현대인과 사회를 현실적 으로 다루고 있으며, 이것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많이 논의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 점을 예이츠의 것과 비교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예이츠도 어떤 면에서는 엘리엇과 비 슷하게 이 주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두 작가의 인간관은 정신적 불모성, 불안, 맹목성, 공허함으로 특징지어진다. Yeats and Eliot, though both are contemporary, are regarded as different poets, and we should not overlook different literary features. Eliot draws modern man and his life realistically, about which many scholars have studied. In this paper, I want to make a comparison between Eliot’s conception of man and his life with Yeats’s, as Yeats also seems to treat the same subject in a similar way to Eliot’s. Both poets’s way of looking at man is summed up: spiritual instability, insecurity, purposelessness, vacancy.

      • KCI등재

        Reading Yeats’s and Eliot’s Ultimate Reality

        Cheolhee Lee 한국예이츠학회 2017 한국예이츠 저널 Vol.52 No.-

        본 연구는 예이츠와 엘리엇의 시에 나타난 중심 사상의 차이점을 살펴 본 것이다. 이 두 시인은 이 세계의 현 상태에 대한 불만을 분명히 가지고 있으며 여 기에서 탈출하고자하는 욕구가 그대로 나타난다는 것이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 나 흥미로운 점은 예이츠는 주로 마음/심령의 정화를 통한 이상세계를 갈구한 반면에 엘리엇은 마음의 정화를 통한 하나님과의 교감을 원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 다. 결국 현세계 존재 그대로에서 벗어나 더 높은 이상을 추구한다는 것은 두 시인 모두에게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super-reality in Yeats’s and Eliot’s poems. Both poets are not satisfied with the present world. So they create it in their works. Yeats in his work seeks for an ideal world that is completely purified by freeing himself while Eliot seeks for a world in which he could meet God and be purified. Although the way they would like to attain it is different, the whole process of such an attempt has been highly productive, and they could become the leading writers in 20th century English literature.

      • KCI등재

        A Look at Two Modern Poets Yeats and Eliot

        Cheolhee Lee 한국예이츠학회 2018 한국예이츠 저널 Vol.57 No.-

        사실, 현대 영미시사에서 예이츠와 엘리엇을 제외한다면 그것을 정확히 진단할 수 없을 정도로 그 두 시인의 영향력은 대단하다. 흥미롭게도 이 둘은 다르게 보일 것처럼 느껴지지만 유사한 맥락으로 평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둘 사이에 창 작 방법 또한 유사한 측면이 많다. 이른바 상징을 기점으로 엘리엇은 객관적 상관물을 추구했다면 예이츠는 흔히 정의하는 낭만주의적 기질을 구조했다는 논점이 매우 이채 롭다. 예이츠는 결코 단순한 낭만주의자가 아님을 알 수 있다. Yeats’s and Eliot’s role in modern poetry is so great that we could not estimate it manifestly. They have the same direction but are a little different; importantly, they reform the history of modern poetry, each playing an essential role in it. And many researchers regard Yeats as a romantic but this paper claims that Yeats has overcome Romanticism. I could find that there are in the poetry of Yeats and Eliot similarities in poetic techniques: in particular, both depend on symbolism in order to hide their own feelings, which is the objectification of subjectivity.

      • KCI등재

        Studying Yeats’s and Eliot’s Personae

        Cheolhee Lee 한국예이츠학회 2022 한국예이츠 저널 Vol.67 No.-

        이 글은 예이츠와 엘리엇에 대한 연구로서 이 두 시인 각각의 시적 화 자에 대한 표현 방법을 살펴 본 것이다. 예이츠의 경우, 비교적 시적 화자가 곧 예이 츠 자신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그는 주로 상징에 의하여 시적화자의 의도 를 드러내고 있다. 반면에 엘리엇은 작품창작과정에서 그 자신을 드러내지 않기 위해 서 시적 화자를 다른 인물들로 설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두 시인에게 공통점은 시적 화자를 드러내거나 감추고 있지만 객관성을 추구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서로 유 사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intends to look closely at Yeats’s and Eliot’s poetic speakers. These two poets commonly use the poetic speakers. But their effects seem different in their poems. Yeats’s speaker usually coincides with himself while Eliot’s does not. In Yeats’s work subjectivity prevails while in Eliot’s objectivity is pursued. Yet it is interesting that Yeats also seems dependent on the poetic objectiveness in many of his works by using Masks.

      • KCI우수등재

        Reading Eliot’s Four Quartets: Looking at the Gap between Kairos and Chronos

        ( Cheolhee Lee ) 한국영어영문학회 2020 영어 영문학 Vol.66 No.4

        Most critics have investigated Eliot’s Four Quartets in terms of the question of time as the starting point, and others grapple with the question of Christianity as the major issue for their discussion, suggesting Four Quartets as the sum of Eliot’s Christianity. They argue that Eliot draws his attention to the relation between God and humans throughout the Four Quartets, and that Eliot demands humans to obey God’s will without showing their obstinate attitudes. This reductionist interpretation reveals the fact that they neglect to contextualize Eliot’s conceptualization of time in terms of Kairos and Chronos, which will combine the question of time with that of Christianity. It is my contention that we can divide Eliot’s time into spiritual (Kairos) and physical time (Chronos) based on the human’s mind. In short, Kairos is the spiritual time and Chronos the human time. The former is invisible while the latter is visible and measurable. According to Eliot, it is necessary that humans’ minds should focus on God’s Words known as Kairos, and humans should live on the basis of Kairos. That is how they could deviate from Chronos, allowing them to go into Kairos. What Eliot suggests is that humans look at Kairos which is not measurable. By thinking of Kairos, they could avoid their inner biological and greedy desire and detach themselves from their own self, external things, and other persons while depending on prayer. In doing so, humans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God. The state of mind during prayer is beyond human consciousness and derives Kairos from the order of words and the sound of the voice praying. Furthermore, Eliot describes the moment when he can confront God, and defines it as Kairos. I argue that Eliot shows the relation of Chronos and Kairos throughout the Four Quartets, thereby interrelating the themes of time and Christianity in tand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