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형서점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의 플랫폼화 특성 연구

        윤지효 ( Yoon Jihyo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오프라인 서점들은 온라인 서점의 확장에 위기를 맞게 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했다. 이는 대형서점들의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변화로 이어졌다. 대형서점들은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고 해외의 모범적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책 판매공간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설들과 복합화를 이루게 되었다. 또한, 소비자 중심의 사회문화적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발맞추어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의 사회적 특성을 바탕으로 대형서점의 공간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을 통해 대형서점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의 플랫폼화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대형서점의 개념과 공간적 인식을 고찰했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대형서점에 나타난 문화적 공간요소들을 도출했다. 이후 연구의 명확성을 위해 플랫폼의 정의를 정리했고, 공간플랫폼의 기능 및 유형 정리를 통해 플랫폼화 요소들을 추출했다. 추출된 요소들을 통해 대형서점의 분석요소로 사용하고 복합문화공간의 플랫폼화 현상을 분석했다. (결과) 서울 내 규모가 가장 큰 지점인 교보문고 광화문점, 교보문고 강남점, 영풍문고 종로본점, 아크앤북 시청점을 각각 세 가지 공간 유형으로 나누어 플랫폼화 현상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대형서점 및 복합문화공간은 절대적 공간이 아니라 플랫폼화 요소들이 서로 연결되고 확장되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복합문화공간의 플랫폼화 현상에 대해 국내 대형서점을 중심으로한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여 플랫폼 공간의 문화적 가치와 공간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플랫폼요소들은 개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되어 있기에 복합문화공간을 계획할 때는 정형화된 절대성과 공간의 단절을 피하고 가능성, 우연성, 확장성 등을 열어 두어야 한다. 대형서점에서 나타난 플랫폼화 요소들을 비슷한 경향으로 재구성하여 문화적 플랫폼화 특성인 비확정적, 비제약적, 탈영역적 공간성을 발견했다. 비확정적 공간성은 절대적 공간과 여기에 포함된 유무형의 요소들이 다양한 기능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계속해서 변화하는 것이다. 비제약적 공간성은 다른 분야와 융복합을 이루고 이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진화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뜻한다. 탈영역적 공간성은 경계를 없애 열린 공간을 조성하고 사용자들을 유도하여 교류를 증진시키는 특성을 나타낸다. 앞으로 계획되는 대형서점을 포함한 복합문화공간은 이러한 플랫폼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열린 공간의 가능성을 생성시키는 공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expansion of online bookstores has created a crisis for offline bookstores, which requires a solution. This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large bookstores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Large bookstores reflected social trends and benchmarked exemplary overseas cases, leading to complexization with various facilities beyond the book sales space. In addition, it actively reflects consumer lifestyles to become a consumer-oriented sociocultural platform. Keeping pace with this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arge bookstores based on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latformization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that appear in large bookstores. (Method) This study considers the concept and spatial perception of large bookstores through prior research, and derives cultural spatial elements that appeared in large bookstor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Subsequently, it defines the platform and extracts the elements of platformization using the function and type arrangement of the spatial platform. The study uses the extracted elements as the analysis elements for a large bookstore, and examines the phenomenon of platforming a complex cultural space. (Results) This study divided the largest branches in Seoul, Kyobo Bookstore in Gwanghwamun, Kyobo Bookstore in Gangnam, Yeongpoong Jongno Main Bookstore, and Arc & Book in City Hall, into three types of spaces to analyze the phenomenon of platformiz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large bookstores are not absolute spaces, but spaces where platform elements are connected and expanded. (Conclusion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ltural valu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space by conducting case analysi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centered on large domestic bookstores on the platformization of complex cultural spaces. As platform elements do not appear individually but are related to each other, when planning a complex cultural space,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standardized absoluteness and disconnection of space, and to consider possibility, contingency, and expandability. By reconstructing the platform elements that appeared in large bookstores with similar tendencies, I discovered indeterministic, unconstrained, and post-regional spati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latformization. Indeterminate spatiality is the absolute space and the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contained therein are constantly changing to accommodate various functions. Unconstrained spatiality refers to a space where continuous evolution occurs in the process of achieving convergence with other fields. Post-regional spatiality creates an open space by removing boundaries and promotes exchange by inducing users. In the future, complex cultural spaces including large bookstores are expected to become spaces that create possibilities of open spaces by actively utilizing these platform elements.

      • KCI등재

        문화마케팅 개념이 도입된 노후 산업 시설 재생에 관한 연구

        이성진 ( Seongjin Lee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도시는 우리에게 있어 계획과 목적 그리고 삶의 소중함을 담고 있는 가장 중요한 공간이다. 하지만 산업화 과정에서 도시는 체계적인 단계를 거치지 않고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지방 도시 및 낙후지역들의 쇠퇴ㆍ노후현상들이 자연스럽게 생기게 되었으며, 문화와 역사, 커뮤니티들이 사라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런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는 문화마케팅을 접목하여 노후 된 산업시설들을 재생시키는 도시 재생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도시 재생 사업으로 지역경제는 활성화로 이어지고 물리적인 공간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와 사람들 간의 소통, 환경적인 측면까지 접근하여 도시는 변모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마케팅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사업 중 노후 산업시설을 활성화 시키는 사례를 분석하고, 앞으로 산업시설을 활용한 도시재생에 발전방향에 대하여 전략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문화마케팅과 도시재생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노후 산업시설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문화마케팅 5S를 활용하여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조사를 통해 지속가능성, 홍보성, 접근성, 문화 프로그램, 역사성, 원형보존 여섯 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세부적인 연구를 위해 사례선정 기준을 2010년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노후 산업시설에 초점을 맞춰 문화마케팅을 접목하여 재생된 공간들로 선정(김중업 박물관, 광명동굴, 대림창고, 서울 거리예술 창작센터)하고, 선행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그 결과 김중업 박물관은 다양한 인프라가 구축되어있어 접근성이 용이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기획되어 있지만, 홍보성에는 아쉬운 점이 보였다. 광명 동굴은 원형 보존이 잘되어 있어 상징적인 오브제들이 많아 역사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국제기업을 연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대림창고는 창고 재생으로 인하여 주변도시가 모두 활성화되고 있어 지속가능한 점을 보여주고, 대중매체를 통해 방영된 후 기업들과 연계하여 문화행사를 기획하는 점을 보아 높은 홍보성과 성수동의 접근성도 또한 높아 재생의 좋은 사례로 판단된다. 서울 거리예술 창작센터는 프로그램 연구와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한 거리예술과 서커스 등 전문가 양성 과정으로 인하여 국제적인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공간이다. (결론)도시재생은 산업시설을 대상으로 재생되는 과정에서 문화마케팅의 5S 분류에 의한 경제, 환경, 상징적 측면에서의 요소들이 접목되어 지역경제가 활성화되고,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상호 연계하여 더 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내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도시재생을 위한 계획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전략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도시재생 사업에서 앞으로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city is the most important space that contains the plan, purpose, and value of life. However, cities rapidly developed without systematical steps along with industrialization. This caused the decay and wearing out of local cities, the appearance of the development promotion zone, and the disappearance of culture, history, and community. The government is continuing urban regeneration to revitalize the worn out industrial facilities by fusing cultural marketing to resolve this issue. Urban regeneration revitalizes the local economy through not only physical space but also with culture, communication,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c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ases that revitalize the industrial facilities during urban regeneration in the aspect of cultural marketing and to propose a strategic solution for urban regeneration utilizing the industrial facilities. (Method)In this research, theories regarding cultural marketing and urban regeneration are examined and analyzed with a focus on worn-out industrial facilities. Using the 5S of cultural marketing, the category is classified, and six keywords, including sustainability, promotability, approachability, cultural program, historicity, and conservation of original, are deducted. Focusing the criteria for the detailed case study on worn-out industrial facilities in the capital area after the year of 2010, spaces fused with cultural marketing (Kim Chung Up Museum, Gwangmyeong Cave, Daelim Warehouse, and the Seoul Street Arts Creation Center) are chosen and analyzed using previous studies and field research. (Results)As a result, keywords that have been elicited as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y design are consistently applicable to every case studied. From a social aspect, Aravena`s public housing is situated in the center of the city, providing easy access to economic activities and opportunities for underprivileged people seeking to overcome chronic poverty. From a cultural aspect, the project creates social interaction by encouraging the resi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a spatial aspect, by providing only the essential elements using limited subsidy, the project is designed to allow residents to extend and expand the building on their own initiatives, which allows a flexible spatial composition. (Conclusions)It is verified that urban regeneration revitalizes the local economy and creates a huge synergy effect through interaction in an array of cultural programs when various elements in economic, environmental, and symbolic aspects with 5S categorization from cultural marketing at industrial facilities are regenerated.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pose an effective strategic solution for future planning of urban regeneration. This is significant regarding expanding capabilities for future urban regeneration.

      • KCI등재

        메세나 도시재생의 공간 플랫폼화 특성 연구

        이다경 ( Dakeung Lee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국가와 사회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여 상생의 길을 요구한다. 이에 몇몇 기업들은 닫힌 공간 프레임에 사회적 문화예술 발전을 추구하며 낙후되거나 폐허가 된 지역 또는 공장 등을 아티스트와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재활성화시킴으로 지역사회에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 이러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상업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상생과 지역의 문화사회적 가치를 높여줄 뿐 만 아니라 지정된 공간만이 아닌 도시 전반에 영향력을 확산시키며 다양한 현상들을 동반하여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이로써, 메세나 도시재생은 지역상생과 역사적 문화보존, 그 관계에 깊게 자리한 시간이 담긴 공간의 가치는 무한한 플랫폼으로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메세나 방법 중, 도시재생 공간디자인에 대한 적용이 사회문화적 확장 플랫폼으로서 어떠한 특성들을 나타내며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메세나도시재생에서 나타나는 가치요소를 분석하고, 가치요소에 해당하는 도시재생 유형을 진정적 공간, 공공적 공간, 지속적 공간으로 나눈 후,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 플랫폼 특성을 도출하여 분석하고, 메세나 도시재생의 유형별 공간에 나타나는 공간 플랫폼화특성 및 가치를 대입하여 최근 4년 내의 국내 메세나 도시재생 사례들을 분석한다. (결과) 메세나 도시재생 유형 중 접근적, 경제적, 공생적 특성은 진정적 공간, 공유적 개방적, 상호보완적 특성은 공공적 공간 그리고 확장적, 활용적, 참여적 특성은 지속적 공간에 보여지고 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통해 공간 플랫폼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분석하여 능동성, 확장성, 참여성, 지속성, 개방성, 가변성, 공유성, 연계성, 복합성 등의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특성들을 연결 대입하여, 현대자동차그룹의 H-Village프로젝트, 신한카드의 을지로3가 프로젝트, Kiswire의 F1963, 언더독스와 SK E&S의 로컬라이즈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메세나 도시재생에서 공간 플랫폼화 특성은 지역경제와 문화예술을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지역 내의 기업 가치상승이라는 선순환 구조가 나타났다. (결론) 공간 플랫폼화의 확장성을 통해 메세나 도시재생 활동에서 나타나는 플랫폼화 특성에 관해 지역과의 연계를 통해서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향상하고, 지역 여건에 적합한 지원을 하며, 지역과의 친밀한 유대감을 조성하고, 지역 내에서의 기업 가치 상승이라는 선순환적인 구조를 만들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Demands from the state and society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re increasing. In response, some companies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y to the local community by pursuing the development of social culture and arts in revitalizing underdeveloped areas or factories with the cooperation of artists and local residents. These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not only enhance local co-prosperity, local cultural, and social values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commerce, but also spread its influence across cities, not just in designated spaces. The value of space, which is deeply rooted in regional co-prosperity, historical cultural preservation, and its relationship, implies possibilities as an infinite platfor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characteristics and value the application of urban regeneration space design as a platform for social and cultural expansion, among corporate messages and methods.(Method) This study analyzes the value factors that appear in the mecenat urban regeneration, divides the type of urban regeneration corresponding to the value element into genuine space, public space, and continuous space,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latformization and value that appear in the space by type of message or urban regeneration within the last (Results) The accessible, economic, and symbolic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message or urban regeneration are shown in the true space, the shared open and complementary characteristics in the public space and the extended, utilized and participatory characteristics in the continuous space. In addition, through prior research, characteristics appearing on space platforms were analyzed to derive characteristics such as activism, scalability, participation, persistence, openness, variability, sharing, connectivity and diversity. By linking these characteristics, Hyundai Motor Group's H-Village Project, Shinhan Card's Euljiro 3-ga Project, Kiswire's F1963, Underdogs and SK E&S's Localize Project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platformization in Mecenat urban regeneration not only boosts local economy and cultural arts, but also a virtuous circle structure of increasing corporate value in the region.(Conclusions) The scalability of spatial platforming can improve understanding of local communities, provide support suitable for local conditions, create close bonds with local areas, and create virtuous structures of increasing corporate value in the region through regional linkage with regard to the platforming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messaging or urban renewal activities. The scalability of spatial platforming can improve understanding of local communities, provide support suitable for local conditions, create close bonds with local areas, and create virtuous structures of increasing corporate value in the region through regional linkage with regard to the platforming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messaging or urban renewal activities.

      • KCI등재

        사회적 건축의 로컬리티 공간 현상 연구

        민경훈 ( Min Kyeonghoon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자본은 도시 공간을 결정하는 권력으로 작용하였고, 그 결과 공간을 사용하는 인간의 문화에 대한 고민이 누락 된 채 자본의 생산 수요를 위한 건축행위로 도시공간을 확장시켰다. 이러한 환경은 현대사회에 주거난, 유휴공간, 환경오염 등 사회적 갈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많은 장소에서 산업의 도구가 아닌 인간의 주체적 실천을 위한 공간으로, 자본이 우선이 아닌 교류와 소통 중심의 공간을 생산하기 위한 문화적 활동 지향의 건축적 방법이 실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공간이 근대사상의 고착화된 문제에 당면한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건축의 사회적 움직임을 고찰하고, 공동체의 문화적 회복을 위한 공간의 생태적 현상을 통해 사회적 건축 관점의 공간론을 이론화 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현대적 사상이 주장하는 공간의 사회적 관점의 의미를 재고하여 ‘사회성’에 대한 공간의 의미를 설정한다. 나아가 공간에 물리적 환경을 구축하는 건축의 실천을 분석하여, 사회적 건축의 역할과 유형에 대해 정리한다. 이미 실천된 사회적 건축의 연구를 위해, 장소와 사회적 이론을 통합하여 현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로컬리티 인문학의 선행연구 중심으로 공간적 관점을 도출한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공간론으로 사회적 건축의 유형에 대표적 도시 공간을 해석하여 건축과 사회와의 관계에서 생산되는 가치를 알아보고, 사회적 공간의 현상을 이론화 하겠다. (결과) 사회적 건축을 로컬리티적 관점에서 해석한 결과, 첫 번째, 공간은 자연스럽게 장소의 역사를 내포하는 공동체의 공공성을 나타낸다. 건축이 자리하는 장소의 역사나 문화를 투영하여 실천적 매개로 활용해 의식적인 사회성을 개선하는데 상징으로 작용한다. 두 번째, 근대 공간의 모순을 발견하고 이질적인 작용을 통해 현재의 장소성을 부정하여 패러다임을 변화하고 있다. 도시 전반적인 전복이 아닌 작은 건축적 변화를 통해 이전의 문화를 보존하고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는 포용의 자세로 소통의 장을 도모한다. 세 번째, 도시화의 자본의 권력에 대항하여 인간의 기본권에 대한 인도적 장을 마련한다. 기존의 로컬리티가 생산한 부정적 방향성에 대한 완화이며 공동의 사회 정체성 회복을 목적한다. (결론) 결론적으로 사회적 건축은 장소가 보유한 역사를 개선하는 방법에 선택적 공간의 방법론으로 활용된다. 이것은 이전의 로컬리티와의 단절이 아닌 연결을 통해 지속을 통한 새로운 로컬의 문화를 생산하는 것이다. 즉, 건축이 자리하는 장소와 주체에 대한 로컬리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 선택적 방법이 실행된다면 현대사회가 당면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작은 변화로 긍정적이고 지속가능한 공간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Capital has served as a power to determine urban space; consequently, it has expanded urban space into architectural acts for the production demand of capital, omitting the concern about human culture using space. This environment produces social conflicts in modern society. In many places, it is not a tool of industry, but only a space for human self-practice; the architectural method of cultural activity orientation is practiced to produce spaces centered 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rather than capital.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ocial movement of architecture to solve the fixed problems of modern history as well as to develop a spatial theory of the social architectural perspective through the ecological phenomenon of space for the cultural recovery of the community. (Method) To set the meaning of space for “sociality” by reconsidering modern ideas. Furthermore, the practice of building a physical spatial environment is analyzed, and the roles and types of social architecture are summarized. To study the already practiced social architecture, a spatial perspective is derived from the prior study of localistic humanities, which looks at the present social phenomenon by integrating the place and social theory. With the finally derived spatial theory, we will interpret urban spaces representative of the types of social architecture to find out the value produc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society as well as theorize the phenomenon of social space. (Results) As a result of interpreting social architecture from a localistic perspective, first, space naturally represents the public nature of the community that embodies the history of places. It reflects the history or culture of the place where the architecture is located and uses it as a practical medium to improve conscious sociality. Second, it is changing the paradigm by discovering the contradictions of modern space and denying the present placeability through heterogeneous actions. Through small architectural changes, instead of urban overall subversion, it seeks a place of communication with an attitude of engagement that preserves the traditional culture and embraces the new culture. Third, it prepares a humanitarian chapter on human basic rights against the power of capitalism in urbanization. It eases the negative direction produced by existing localities and aims to restore common social identity. (Conclusions) In conclusion, social architecture is used as a methodology of selective spaces to improve the history held by certain places. In other words, with an initial understanding of the locality of the place and subject where the architecture is located as well as implementing the selective method, a small change in solving the social problems facing modern society could create a positive and sustainable space.

      • KCI등재

        문화공간에 나타난 재생디자인 공간적 특성 연구 -서울시 박물관·미술관을 중심으로-

        박세희 ( Park¸ Sehee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는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을 목표로 시민의 행복한 삶과 삶을 위한 문화발전이라는 방향성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은 크게 개인, 공동체, 지역, 도시라는 범주로 나누어, 문화 주권, 문화 공생, 문화재생, 문화 창조를 목표로 한다. 특히 여러 정책의 추진과제 중 문화사업은 문화재생의 범위 안에 속해 문화를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재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문화예술 사업으로 진행했다. 이 중 ‘박물관·미술관 도시, 서울’은 서울시 곳곳에 방치된 유휴공간을 재생하여 문화공간으로 활용한다. 본 연구는 해당 문화공간을 파악하여, 각각의 사례들이 재생디자인의 범주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보존되며, 특성은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선 문화예술 및 관련 유사 공간의 공간재생 및 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서울특별시에서 ’17년~’23년까지 진행하는 ‘박물관·미술관 도시, 서울’ 프로젝트의 14개 문화시설 개관 사업 중 재생디자인에 해당하는 문화공간을 사례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서울시가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사업은 연구자 본인이 직접 방문 또는 사업부서 문의를 통해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서울시 도시재생사업 중 문화공간 개관 사업의 특성을 분석하여 서울시 문화공간에 나타난 재생사업 체계적 유형을 도시 생활·문화 재생형, 콘텐츠 개발 및 특화형, 역사 보존형, 문화·예술 영유형 이렇게 네 가지로 분류하여 각 사례에 나타난 재생디자인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재생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면, 모두 유휴지에 새로운 용도를 부여하는 부활형 공간 활용을 하고 있으며, 되도록 원형보존을 목표로 하나, 안전도나 사업의 특성에 따라 구조적으로 원형보존 및 부분 개조하였다. 사업 규모에 따라 신관을 증축하여 신구건물을 연결한 사례도 있었으나, 대부분 건축물은 증축하지 않았다. 재생디자인의 특성은 보존성, 활용성이 기본으로 나타나되, 앞으로의 공간 활용성이나, 사업특징에 따라 역사성, 예술성, 사회·문화성, 장소성, 참여성, 연계성, 경관성 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론) 이미 개관한 건축물뿐만 아니라, 앞으로 개관을 앞둔 건물 역시 서울시가 추구하는 도시재생의 목표에 따라 진행하되, 공간과 콘텐츠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향성을 추구하여 지속 가능한 문화 재생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promoting a cultural development project for citizens’ lives and happiness levels under the "Vision 2030, Cultural Citizen City Seoul." This project is largely divided into categories of individuals, communities, regions, and cities, and aims to achieve cultural sovereignty, cultural symbiosis,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creation. In particular, this cultural and artistic project focused on regenerating culture, rather than creating a new culture within the context of the city’s cultural heritage. Among the project’s initiatives, "Museum, Art Museum City, Seoul" aimed to regenerate abandoned places across Seoul by transforming them into cultural spaces. This study identifies such cultural spaces and examines how each case is preserved under the banner of regenerative design. (Method) To this end, a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on the regeneration and design of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with a focus on the 14 cultural facility openings that happened in Seoul. The project was condu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involved the researcher of this paper through inquiries from the relevant department.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ystematic types of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cultural space of Seoul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urban life and culture regeneration; content development and specialization; historical preservation; and culture and art. Following thi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production design were analyzed for each case. All of them utilized resurrection-type spaces that gave new use to abandoned areas, while still preserving their original form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y were structurally preserved and partially modified according to the safety level 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In some cases, new and old buildings were connected by expanding new building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ject. However, most of the buildings were not expanded. The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ve design are based on conservation and usability, but historical, artistic, social and cultural, place, participation, connection, and landscape appear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future space utilization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Conclusions)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of urban regeneration pursu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is research considered not only buildings that have already been opened, but also buildings that are about to be opened. In addition, this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as a sustainable cultural reproduction space by harmonizing both the space itself and its content.

      • KCI등재

        박물관 건립에 나타난 문화정책 프로세스 특성 연구 -서울시 박물관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박세희 ( Park Sehee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기술의 발달 및 최근 코로나 19(COVID-19)로 빚어진 팬데믹으로 물리적 공간을 중심으로 하던 기존 박물관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역할과 기능을 개선할 시대에 직면했다. 최근 몇 년간 개관한 박물관들은 개관 이후 지속적인 운영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따라서 문화정책 및 박물관 정책의 방향성이 달라지는 추세이며, 이러한 정책 변화가 박물관 건립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정책과 국내 박물관 정책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서울시 박물관 건립정책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며, 박물관 문화정책 프로세스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가 최근 '16년부터 개관을 목표로 했던 14개의 기관 중 개관을 완료한 박물관인 우리소리박물관, 서울생활사 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우선,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문화정책의 개념 및 박물관 건립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서울시 내부 문서 및 연구 및 발표 자료 등을 토대로 서울시 문화정책에 따른 박물관 건립에 나타난 정책 프로세스의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본 연구는 서울시 문화정책과 박물관 정책의 정책 범주 및 체계를 분석하여 서울시의 최근 박물관 건립 사례를 토대로 박물관 건립에 나타난 문화정책 프로세스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역’과 ‘도시’,‘공동체’, ‘개인’의 범주가 지역의 특성이나 박물관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높거나 중간의 비율로 나타났고, 행정 범주는 모두 낮게 나타났다. 미래상인 ‘문화재생’, ‘문화창조’, ‘문화주권’, ‘문화공생’이 모든 사례에서 나타났으며, 박물관 건립과정을 단계별 세부 추진 업무나 사업 규모에 따라 확대·축소되나, 분석 결과 크게 기획단계, 구성 및 설계단계, 시공단계, 개관 및 평가단계라는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결론) 모든 단계를 거쳐 박물관이 개관하게 되면 다 끝난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이다. 문화정책과 박물관 정책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이를 직·간접적으로 적용·반영하며 상호작용하는 박물관 건립정책을 미루어 보면, 그 미래는 긍정적이다. 국공립 기관들이 내세우는 정책이 탁상공론에 그치지 않고 시민들 개개인을 우선시하고, 공동체성을 가지며, 지역과 도시를 고려할 뿐 아니라, 구시대적 행정절차를 고수하는 것이 아닌, 협치를 추구한다면, 앞으로 더욱 시대성에 맞는 보편타당한 박물관 문화정책이 완성될 것이다. 더불어 콘텐츠 성격이나 지역성 등 도시적 맥락에 맞는 다양한 박물관이 자리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ecent COVID-19 pandemic, existing museums, which focused on the physical space, are improving roles and functions, in line with the changes. The museums that have been opened in recent years have often aimed at continuous operation. Therefore, the direction of cultural policy and museum policy is changing, which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useum construction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he condition of museum construction policies in Seoul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cultural policy and domestic museum policy, an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cultural policy proces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Seoul Museum of Korean Folk Music, the Seoul Urban Life Museum, and the Seoul Museum of Craft Art, which were recently opened, as part of the 14 institutions that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d aimed to open since 2016. First, research on the concept of cultural policy and the construction of a museum is conduct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process that appear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museum accord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cultural policy by referring to internal documents, research, and presentation materials.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categories and the systems of Seoul's cultural policy and the museum policy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policy process that appear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museum based on the recent case of museum construction in Seoul. The categories of region, city, community, and individual were high or medium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or museum content, and all administrative categories were low. Four visions: "Culture Regeneration," "Culture Creation," "Cultural Sovereignty," and "Cultural Symbiosis" were apparent in all cases, and the museum construction process has expanded and reduced according to detailed projects or project size, although the analysis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four stages. (Conclusions) If the policies put forth by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not only inform, but also prioritize individual citizens, take care of regions and cities, pursue cooperation without being bound by outdated administrative procedures, the museum's cultural policy is expected to be completed in the future. In addition, various museums suitable for the urban context such a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locality are expected to be located.

      • KCI등재

        부산 영화의 전당에 나타난 쿱 힘멜블라우 건축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규혜(제1저자) ( Gyuhye Choi ),윤재은(교신저자)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6

        (연구배경 및 목적)해체주의 건축가 쿱 힘멜블라우는 60년대 말 아키그램의 영향과 초현실주의적 경향으로 다른 해체주의 건축가들과 차별화된 그들만의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쿱 힘멜블라우가 설계한 부산 영화의 전당은 해체주의 공간 미학에 기초한 조형미가 우수한 건축물로 평가 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해체주의 건축가 쿱 힘멜블라우의 공간 철학에 대한 관점을 연구 배경으로 하여 부산 영화의 전당에 나타난 공간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첫째, 쿱 힘멜블라우의 해체주의 건축 철학에 대한 이론적 접근으로부터 시작한다. 쿱 힘멜블라우의 공간적 특성은 그들 특유의 해체주의 건축 이념에 의해 표현되어 왔다. 그러므로 부산 영화의 전당에 나타난 공간적 특성 역시 우선적으로 쿱 힘멜블라우의 건축 이념에 대한 이론적 접근으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부산 영화의 전당에 대한 실제적 현장 분석 방법이다. 본 연구자는 이를 위해 부산 영화의 전당에 나타난 쿱 힘멜블라우의 건축 이념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공간과 표현 기법에 대하여 현장 답사를 기초 자료로 작성하여 본 논문에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본 논문에서 분석해본 결과 부산 영화의 전당에 나타난 쿱 힘멜블라우의 건축적 특성은 크게 5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 공간의 비정형성이다. 부산 영화의 전당은 기울어짐, 비틀림, 꿰뚫음, 갈라진 틈, 기하학적 충돌에 의해 비정형적인 공간을 구성한다. 비정형적 공간은 불안정감과 불균형을 통해 시각적 운동감과 긴장감을 유발하여 열린 공간을 표현한다. 두 번째, 공간의 비영역성이다. 부산 영화의 전당은 공간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중첩되며 그 개념이 모호해진다. 모호해진 공간은 비영역성을 가지며 개방적이고 열린 공간이 된다. 세 번째, 공간의 투명성이다. 부산 영화의 전당은 유리와 선(line)적인 재료를 사용함으로서 투명한 건축으로 생성되었다. 투명한 건축은 내·외부 공간에 상호 관입을 가능케 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공간이 확장되며 열린 공간을 추구하게 된다. 네 번째, 유기적인 건축이다. 빅루프와 스몰루프, 공중의 브리지는 반중력성과 역동성을 보여주며 환상적이고 공상적인 건축을 가능케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반응하는 건축이다. 부산 영화의 전당은 새로운 형태와 공간을 창조함으로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공간이 변하고 움직이는 사용자 중심의 미학적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분석결과로 본 논문에서는 부산 영화의 전당이 쿱 힘멜블라우의 건축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열린 공간의 성격이 잘 나타나있는 건축이라고 분석하였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부산 영화의 전당이 단순히 부산국제영화제 전용관으로서가 아니라 부산의 제2의 도약이자 지역기반산업인 관광산업의 활성화라는 정치적, 경제적 목적을 가지고 시작한 부산국제영화제의 효율적인 운영과 부산의 영상문화도시 이미지창출 및 정체성 획득을 위한 기념비적인 건축물이라는 건립 배경을 바탕으로 쿱 힘멜블라우의 건축철학이 담긴, 열린 공간의 미학이 잘 표현된 건축물로서 이해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The Busan Cinema Center, designed by Coop Himmelb(l)au, is considered a landmark building from the perspective of deconstructive spatial aesthetics.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Cinema Center with Coop Himmelb(l)au`s spatial philosophy as the research background. (Research methods) This paper starts with a theoretical approach to Coop Himmelb(l)au`s philosophy of deconstruction architecture. The spatial domain has been described in Coop Himmelb(l)au`s unique philosophy of deconstruction architecture. Hence, firs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Cinema Center are analyzed with a theoretical approach to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of Coop Himme(l)blau. This is followed by a real-scene analysis of the Busan Cinema Center. To this end, this paper uses a field survey to analyze the spatial and expression techniques shown in the Busan Cinema Center representing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of Coop Himmelb(l)au.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fiv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Cinema Center. First, the structure of the space is irregular. The Busan Cinema Center comprises an irregular space characterized by sloppiness, penetration, cleft, and geometrical conflict. Irregular space refers to an open space causing a visual sense of motion and a feeling of tension. Second, the space is non-territorial. The Busan Cinema Center uses spatial elements, which are overlapping and ambiguous, in a complex manner. The blurred space is converted into a non-territorial, open space. Third, the space is transparent. The Busan Cinema Center was formed as a transparent piece of architecture from glass and linear materials. Transparent architecture creates an open space by enabling the mutual interse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Fourth, the architecture is organic. Big Roof and Small Roof, and Bridge in Air illustrate gravity-defying designs, dynamism, and fantastic, imaginary architecture. Lastly, the architecture changes per the users` needs. The Busan Cinema Center demonstrates new forms and spaces which have user-oriented aesthetic characteristics such that the spaces change and mov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rchitecture of the Busan Cinema Center is characterized by an open space that is valued most highly in Coop Himmelb(l)au`s philosophy.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people understand that the Busan Cinema Center is not only a theater dedicated to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IFF), but is also a monumental building that was constructed to promote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BIFF. This festival began with the political and economic purposes of initiating the second take-off of Busan and launching the tourism industry, which is its foundation industry, as well as to create an identity of Busan as a city of visual culture. This background knowledge helps us understand that the Busan Cinema Center is an architectural work embodying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of Coop Himmelb(l)au and the aesthetics of open space.

      • KCI등재

        아비투스(Habitus) 관점으로 본 치매 마을의 공간 특성 연구

        이현정 ( Lee Hyunjung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인구의 고령화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와 더불어 치매 유병률의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왔다. 급격하게 증가한 대다수의 치매 환자들은 기존의 거주공간에서 치매 시설로 입주한다. 갑작스러운 환경의 변화로 환자들은 사회적 고립과 관계 단절로 인한 일상의 파괴를 경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무력감, 우울증, 무반응, 기피증, 난폭한 행동, 치료 거부, 삶에 대한 의욕 상실 등의 증세로 나타나고 있다. 치매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사회 관계·인간 행위· 공간 속의 아비투스 형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치매마을의 치매 친화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아비투스적 공간 특성과 세부 요소들을 기준으로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치매 시설 중 해외에 조성되어있는 치매 마을 4개소를 선정한다. 선행 연구와 문헌을 기초로 아비투스와 치매 마을의 개념을 고찰한다. 치매 마을의 전략적 요소를 추출하고 아비투스 개념의 심리적 공간 요소와의 관계성을 통해서 치매 마을의 공간 특성과 세부 요소들을 도출한다. 도출된 요소들을 바탕으로 치매 마을을 분석한다. (결과) 치매 마을에 나타나는 아비투스의 공간 특성으로 ‘장소성’, ‘사회성’, ‘문화성’ 3가지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소성의 세부 요소로는 애착 환경성, 일상성, 상징성이다. 치매 마을 4개소에서 높은 강도로 균일하게 나타나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성의 세부 요소는 상호작용성, 커뮤니티성, 지역 상생성이다. 셋째, 문화성의 세부 요소는 체험성, 개방성, 접근성이다. 문화성은 3가지 특성 중에서는 가장 낮은 빈도수를 보인다. 치매 마을 4개소에서 나타나는 세부 요소 중 애착 환경성, 일상성, 상호작용성, 커뮤니티성은 동일한 강도로 모두 높게 나타난다. 세부 요소 중에서 접근성은 매우 미비하게 나타나며 지역 상생성과 체험성 또한 낮은 빈도로 나타난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아비투스의 공간 특성은 치매 마을의 중요한 핵심 개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간에게 있어 주거공간은 단순한 장소의 개념이 아니라 무의식 속에서 체화된 의사결정의 방식이자 상호작용에 기반한 구조화된 사회관계이다. 주거 이동으로 관계 단절을 느끼는 치매 환자들에게 아비투스의 특성을 통해서 사회적 고립감을 막고 심리적 치유환경을 조성하는 치매 마을을 만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aging population, along with various social problems, has led to an explosive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dementia. The vast majority of dementia patients who have increased rapidly move into dementia facilities in their existing living spaces. The sudden change in the environment causes patients to experience daily destruction caused by social isolation and disconnection of relationships. This has resulted in feelings of helplessness, depression, inaction, avoidance, violent behavior, rejection of treatment, and loss of motivation for life.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at appear in dementia patie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ocial relations, human activities, and the formation of Habitus in space. This study aims to produce analysis results based on Habitus spatial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factors to build a dementia-friendly environment in dementia villages. (Method) Four dementia villages established overseas shall be selected from among dementia facilitie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the concept of Habitus and dementia villages is considered. It extracts the strategic elements of the dementia village and deriv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elements of the dementia village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the psychological spatial elements of the concept of Habitus. Analyze dementia villages based on derived factors. (Results) The thre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abitus in the village of dementia are derived: 'placeability', 'sociality' and 'culturality'. First, the detailed elements of placeability are attachment environment, daily life, and symbolism. It was shown that four dementia villages were uniformly characterized by high intensity. Second, the detailed elements of sociality are interaction, community, and regional co-prosperity. Third, the detailed elements of culturality are experience, openness, and accessibility. Culturality has the lowest frequency among the three characteristics. Among the detailed elements of the four dementia villages, attachment environment, daily life, interaction,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are all high at the same intensity. Among the detailed elements, accessibility is very poor, and local co-prosperity and experience are also low frequencie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abitus are an important core concept of dementia villages. For humans, residential space is not just a concept of a place, but a structured social relationship based on interaction and a method of decision-making embodied in unconsciousness.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to create a dementia village that prevents social isolation and creates a psychological healing environmen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Habitus for dementia patients who feel disconnected due to residential movements.

      • KCI등재

        국립민속어린이박물관 공간경험의 자연체험적 특성 연구

        백정은 ( Jungeun Baek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자연은 어린이에게 생명의 소중함을 배우고 따뜻한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최고의 놀이공간이자 교육공간이지만,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자연과 멀리 떨어진 도시공간에서 생활하는 어린이들은 자연을 쉽게 접할 기회가 점점 더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숲 유치원 등 어린이를 위한 공간에서 자연친화적인 교육과 생태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어린이박물관에서도 어린이에게 친근한 자연체험 요소를 공간에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어린이박물관에 나타나는 자연체험적 표현을 바탕으로 한 어린이의 공간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 국립어린이박물관 중 자연친화적 전시 주제를 담고 있는 국립민속어린이박물관 선정하여 국립어린이민속박물관의 민속 개념, 자연체험의 개념과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자연체험 요소를 고찰하고, 공간 개념의 변화에 따른 경 험 이론의 등장과 어린이의 공간 인지과정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어린이와 공간경험 관계성에 근거한 어린이박물관의 자연체험의 구조적 특성과 표현적 특성의 사례연구를 통해 어린이박물관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자연체험적 공간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공간개념의 변화에 따라 어린이와 공간의 상호작용 중심의 전시환경 구성은 어린이에게 새로운 공간경험을 위한 개념이며, 어린이 인지적 발달과 사회적 관계 확장에 필요한 근거이자 특성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어린이박물관에서 공간경험 특성이 나타난다는 것은 어린이박물관이 단순한 신체적 체험 이상의 정신적이고 감성적인 경험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또한 자연에서 경험할 수 있는 체험요소를 통해 보다 풍부한 감성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볼 때 어린이박물관은 자연체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간경험 이론적 특성 적용을 통해 전시환경을 구성해야하며,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어린이에게 긍정적이고 새로운 공간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다. 공간경험 개념이 적용된 어린이박물관 전시환경 구성을 통해 질적으로 훌륭한 신체적이고 감성적인 경험 일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전시공간의 형성은 어린이의 잠재력과 창의력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is no doubt that nature is the best playground and educational space in which to offer children opportunities to learn the value of life and to improve their sensitivity. However, because of the rapid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children who live in urban areas far from nature lose these opportunities. This problem must be solved, and as the importance of nature-friendly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in children``s spaces (such as forest kindergartens) increases, children``s museums are growing more willing to apply experiential natural elements in their spaces that are welcoming to children. (Method) Of other children``s national folk museum in Korea, after this children``s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at was holding a nature-friendly exhibition was selected. First, the study examined folk concepts addressed by the Children``s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concepts concerning nature experiences, and the various nature experiential elements required for various stages of children``s development. Second, the study focused on changes in spatial concepts and discussed the introduction of experiential theo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y and process of children``s spatial recognition. Through case research on the structural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e experiences in the Children``s Museum, which concent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ir spatial experience, this stud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and spatial experiences observed in the exhibit areas of the Children``s Museum. (Results) Based on changes in spatial concepts, the set-up of an exhibition area based on the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their space was considered a concept for a new spatial experience targeting children. The study confirmed that such a set-up can be regarded both as a basis for and a necessary characteristic of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social relationships. (Conclus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experience observed in the children``s museum shows that children``s museums can offer mental and sensory experiences that go beyond simple physical experience. In addition, the study noted that children``s museums can offer children an even richer sensory experience through inclusion of experiential elements like those that would be experienced in nat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at children``s museums design exhibit environments by applying theoretical spatial experience characteristics to their understanding of nature experiences, and that sociocultural factors be carefully examined in order to nurture children``s indefinite potential with positive and novel spatial experiences. The study concludes that a children``s museum set-up that applies spatial experience concepts will offer children a chance to enjoy qualitatively superior physical and sensory experiences. The study expects that an exhibition space set up in such a way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velopment of children``s potential and creativity.

      • KCI등재

        해체주의 건축의 상대적 시·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본 자하 하디드 작품의 차연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정은희 ( Eunhee Jung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2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건축의 대표적인 해체주의 건축가인 자하 하디드의 건축 디자인이 세계 각 도시의 대표적인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공공 건축의 경우 해당 지역의 문화적 이질감과 고액의 세금 부담, 지속적인 유지 보수비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건축 프로젝트는 사망 이후에도 여전히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하 하디드 건축 디자인의 양분화 된 일반적인 평가를 넘어 자하 하디드 건축 작품의 바탕이 되고 있는 해체주의 철학의 관점에서 그녀의 건축이 내포하고 있는 철학적 의미와 그 표현 특성들을 분석하여 평가해 보고자한다. 특히 그녀의 건축적 특징 중 건축의 내·외부 공간에서 다양한 형태로 시·공간적 소통을 시도하는 측면을 연구의 대상으로 상정하고, 그녀가 사망하기 직전 작품을 중심으로 상대적 시·공간개념의 차연적 표현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자하 하디드 건축에 나타난 상대적 시·공간 개념의 차연적 표현특성분석을 위해 기존 선행 연구들을 조사, 분석하여 대표적인 표현 특성과 분석 방법을 명확히 추출하고, 그 것을 기반으로 2010년부터 2016년 사망 이전까지 그녀가 설계하여 완공한 건축 프로젝트 중 용도와 기능이 중복되지 않는 최근 건축물을 선정하여 분석한 후 사례 분석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정리한다. (결과)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된 상대적 시·공간 개념의 차연적 표현특성은 불확정 개념(개방성, 비대칭성, 비정형성), 다시점 개념(동시성, 중첩), 동적시각 개념(역동성, 반중력성, 투명성)으로 나타난다. 이를 바탕으로 자하 하디드의 작품을 분석한 결과 불확정 개념에서는 비대칭성, 다시점 개념에서는 중첩, 동적시각 개념에서는 역동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고, 사례 전체에서 가장 강하게 표현되는 특성은 중첩으로 나타나고, 가장 약하게 나타난 표현 특성은 투명성으로 나타난다. 또한, 선정된 사례 중 공공 건축의 경우가 상대적 시·공간 개념의 차연적 표현 특성이 다양하고 강하게 나타나고, 주거나 오피스 건축의 경우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난다. (결론) 그녀는 기존 건축에서 선호한 유클리드 기하학을 탈피하고 다양한 상대적 시·공간 개념의 차연적 표현을 시도하여 건물 내·외부 공간에 역동성을 부여하고 그로 인한 상호충돌과 교차의 운동성을 통해 해체주의 철학을 자신의 작품에서 끊임없이 표현하고 있다. 또한 그녀의 건축물은 공간에 머무는 사람들의 시간이 차연되고 상호결합하면서 다면적이고 중층적인 새로운 공간의 의미를 경험하게 한다. 본 논문은 선행 연구를 분석 종합하여 해체주의 건축가인 자하 하디드의 최근 작품에 나타난 상대적 시·공간 개념의 차연적 표현 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다양한 욕구와 상대적 가치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 되는 현대사회에서 차연적 표현이 강조된 자하 하디드의 해체주의 건축철학은 앞으로 진행 될 수많은 건축사례에서 여전히 깊이 고민되어야 할 부분이라 생각된다. 앞으로 그녀의 작품세계에 관해 상대적 시·공간 개념 외에 다양한 측면의 차연적 표현 특성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자하 하디드의 작품 세계를 넘어 해체주의 건축을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rchitectural design of Zaha Hadid, a representing deconstructivist architect in modern architecture has been applied to representative buildings in each city of the world. Especially, despite sense of cultural difference of the region, burden for high taxes and continuous maintenance cost are expected for public buildings, her architectural project has still been pushed forward vigorously even after her death. Thus, the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philosophical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volved in her architecture in terms of constructivist philosophy that has served as the foundation of Zaha Hadid`s architectural works exceeding general evaluations on Zaha Hadid`s architectural design that are divided into two. Of he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study especially selected an aspect of attempting spatial & temporal communication in various forms in both interior·exterior space of architecture, and aims to investigate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concept focusing on the works immediately before her death. (Methodology) To analyze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concept shown in Zaha Hadid`s architecture, the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previous studies to collec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tical methods clearly, and analyzed her recent architectural examples that use and function are not overlapped out of architectural projects she designed and completed from 2010 to before her death in 2016, and then concluded by integrating such case analyses. (Result)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relative space-time concept produced through the previous studies are shown as uncertain concept (openness, asymmetry, irregularity), multiview concept(simultaneity, reiteration) and dynamic visual concept(dynamic, antigravity, transparency). As a result of analyzing Zaha Hadid`s works based on the foregoing, asymmetry is most strongly shown in the uncertain concept, reiteration in multiview concept and dynamic in dynamic visual concept respectively, and characteristic which is most strongly shown in the overall cases is reiteration, whereas transparancy was shown the most weakly. While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relative space-time concept is shown the most variously and strongly in public buildings out of selected cases, it was shown relatively weakly in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Conclusion) She had put dynamics to interior and exterior space in the buildings using various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relative space-time concept beyond Euclidean geometry preferred in the existing architecture - and had continually expressed differance characteristic of space-time concept using mobility of clashes and crosses. Along the way, her architectural work makes people`s time during their stay in the space differance and cross-linked, and makes them experience new space with many sides and layers. This study, by analyzing and integrating the previous studies, examined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space as shown in recent work of deconstructivist architect Zaha Hadid. The study believes tha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various needs and relative values is emphasized more than ever, Zaha Hadid`s architectural philosophy highlighting differance expression must be a factor that should still be considered deeply in plenty of architectural work to be carried on in the future. The researchers hope further research be conducted in regard to other various differanc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her work besides relative space-time concept, and we dare expect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help people understand deconstructivist architecture besides the work world of Zaha Had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