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인 남성에서 5년간의 골밀도 변화 관찰

        김순근(Sungeun Kim),권대철(Dae Cheol Kweon) 한국방사선학회 201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5 No.4

        성인 남성들이 2002년부터 2006년 까지 건강검진을 받기위해 대학병원을 내원한 성인 남성 80명을 개인별 골밀도를 5년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성인 남성 80명의 평균연령은 43.15 ± 4.82세였다. 대퇴경부의 골밀도는 1차 측정에서 -0.61에 비하여 4차 및 5차 측정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척추 골밀도는 1차 측정 -0.67에서 2차 측정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지만 3∼5차 측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활습관에 따른 음주, 흡연, 운동, 식습관에 따른 군 간의 대퇴경부 및 척추 골밀도 변화 값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1차 측정에서의 대퇴경부 골밀도를 기준으로 골밀도 상(0 ≦ BMD ), 중(-1.0 ≦ BMD <0), 하(BMD < -1.0) 집단에서 1차 측정과 5차 측정 골밀도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상 집단에서 대퇴경부 골밀도가 1차 0.67 ± 0.76에서 0.42 ± 0.9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다른 집단에서는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들의 나이에 관계없이 젊어서부터 골밀도가 낮은 사람들은 대퇴경부 및 척추의 골밀도가 낮아 있었으며, 골밀도가 높은 사람들은 1차 측정 때부터 5차 측정 때까지 높았다. 대퇴경의 골밀도는 1차 측정에 비해 5차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어 척추보다는 대퇴경부의 골밀도에 주의하도록 한다. To investigate the decrease of BMD by age and the risk factor of osteoporosis in Korean men. We describe the study of a five-year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ith male patients. Eighty Korean men who visited hospital for health screening were assessed for this study from 2002 to 2006. We evaluated the BMD of the femoral neck and L-spine, and the preferences and habits in the life. The data were collected for 5 years, and we analysed the five-years change of BMD and the relations between BMD and other factors.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 by 1st assessment of femoral neck BMD, and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age of subjects was 43.15 ± 4.82 and BMD of femoral neck was -0.61 ± 0.97 and BMD of L-spine was -0.67 ±1.10 in the first year assessment. The femoral neck BMD of 4th and 5th assessm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1st assessment. The L-spine BMD of 2nd assessm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1st assess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s of BMD and preferences or habits-drinking, smoking, eating habit, exercise. The femoral neck BMD of 5th assessm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1st assessment in the high femoral neck BMD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of femoral BMD and L-spine BMD in other groups. Low BMD group in the 1st assessment showed lowest BMD in the 5th assessment and high BMD group in the 1st assessment showed highest BMD in the 5th assessment. We can guess that the young men who has low BMD could have high risk of osteoporosis when he became older. And the femoral BMD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anticipating the changes of BMD in middle aged men.

      • KCI등재후보

        핵의학 일반 영상 검사 업무 오류 개선 활동에 따른 환자 만족도

        김호성(Hosung Kim),임인철(Inchul Im),박철우(Cheolwoo Park),임종덕(Jongduek Lim),김순근(Sungeun Kim),이재승(Jaeseung Lee) 한국방사선학회 201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5 No.5

        핵의학과에서 시행되는 일반 영상 검사는 수검자의 검사 접수로부터 의사의 판독까지의 과정 동안 오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오류는 최종단계인 의사 판독 시에 확인되어 재검사나 추가촬영, 결과의 재분석, 그리고 PACS 영상의 수정등의 내용을 영상실 검사 담당자에게 지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결과는 검사에서부터 판독까지의 시간 지연을 초래하고 또한 추가검사가 발생될 경우 환자 만족도와 병원의 신뢰도가 하락하게 된다. 따라서 영상 검사의 접수부터 결과 확정까지 발생되는 오류를 개선하여 수검자들의 불만 감소에 따른 환자 만족도 증가와 근무자들의 업무 효율 증가를 목적으로 한다. 2008년 3월부터 12월까지 9개월간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일반 영상 검사를 하는 수검자의 검사 오류를 분석하여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12개월간 1차 개선 활동으로 검사 절차서의 재 확립 및 검사 업무기술서 작성, 2010년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간 2차 개선 활동으로 Pre-filtering & Post-Filtering, 2010년 7월부터 10월까지 3개월간 3차 개선 활동 Cross-Check와 스티커 제작 및 부착 실시 이후 검사 오류 건수를 수집하여 비교하였다. 연도별 오류 건 수는 92건에서 1차, 2차 개선 후 32건, 3차 개선 후 46건으로 나타났고, 검사자에 의한 오류는 전체 오류원인의 94.6%이던 것이 74.3%로 감소되었다. 핵의학 일반 영상 검사는 다양한 검사의 종류와 서로 다른 전처치 및 결과산출, 영상의 구성, PACS 전송 영상의 차이로 인하여 검사자의 실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한 개선 활동이 지속되어야 하며 각 영상실 담당자들의 지속적인 Cross-Check와 판독실의 Confirm 과정을 통하여 개인별 편차를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To n the field of nuclear medicine, with regard to checking regular patients, from the moment they register up to the doctor’s diagnosis,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hecks can find errors in the diagnosis, reexamine, reanalyze the results or save images to PACS. Through this proces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readings are delayed due to checks and additional tests which occur in hospitals, causing patient satisfaction and affected reliability. Accordingly, the purpose is to include visual inspection of the results to minimize error, improve efficiency and increase patient satisfaction. Nuclear medicine and imaging tests from examines at Asan Medical Center, Seoul, from March 2008 to December 2008, were analyzed for errors. The first stage,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09, established procedures and know-how. The second stage from January 2010 until June 2010 conducted Pre-and Post-filtering assessment, and the third stage from July 2010 until October 2010 consisted of cross-checks and attaching stickers and comparing error cases. Of 92 errors, the 1st, 2nd and 3rd stage had 32 cases, and there were 46 cases after the 4th stage, with the overall errors reduced by 74.3% from 94.6%. In the field of general nuclear medicine, where various kinds of check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atient’s needs, analysis, image composition, differing images in PACS, etc, all have the potential for mistakes to be made. In order to decrease error rates, the image can continuously Cross-Check and Confirm diagnosis.

      • KCI등재후보

        중년여성 골다공증과 체질량지수와의 관계 분석

        임종덕(Jongduek Lim),정재은(Jaeeun Jung),박철우(Cheolwoo Park),동경래(Kyungrae Dong),김호성(Hosung Kim),김순근(Sungeun Kim) 한국방사선학회 201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5 No.6

        일반적으로 중년여성의 골다공증은 저체중에서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비만인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골밀도 검사에서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중년여성 120명을 대상으로 골다공증과 체질량 지수의 상관관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체질량지수가 18.5 미만을 저체중, 18.5 ~ 22.9를 정상, 23.0 ~ 24.9를 과체중, 25.0 ~ 29.9를 비만, 30.0 이상인 경우를 고도비만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체질량지수 분포는 저체중이 2명(1.7%), 정상이 18명(15.0%), 과체중이 19명(15.8%), 비만이 75명(62.5%), 고도비만이 6명(5.0%) 이었다. 또한 체질량지수와 골다공증의 상관관계는 체질량지수가 정상인 경우 18명 중 13명(72.2%)이 골다공증 이었으며 과체중의 경우 19명 중 14명(73.7%), 비만의 경우 75명 중 63명(84%), 고도비만의 경우 6명 중 5명(83.3%)로 나타나 체질량지수가 비만인 경우에서 골다공증 발생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중년여성의 골다공증은 체질량지수가 비만일수록 골다공증 환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대부분 골감소증보다는 골다공증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Generally, the osteoporosis of a middle-aged women have been reported that was a high risk in underweight, but the obese women have feasible osteoporosis. Therefor, the subjects were 120 middle-aged women that were diagnosed with osteoporosis in the bone mineral densitometer (BMD),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body mass index (BMI) of the middle-aged women. We were determined BMI which was less than 18.5 underweight, 18.5 to 22.9 normal, 23.0 to 24.9 overweight, 25.0 to 29.9 obesity and extremely obesity were more than 30. When we examined the BMI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it was 2 women (1.7%) for underweight, 18 women (15.0%) for normal, 19 women (15.8%) for overweight, 75 women (62.5%) for obesity and 6 women (5.0%) for extremely obesity.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BMI of the subjects, it was the osteoporosis in 13 cases out of 18 (72.2%) with normal, in 14 case out of 19 (73.7%) with overweight, in 63 case out of 75 (84%) with obesity, in 5 case out of 6 (83.3%) with extremely obesity, besides, the osteoporosis usually marks the highest in a BMI with obesity. In conclusi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BMI, we found out that the osteoporosis of the middle-aged women was high risk with obesity, and that was mostly higher the osteopenia rather than osteopor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