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시대 미술영재성의 발달 과정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김홍도와 강세황을 중심으로

        강병직(Byoung-Jik Kang)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조선 후기 풍속화의 대가로 평가되는 김홍도의 미술 성장 과정과 스승이었던 강세황의 교육적 역할을 탐구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 결과, 김홍도의 미술적 성장 과정은 유년기의 미술영재성의 단계, 청소년기의 미술전문성의 단계, 청년기의 미술탁월성의 단계, 장년기의 미술창의성의 단계로 발달되어 간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발달 과정에서 강세황은 유년기 시절 김홍도의 미술영재성을 발견하고 미술을 체계적으로 지도한 교수자이자 김홍도의 새로운 화풍과 독창적 가치를 지지한 비평가, 미술적 전문성이 발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준 후원자, 그리고 시서화를 겸비한 삼절 화가의 귀감으로서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술영재에게 있어 교사의 역할이란 교수학습적 측면뿐만 아니라 예술적 동료이자 지지자, 비평가이자 후원자로서의 다면적 측면을 포함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of Kim Hong-do (student) and Kang Se-hwang (teacher) was to explore the teacher’s role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concerning art giftedness. The study confirmed that Kim Hong-do"s artistic process had developed throughout the stages of artistic giftedness, expertise, excellence, and finally to creativity. During this process, Kang Se-hwang discovered and guided Kim Hong-do"s gift, Kang was a critic who supported the value and originality of a new style of painting, a supporter who provided a platform to show his artistic skills, and a role model of Samjeol painter. Despite the past situ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acher and a gifted art student is more than just a simple teaching-learning relationship. It shows that assuming the role of a teacher also means being an artistic colleague, supporter, critic and role model.

      • KCI등재후보

        미술 창의성은 영역 특수적인가, 영역 일반적인가?

        강병직(Byoung-Jik Ka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과 교육 Vol.13 No.1

        그동안 미술과의 중요한 교육목표로 설정되어 왔던 창의성은 영역 일반적 관점에서 지지되어 왔으나 최근 영역 특수성 관점에서의 논의 전개는 미술에서의 창의성은 미술 영역 내에서만 통용되며 미술을 벗어난 다른 영역에서는 통용되지 못한다는 논리로 이어진다. 이에 본고는 창의성의 영역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점검하고, 각 논리들이 지닌 개념적, 방법론적 특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론적 검토를 통해 문화심리학적 창의성 개념과 구조모형방정식의 측정변수 및 잠재변수 개념이 미술 창의성의 영역성 문제에 대한 개념적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 창의성은 영역 특수성인 동시에 보편성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는 점을 이론적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Up till now, creativity has been supported as one of key objectives in art education. However recently, discourse between creativity of domain-specificity and creativity of domain-generality has been spread in the relevant field. At some point it seems that theory of domain-specificity in creativity is dominat, and it is connected to the logic that artistic creativity works only within the art domain.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studies how the concept of specificity-generality of creativity has been developed, what the characteristics the concept has. Firstly, for defining the 'domain' it self. Domain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by each party. Second, those theory is related development of age, but they don't pay attention to the issue. When age is young, it looks domain-general, but as getting old it looks domain-specific.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methodology each party adopts favorable research method, so they don't stand opposite side in critical perspective. For esample, researchers who stand in favor of domain-generality adopt correlation analysis, t-test, f-test, and self-report questionnair, but researchers who stand in favore of domain-specificity tend to adopt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CAT) of product. Considering those traits of each theory, the study suggest interaction model of observed variables and latent variables. Artistic creativity has two-fold characteristics, one is to art-specific creativity, other is to art-beyond creativity. This compromised aspect of artistic creativity has observing variables which can be observed by experiment, and also latent variables which can't be seen. Therefore artistic creativity has been defined by perspective of multitrait-multimethods.

      • KCI등재후보

        감각 통합 치료에서 미술 활동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

        강병직(Kang Byoung-Ji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2

        본 연구는 아동들에게서 자주 발견되는 학교 미술활동에 대한 부적응 및 수동적 태도가 아동의 기질적 혹은 정서적 측면이 아닌 시지각의 어려움에 기인한다는 점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입증하고자 한 질적 연구에 해당된다. 특히 본 연구는 시지각 발달과 미술표현 능력과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선행 연구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미술 교육적 측면에서 이러한 시지각 발달을 검사해내는 도구로서 DTVPⅡ가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논점은 미술교육이 인지적, 정서적 및 신체 발달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고전적인 믿음에 따르는 것이지만, 미술표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을 토대로 이루어진 본 사례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활동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적극적인 태도로 변화되고 미술표현의 결과물에 있어서도 의미 있는 발전이 나타나게 된 것은 내담자의 향상된 시지각 능력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이다. 2회에 걸쳐 실시된 DTVPⅡ 검사는 내담자의 시지각 능력과 미술활동에 대한 긍정적 변화에 신뢰할 만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이러한 점에서 시지각 발달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에 대한 미술교육활동은 반드시 그의 시지각 발달 정도를 고려하여 구성되어야 하며, 만일 아동의 시지각 발달 정도가 고려되지 못할 경우 그 아동은 미술활동에서 좌절하거나 수동적 참여를 보여 주고 말 것이다. 셋째, 그러므로 이러한 시지각 발달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근거하여 체계적인 미술교육을 구성하기 위한 자료로서 DTVPⅡ 검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일반적인 아동의 발달 단계 중에서도 특히 초등 1·2 학년의 과정은 감각통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라는 점에서 저학년에 대한 학교 미술교육은 이러한 감각 통합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ason and the meaning of art activity which was shown to a child during sensory integrative therapy session. Through the study, the main reason of child's passive or involuntary attitude against art activity was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visual perception and motor ability rather than his characteristic or emotional aspect. In order to figure out the detailed difficulty of visual perception, DTVPⅡ was tested. And it showed graphically what was the strong point and what was the weak point in the field of visual perception of the child. The study suggests, therefore, that art program toward the children who have this kind of difficulty should be constructed in terms of treatment. In this sense, DTVPⅡ can be conducted. When considering the general children's developments stage not only treatment, first and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s important with the respect of sensory integration. As Steiner(Rudolf, 1861~1925) and Ayres(Jean, 1920~1988) asserted, till the 7 year-old age the main catalysis is sensory pursuit. The positive change which was shown to the child was profoundly correlated to this developmental stage. It means that in school age, first and second grade is greatly different from other school ages. Therefore art program in school for first and second grad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spect of sensory integration to give positive effect general children.

      • KCI등재

        미술학습 능력 검사 도구로서 DTVP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강병직(Kang Byoung-Ji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6 美術敎育論叢 Vol.20 No.1

          만4세~9세에 해당되는 아동들은 다른 어느 연령에서보다 극적인 성장을 이루는 시기로서, 이 시기의 미술교육은 아동의 발달과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맺고 있다.1) 그러나 아동들의 각기 다른 인지적, 정서적, 감각 통합적, 조형적 발달 수준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쉽지 않고, 이를 측정할 체계적이고도 현실적인 도구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아동의 발달에 기여하는 미술교육을 위해서는 이러한 아동의 개인차와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우선이며, 이를 위한 검사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시도된 것이다. 검사 개발에 기본적 이론과 틀은 감각통합이론(Sensory Integration Theory)과 임상 치료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시지각 발달 검사도구인 DTVP(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를 기본 모델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DTVP는 아동의 시지각에 관한 발달 정도뿐만 아니라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신체운동적 측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는 아동에게 성공적인 미술교육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TVP 검사의 항목들 가운데 본 연구에서 미술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 것으로서는 "눈-손 협응", "전경-배경의 지각", "따라 그리기" 항목들이다. 첫째, "눈-손 협응" 항목에서 나타난 지수는 신체 운동적 측면에서 아동의 상태 및 아동의 그림 표현에 있어서 형태 완결성과 선의 일관성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경-배경의 지각" 항목은 산만하거나 주의집중이 부족한 아동의 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 항목의 결과에 근거한 미술환경을 제공했을 때 보다 효율적이고 즐거운 수업이 진행될 수 있었다. 셋째, "따라 그리기" 항목에서는 도형을 지각하는 아동의 발달 정도를 추측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도형이 구성되어 있는 부분과 전체의 관계, 입체 인식에 관한 개인적 특성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DTVP 검사의 항목들은 미술학습 능력 검사도구 개발에 유의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이와 관련된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urth through ninth years are a critical period of development and art education should play a positive role on child"s development. We, however, don"t have a tool which identifies their readiness for art education and their personal traits.   This research is a challenging trial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that DTVP(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 1993) might be adopted to art education for children, especially to know the level of their readiness. Through the research, I could confirm that DTVP test gives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al stages of visual perception, cognitive, emotional and motor-coordination as well as child"s strength and weakness as follows;   "Eye-hand coordination" can be interpreted as being related to form closure and line consistency. These two elements are crucial for completion level of art work. "Figure-ground" can be interpreted as information for child who has a lack of attention, or who has tendency of hyper activity. Low quotient of this item means that they might be vulnerable to visual stimulations and its quantity. In this case, visual stimulations such as materials, tools and methods should be carefully restricted. "Copy" is about child"s cognition of geometry and exact recognition of object"s trait. As far as art education is concerned, "copy" can be interpreted as whether child perceives the relationship of the whole-part, and three dimensionality. Therefore, I could discover the feasibility of adopting DTVP to art education for children, it deserves to push the research further.

      • KCI등재

        K-DTVP2 검사를 활용한 미술표현 능력과 시지각 발달과의 상관성 연구

        김정희(Kim Jeung-Hee),강병직(Kang Byoung-Ji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1

          본 연구는 아동기의 미술표현 능력의 수준과 시지각 발달과의 상관성을 밝히고, 미술표현 능력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미술표현 능력 검사는 검사 대상자들의 드로잉 작품을 자료로, 시지각 능력 검사는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K-DTVP2)를 활용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 for Window로 분석되었다. 미술표현 능력 검사의 우수 집단과 보통 집단 간에는 시지각 발달 검사의 모든 항목들에서 평균값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형태항상성, 시각운동속도, 시각통합의 3개 시지각 항목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판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연령 변수와 두 집단 간의 미술표현 능력에는 상관이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현상학적 관점에서 논의 되어온 미술표현 능력과 시지각 발달과의 상관성을 실증적인 자료분석을 통해 밝히고 있으며 미술표현 능력 검사 도구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bility of art expression and visual perception; (2) collect and analyze data based on visual perception for developing an identification tool to be used in visual art.<BR>  In order to measure the ability of art expression, an evaluating system for student"s drawing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With this system, each drawing work was evaluated according to two stages; first, appreciating holistically art work without being given any information about, for example, age and gender, nor consultation among researchers, three experts of art education ranked and categorized works into 3 groups, - high, middle and low level. In second stage, those works are mingled back together and evaluated by same researchers with Likert scales relating to line, form and composition, without knowing previous scrore. In case of obtaining data for visual perception, Korean Development Test of Visual Perception 2(originally developed by Hammil, Pearson, & Voress in 1993) was used.<BR>  We found that there was Mean Difference in all 8 visual perceptual items of K-DTVP2 between high scored and low scored groups in drawing. Especially 3 visual perceptual items-Form constancy, Visualmotor speed and Visual closure, were major components which identify two groups with the significant level p≤0.05. As far as age variable was concerned, however, there was no any meaningful correlation with art expression. With this research, we concluded that visual perception is correlated with art expression and the more visual perception level advanced, the higher score children get in drawing. And also age itself does not guarantee the quality of art work.

      • KCI등재

        DTVPII를 활용한 미술영재성 검사에 대한 연구

        김정희(Jeung-hee Kim),강병직(Byoung-jik Ka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1

          현재 미술영재의 선발은 ‘잠재성’ 보다는 ‘성취도’를 중심으로 한 비형식적 검사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미술영재성 검사의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형식적 검사의 일환으로 DTVPII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미술영재 추천 집단과 일반 집단을 대상으로 DTVPII를 실시하고, 두 집단 간의 검사지수를 각 항목 별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미술영재성 검사로서 DTVPII 항목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두 집단에 대한 드로잉 테스트를 실시한 뒤, 그 지수를 DTVPII의 결과 지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DTVPII를 미술영재성 검사 도구로서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개인검사의 한계를 넘어 집단 검사로서 실시되기 위한 개선방안과 검사 대상의 연령을 초등 3학년 이상의 중등 학생으로 확대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for: researching whether or not the difference between artistcally gifted individuals and normal individuals ages 4 though 8 is; finding how different in visual perception ability: suggesting the ways to apply DTVPII as identification tool for gifted in visual arts.<BR>  Till now,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of gifted in visual arts has been an issue though, few formative tools have been used, or standardized test tended to have been recognized as unfit, even useless. Relying on those non-tests, especially practice test, means that one may lay emphasis on "achievement" rather than "potentiality", and it tends to cause unreliablity on th result of selection.<BR>  With this in mind, we tried to explore the way to identify the potentiality in visual art, and to make use of DTVPII as an identifying test for gifted in art. Especially, we suggested the way to convert DTVPII as individual test form into group test form. and to expand the age span beyond 10, which original DTVPII regulates under 10 years old. Lastly, we suggested how to modulate the items of DTVPII in order to use as a test for gifted in art.

      • KCI등재

        한국 유·초·중등 미술표현 발달 측정을 위한 검사지 및 검사지 분석 도구 개발

        김정희(Kim Jeung-Hee),전성수(Jeon Seong-Soo),황연주(Hoang Youn-Ju․Kim),김영길(Kim Yeong-Gil),김정선(Kim Jung-Sun),강병직(Kang Byoung-ji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2

        본 논문에서는 국내 유·초·중등 학생들의 미술표현발달 과정에 활용된 검사지와 검사지 분석 도구가 제시 되었다. 지금까지 미술표현발달연구들의 문제점이었던 주관적 분석방법을 극복하고 한국형 미술표현 발달과정을 제시하기 위한 자료 수집과 분석에서 활용 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함으로서 보다 객관성과 신뢰도가 높은 한국 유·초·중등 미술표현발달과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도록 했다. 특히 검사도구 개발과 더불어 검사 도구의 활용 방법과 검사 결과에 대한 해석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개인적 미술표현발달 정도를 파악 하는데 활용 되도록 했다. 예비검사와 본 검사 과정을 통해 개발된 검사지와 검사지 분석 도구는 미술표현발달에 대한 연구가 보다 과학적으로 진행되는데 기여 할 것이며 한국 학생들의 표현 능력 발달 정도를 측정하는데, 학생 개인의 미술표현발달 정도 측정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make out objective criteria for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rtistic expression in Korean students. In the process, researchers felt the need objective methodology reliable. Because with the subjective methodology, which has been used in the discipline of art education so far, the result has been faced the lack of reliability. Therefore researchers made up mind to develop the objective test, and we made Development Test of Artistic Expression(DTAT). DTAT has been executed from the age of 4 through 15, nationwide, except Jeju Province. Its total population was 6,036 and rater reliability is .835, and the Cronbach alpha is .816. It means the test is reliable. As a result, researchers put out the criteria to rate the items and norm table, which can give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istic and grade with regard to one’s points. When looking back upon the past, when there has been no ways or methods to give out objective perspective in regard to artistic development. DTAT has posibility to be used for assessing one’s developmental stage in the discipline of art education and other related discipline, such as special education, etc.

      • KCI등재

        한국 유·초·중등 미술표현발달 표준개발을 위한 연구 결과 분석

        김정희(Kim, Jeung Hee),전성수(Jeon, Seong Soo),김영길(Kim, Young Gil),황연주(Hoang, Youn Ju),김정선(Kim, Jung Sun),강병직(Kang, Byoung Ji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3

        본 논문은 미술교육을 위한 핵심 기초 자료 마련을 위하여 실시된 한국 유?초?중등 미술 표현발달 표준개발을 위한 연구 중 결과에 대한 분석 부분이다. 연구 개발된 미술표현발달 검사 도구를 적용하여 전국 각 지역의 3세부터 14세 까지의 아동 6,036명에 대하여 실시한 검사 결과를 연령에 따른 항목별 분석과 학교 급별 발달 특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 발달연구와 비교하여 오늘날의 아동들의 표현 발달이 다소 발라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미술교육은 자유, 창의, 개성을 중시하는 미술만의 독특한 교과적 특성에 기인하여 체계적인 교육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본 미술표현발달 연구는 미술교육의 기초 자료로서 앞으로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 연령별, 학교급별 교육내용의 계열성과 연속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수업의 구체적인 실천 장면에서도 학습자의 표현발달을 지원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thesis is of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a research for setting a standard of development of expression in fine arts at early childhood,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es which was conduct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fine arts education 6,036 children nationwide from 3 to 14 of age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broken down by age group, by item and by level of education. Fro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understood that development of expression of today's children is somewhat faster than that of children in the past Existing method of fine art education has excessively focused on freedom, creativeness and originality, which resulted in insufficiency of systematic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can be useful, as foundational data for fine art education, in securing interrelationship and continuity between curriculums of difference age group and level of education and also in supporting learners' development of expression in actual classroom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