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 엑카르트의 인식론의 기본 개념

        이부현 ( Lee¸ Boo-hy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9 가톨릭철학 Vol.0 No.13

        이 글은 M. 엑카르트의 신비주의에 이르는 이론적 통로를 밝히기 위해 그의 인식론의 기본 개념을 밝히고 있다. 엑카르트는 인간 인식의 단계적 영역을 ① 감각 지각 ② 참여를 통해 오성적인 것의 영역 또는 내적 감각의 영역 또는 하위의 오성 ③ 추론적 오성 또는 오성 ④ 상위의 오성 또는 이성 등으로 나누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이들 말마디의 기본 개념을 해명하고 있다. 그의 인식론의 궁극적 거점은 신의 순수 이성이다. 신의 순수 이성과 인간 이성이 하나 될 때, 인간은 일의적으로 순수 이성이게 된다. 인간은 신적 순수 이성을 향해 위로도 향하지만, 감각적 외적 세계를 향해 아래로도 향한다. 위로 향할수록 우리는 내적 인간으로 상승하는 반면, 아래로 향할수록 우리는 외적 인간으로 하강한다. 인간은 신적 순수 이성과 감각 사이를 오가고 있다. 우리는 위를 향하기 위해 아래 것을 모조리 비워야 한다. 엑카르트는 수용성, 그리고 모든 힘과 행위에 반대해 그냥 놓아두고 있음(Zulassen)을 중시하고 있다. 이 점에서 그의 인식론은 극히 논리적이고 학문적인 아리스토텔레스나 토마스의 인식론과 달리, 인간의 종교적ㆍ실존적 경험을 반영하고 있다. 이 작업은 엑카르트의 신비주의 사상이 나름대로 이론적 근거를 갖고 진행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시도된 일련의 작업 중 하나이다. 하지만 어떤 차이도 허용하지 않는 궁국적 통일성인 신성에 대한 논의는 그의 이론을 훌쩍 넘어서고 있다. 그의 신비주의 사상은 이론과 경험이 합쳐져야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Die Absicht der vorliegenden Arbeit ist es, die fundamentalen Begriffe der M. Eckharts Erkenntinistheorie zu erörteren. Eckhart unterscheidet normalerweise die folgenden Bereiche des menschlichen Erkennens: ① Den Berech der Sinneswahrnehmung und ② den Bereich der inneren Sinne bzw. des durch Teilhabe Vernünftigen oder ratio inferior und ③ den Bereich des diskursiven Verstandes oder der ratio und ④ ratio superior oder des intellectus. Also erörtert diese Arbeit diese fundamentale Begriffe. Letztliche Grund seiner erkenntnistheorie ist reiner intellectus des Gottes. Nämlich menschliche Vernunft univok intellectus, da sie den göttlchen intellectus in ihrer Leere so gänzlich aufnehmen vermag, daß sie nichts anderes ist als dieser. Das Menschliche Erkenntnisvermögen hinordnet auf das ihm Obere, nämlich auf Gott, oder auf das ihm Unten, nämlich auf das nichtendes Nichts. Menschen immer bewegt zwischen reinem intellectus des Gottes und Bereich der Sinneswahnehmung, die stiftet das Nichts. Also wichtig für Eckhart die Empfänglichkeit, das Zulassen, im Gegensatz zu allem Machen und Tun ist. Die höchste Form des Tun ist die Abscheidung von allem, was Empfänglichkeit hindert, als die Vorbereitung zu geistiger Empfängnis. Tun dient also dem Empfangen. Im diesen Arbeit, können wir verstehen, daß die Eckharts mystische Denken habe die eigentlichen, erkenntnistheoretischen Grund. Aber Gottheit ist einic ein, abgeschieden von aller Zahl und nicht auf die Zahl bezogen. Daher ist die Einheit Gottes dem erkenntnistheoretischem Grund gegenüber transzendent. Denn seine Erkenntnistheorie behandelt mit die Einheit von mehreren und Unterschiedenen, nämlich Differenz zwischen Menschen und Gott, also nicht Einheit schlechthin.

      • KCI등재

        M. 하이데거의 ‘내맡기고 있음’(Gelassenheit)의 의미에 대한 텍스트 내재적 해석

        이부현 ( Lee¸ Boo-hy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8 가톨릭철학 Vol.0 No.31

        이 글은 M. 하이데거의 『들길 대화(Feldweg-Gespräch)』의 후반부에서 따온 그의 < 내맡기고 있음에 대한 해명(zur Erörterung der Gelassenheit) >이란 대화 속에 나오는 그의 ‘내맡기고 있음’(Gelassenheit)이란 낱말의 의미를 가능한 한, 주석서에 의존하지 않고 텍스트의 맥락에 따라 해석하고자 쓰였다. 그의 <내맡기고 있음에 대한 해명>은 탐구자, 학자, 스승 등 세사람의 등장인물이 들길에서 대화를 나누는 들길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이 대화는 인간의 본질에 대한 물음으로부터 시작한다. 물론 인간의 본질은 회역(Gegnet)에 완전히 ‘내맡기고 있음’ 가운데서 건네 오는 존재의 소리에 응답할 수 있는 터-존재(Da-sein)일 것이다. 그의 들길 대화에 나오는 ‘내맡기고 있음’은 사유 방향의 근본적 전회 또는 전통적 사유로부터 미래적 사유로의 이행(Übergang)과 관계되는 말이다. 이행적 사유는 존재를 장악하여, 인식하려는 종래의 주관적-표상적 사유 태도를 자제하고, 그로부터 풀려나, 존재 자체 또는 생기에 자신을 내맡기고 있는 사유이다. 따라서 ‘내맡기고 있음’은 전통적, 특히 근대적 초월적·지평적 표상 활동에서 풀려나 생기가 생기하는 회역에 완전히 내맡겨져 있어, 회역의 부름에 뒤따라 사유하는 태도 또는 숙고하는 사유를 뜻한다. 이 글의 몸체는 ① 의욕에서 풀려나 내맡기고 있음으로의 이행 ② 초월적·지평적 표상 활동에서 회역으로 이행 ③ 회역화 그리고 사물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interpret the meaning of Heidegger’s detachment in his < zur Erörterung der Gelassenheit > in the text-immanent way. In this booklet, the dialogue begins with an inquiry to the essence of man. The essence of man is Da-sein who could respond to soundless sound of Being if he could be wholly detached to Gegnet. In short, ‘Detachment’ means to be free from the traditional transcendental·horizontal representations and to wholly entrust himself to the Gegnet. The main them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the transition from freedom from will to detachment ② the shift from transcendental· horizontal representations to Gegnet ③ Vergnis and Ding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시맨틱 웹을 이용한 웹 변경 탐지 시스템의 설계

        조부현(Boohyun Cho),이복주(Bogju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본 연구는 인공지능과 정보검색, 웹 기반 시스템 분야의 새로운 추세인 시맨틱 웹 기술을 이용하여 웹 문서의 변경을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기존의 시스템의 문제점인 신택스 중심의 변화 탐지에서 벗어나 시맨틱 중심의 변화 탐지에 목표를 두어, 의미가 있는 변경 사항만을 찾아 알려주어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 이다. 또한 특정 도메인에 중심 된 변경 사항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면 더욱 유용한 시스템이 될 것 이다. 이를 위하여 특정 도메인과 시나리오를 가정한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맨틱 중심의 변화 탐지를 가능하게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Automated Surface Wave Measurements for Evaluating the Depth of Surface-Breaking Cracks in Concrete

        Seong-Hoon Kee,Boohyun Nam 한국콘크리트학회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 Vol.9 No.3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an innovative surface mount sensor, made of a piezoelectric disc (PZT sensor), as a consistent source for surface wave velocity and transmission measurements in concrete structures. To this end, one concrete slab with lateral dimensions of 1500 by 1500 mm and a thickness of 200 mm was prepared in the laboratory. The concrete slab had a notch type, surface breaking crack at its center, with depths increasing from 0 to 100 mm at stepwise intervals of 10 mm. A PZT sensor was attached to the concrete surface and used to generate incident surface waves for surface wave measurements. Two accelerometers were used to measure the surface waves. Signals generated by the PZT sensors show a broad bandwidth with a center frequency around 40 kHz, and very good signal consistency in the frequency range from 0 to 100 kHz. Furthermore, repeatability of the surface wave velocity and transmission measurements i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at obtained using manual impact sources. In addition, the PZT sensors are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for monitoring an actual surface breaking crack in a concrete beam specimen subjected to various external loadings (compressive and flexural loading with stepwise increas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surface mount sensor has great potential as a consistent source for surface wave velocity and transmission measurements for automated health monitoring of concrete stru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