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冠岳山地域岩石荒廢地의 綠化工法開發에 關한 硏究

        禹保命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1985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6

        首都圈地域에 위치한 冠岳山地域岩石荒廢地의 山腹 및 浸蝕溪谷에 대한 실용성있는 종합적인 砂防綠化安定工法에 대한 基本模型과 施工技術을 개발하기 위하여 2年間에 걸쳐서 硏究가 수행되었는데, 그 주요한 要旨는 다음과 같다. 1. 선정된 苗木을 植裁時에는 각 樹種 特性에 적합한 盆苗植裁技術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며, 또 기존 矮性의 쇠퇴한 植生에 대해서는 施肥로서 회복시켜야 할 것이다. 2. 冠岳山地域의 荒廢地는 6大類型으로 區分되며, 새로운 復舊模型으로 開發된 “山腹비탈면돌막이 工法(stone-debris catching barriers on slope)”과 “山腹비탈면留石擴水工法(debris-and-water holding trench-wall structures)”은 앞으로 더욱 硏究發展되어야 할 것이다. 3. 山沙汰와 같은 山地崩壞現象이 가장 많이 頻發하는 個所(地點)는 地形圖(1 : 5,000)上 1次谷의 上部凹地部位인 것으로 分析되었으므로, “山沙汰危險地區(Landslide hazard area)”內에서는 이러한 地點에 豫防的 防護對策(豫防治山砂防)이 先行되어야 할 것이다. 4. 荒廢溪流의 安定을 위해서는 “溪間砂防댐(debris dam)”과 “바닥막이댐(low-debrisdam)”, 그리고 溝谷막이(check dam), 바닥막이, 기슭막이工作物이 上下 連繫的으로 計劃 施工되어야 할 것이다. 特히 “바닥막이댐”의 계단식배치공법에 대한 계속적인 硏究가 필요할 것이다. 5. 山沙汰發生이 常習되는 小溪谷의 出口部位에는 폭포골 및 형골에 시공된 것과 같은 “모래막이用댐施設(send-and-stone catching basin structures)”을 설치하여 防災砂防의 效果를 擧揚토록 計劃해야 될 것이다.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for two years to develop the fundamental models and techniques concerning the practical erosion control measures and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denuded rocky forestland and eroding valley of Mt. Gwanak area in the capital region. The main results obtained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planting with the selected seedling on denuded rocky forestland,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introduce the “containerized seedling and planting practices”having the developed specifications of each species. It is also required to introduce the fertilizing practices to rehabilitate and accelerate the deteriorated and dwarfed vegetation status in this area. 2. The denuded land of Mt. Gwanak area could be devided into 6 types as described on the conclusions. "Stone-debris catching barrier structures on the slope”and “debris-and-water holding trench-wall structures”which have been developed as a new rehabilitating models for the debris sliding sites are required for further study. 3. The most hazardous point where landslides occurred frequently is correspond to the upper depressed area of end of the first-order valley on the topographic map(1 : 5000). It is, therefore, needed to precede such the preventive protecting counter-measures as drains and retaining walls at the corresponding points in “landslide hazard areas.” 4. To stabilize the denuded torrential stream, such structural measures as debris dam, low-debris dam, check dam, stream grade stabilization structures and revetment must be constructed in connection with both upper and lower structures. 5. At the outlet of small hazardous valley where landslides occurr frequently, to raise the effect of preventive erosion control it is essential to install the “sand-and-stone catching basin structures”like Pokpogol and Hyeonggol of Gwacheon.

      • 산지개발에 따른 산원수 환경영향 평가기법 및 산원수자원의 종합적 관리시스템의 개발

        우보명 서울대학교 농업개발연구소 200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 No.-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model of forest-based water resources was composed of two components. One was to simulate rainfall-runoff processes in forest watersheds, and the other was to simulate the sediment-runoff generation in hillslopes. Rainfall-runoff processes were modelled by modifying concepts of the TOPMODEL, and sediment-runoff generation processes were modelled by using the Greem-Ampt equation. The tool for build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as CLIPS. CKIPS is a productive development and delivery expert system tool which provides a complete environment for the construction of rule and/or object-based expert systems.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forest-based water is combined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rainfall-runoff model, the sediment-runoff generation model and the expert system.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forest-based water was effective on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of construction in forest watersheds and on the planning of alternative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s.

      • 冠岳山地域岩石荒廢地의 綠化工法開發에 關한 硏究

        禹保命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1985 서울대농학연구지 Vol.10 No.2

        首都圈地域에 위치한 冠岳山地域岩石荒廢地의 山腹 및 浸蝕溪谷에 대한 실용성 있는 종합적인 砂防綠化安定工法에 대한 基本模型과 施用技術을 개발하기 위하여 2年間에 걸쳐서 硏究가 수행되었는데, 그 주요한 要旨는 다음과 같다. 1. 선정된 苗木을 植栽時에는 각 樹種 特性에 적합한 盆苗植栽技術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며, 또 기존 矮性의 쇠퇴한 植生에 대해서는 施肥로서 회복시켜야 할 것이다. 2. 冠岳山地域의 荒廢地는 6大類型으로 區分되며, 새로운 復舊模型으로 開發된 "山腹비탈면돌막이工法(stine-debris catching barriers on slope)"과 山腹비탈면留石擴水工法(debris-and-water holding trench-wall structures)"은 앞으로 더욱 硏究發電되어야 할 것이다. 3. 山沙汰와 같은 山地崩壞現象이 가장 많이 頻發하는 個所(地點)는 地形圖(1:5,000)上 1次谷의 山部凹地部位인 것으로 分析되었으므로, "山沙汰危險地區(lANDSLIDE HAZARD AREA)"內에서는 이러한 地點에 豫防的 防護對策(豫防法山砂防)이 先行되어야 할 것이다. 4. 荒廢溪流의 安定을 위해서는 "溪間砂防댐(debris dam)"과 "바닥막이댐(low-debris dam)", 그리고 構谷막이(check dam), 바닥막이, 기슭막이工作物이 上下連速的으로 計劃 施工되어야 할것이다. 特히 "바닥막이댐"의 계단식배치공법에 대한 계속적인 硏究가 필요할 것이다. 5. 山沙汰發生이 常習되는 小溪谷의 出口部位에는 폭포골 및 형골에 시공된 것과 같은 "모래막이用댐施設(sand-and-stone catching basin structures)"을 설치하여 防炎砂防의 效果를 擧樣토록 計劃하여야 될 것이다. This research had been carried out for two years to develop the fundamental models and techniques concerning the practical erosion control measures and rehabilitation policy for the denuded rocky forestland and eroding valley of Mt. Gwanak area in the capital region. The main results obtained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planting with the selected seeding on denuded rocky forestland,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introduce the "containerized seeding and planting practices" having the developed specifications of each species. It is also required to introduce the fertilizing practices to rehabilitate and accelerate the deteriorated and dwarfed vegetation status in this area. 2. The denuded land of Mt. Gwanak area could be devided into 6 types as described on the conclusions. "Stone-debris catching barrier structures on the slope" and "debris-and-water holding trench-wall structures" which have been developed as a new rehabilitating models for the debris sliding sites are required for further study. 3. The most hazardous point where landslides occurred frequently is correspond to the upper depressed area of end of the first-order valley on the topographic map (1:5000). It is, there-fore, needed to precede such the preventive protecting counter-measures as drains and retaining walls at the corresponding points in "landslide hazard areas." 4. To stabilize the denuded torrential stream, such structural measures as debris dam, low-debris dam, check dam, stream grade stabilization structures and revetment must be constructed in connection with both upper and lower structures. 5. At the outlet of small hazardous valley where landslides occurr frequently, to raise the effect of preventive erosion control it is essential to install the "sand-and-stone catching basin structures" like Pokpogol and Hyeonggol of Gwacheon.

      • 水原農學캠퍼스 構內樹木園의 樹木目錄과 活用方法

        禹保命,辛俊煥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1985 서울대농학연구지 Vol.10 No.2

        농학캠퍼스 구내에는 캠퍼스의 역사를 말해 주는 듯한 노거수들이 군데 군데 자라고 있다. 어느 노목은 노령으로 이게 그 본래의 웅장한 모습이 노쇄해 지는 감이 짙기도 하고, 또 어느 거수는 너무나도 높이 높이 자라서 그 나무 아래에서는 그 수간의 정점을 관찰할 수 없는 천하대장군격인 장승수도 있다. 기록에 보면 상록의 얼이 담긴 농학캠퍼스구내에서는 대체로 1907년경부터 수목이 식재되었다. 정문수위실의 뒤편에 자라는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 그리고 그 옆에 서 있는 희화나무는 처음 심은 자리에서 그대로 자라왔다. 초창기에 심은 나무들은 리기다소나무, 양버즘나무, 아까시나무, 칠엽수, 신나무 등이다. 그밖에도 일본가래나무, 흑호도, 개서어나무 등은 초창기 심어 졌으나 지금은 없어져서 이 나무를 심어 주신 선배님들께 죄송하기 이를데 없다. 농학캠퍼스 중앙길 부근에 있는 노거수 미루나무는 1908년, 본관앞에 있는 이팝나무는 1926년에 조사한 바 그때 수고가 5m였다고 한다. 본관앞 숲속의 섬잣나무도 초창기에 심어진 노목이며, 운동장 남쪽 복판에 외롭게 남아있는 꽃개오동나무도 1907년에 들어온 나무 중의 하나로서 한때 황금수라는 이름으로 서둔동의 명물이 되어 서둔동을 카타루파(Catalpa)촌이라고 부르던 때도 있었다. 농대정문에서 육교에 이르는 대학로에도 카탈파가로수가 많이 심겨자라고 있었다. 「서울의 마로니에」는 아직도 보존되고 또 비석까지 세워졌지만 「수원의 카탈파」는 간곳이 없구나. 농대에서 농촌진흥청에 이르는 서둔길가에 남아 있는 개서어나무는 1907년에, 칠엽수 마로니에는 1908에 심은 것인데, 이미 그 모습이 사라진 것도 있고, 아직 남아 있는 것은 고생스럽게 살고 있다.

      • 우리나라 樹木園의 學術的 活用性 提高를 위한 基礎的 硏究

        禹保命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1987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8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develop educational and scientific use measures of arboreta through investigation of plant conservation and establishment status of the arboreta in Korea.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Some available data in relation with the establishment status, names of indigenous plants (especially endemic, extinct and valuable plants) and practical uses of Korean and some foreign arboreta were collected and analized. These data will be very useful in exchanging informations and improvement of management system among the arboreta in Korea. 2. In Korea, it is necessary that the united organization as the positional central level like the “Korean Union of Arboreta”should be instituted to wholly control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arboretum and botanical garden in the whole country. 3. The existing status of arboreta in some national university should be improved, especially in increasing number of kinds (speies) of registered plants as well as facilities and utilities including office building, research laboratories, and green houses, etc., and also staffs for the management.

      • 일본의 수목원조성의 특징

        禹保命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1985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6

        國內樹木園造成計劃時에 必要한 귀중한 참고 자료를 구득하고자 日本의 주요한 植物園 및 樹木園을 探訪하고 수집된 資料를 整理하여 그 主要 特徵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樹木園이나 植物園을 造成하고자 計劃할 때에는 무엇보다도 먼저 그 樹木園이나 植物園의 造成基本目的을 분명히 설정해야 된다. 예컨대, 敎育에 있는지, 硏究에 있는지, 敎育·硏究에 있는지, 또는 敎育·硏究·振興(普及)에 있는지를 분명히 하고 기본방침을 수립해야 된다. 一般的으로 大學의 樹木園은 그 조성목적이 敎育·硏究를 강조하고, 林業試驗場의 樹木園은 硏究材料의 活用面을 강조하며, 또 國立科學博物館의 植物園은 硏究와 普及을 강조하고 있다. 2. 國內의 樹木園中에서 서울大學校附屬樹木園만이 保有하고 있는 特徵이 있도록 造成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區域面積뿐만 아니라 造成植栽面積이나 植栽種 및 本數에 있어서도 最大가 되도록 造成한다거나, 「멘델의 포도」와 「뉴톤의 사과」와 같은 유서깊은 樹木이 植栽保存되어야 한다. 3. 樹木園에는 硏究職員이 확보되어 樹木園에 關한 平生硏究가 수행되고, 그러므로서 「精子를 發見한 은행나무」와 같은 연구업적이 나오도록 해야 될 것이다. 4. 樹木園造成地域에서 生育할 수 없는 植物을 키우기 위한 충분한 크기의 溫室施設이 설치되어야 한다. 5. 植物園이나 樹木園의 入園은 반드시 「關係者外有料」制度를 채택하여 樹木園의 귀중함을 인식시키도록 해야 된다.

      • 荒廢山地에서의 산불이 森林植生및 土壤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III)

        禹保命,權台鎬,李峻雨,金景河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1986 서울대농학연구지 Vol.11 No.2

        The third year's results on effects of surface fire on frest vegetations and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Mt.Gwanak, Kyunggi-do successively after the study of the first year's effects in the same place. Organic matters in soil had increased just after fire and whatsome decreased during 1 year after fire, and resulted in percentage that was less than unfired area in the third year after fire. The pH of subsoil was continuously increasing from just after fire till after 1 year, but decreased somewhat in the third year after fire. More exact classification into Increasers, Decreasers, Invaders and Neutral species was possible in the third year's study. According to comparison of similarities, the vegetational structure of the species at fired area has been gradually restoring to original state as time goes b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