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 가교(架橋)의 재발견: 67 16-19세기 천주교 선교사의 조선 진출 전략에 대한 기초연구

        피에르엠마뉘엘후 ( Pierre Emmanuel Roux ) 연민학회 2011 연민학지 Vol.16 No.-

        1784년 조선 천주교회의 창립은 독특하고 예외적인 것이라 말한다. 1830년대까지 서양 선교사들의 전교 없이 태어나고 성장한 교회였기 때문이다. 한국 학계에서는 대체적으로 북경으로 간 조선사신을 통해 漢譯西學書 (즉 서양의 종교·과학서를 漢文으로 변역하거나 직접 저술한 서적들)이 어떻게 조선에 도입되었고, 그리고 조선 지식인들이 한역서학서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또한 조선 지식인들이 어떻게 서학과 천주교를 수용했는지를 주목해왔다. 반면 소수의 서양학자들은 당시의 서양 선교사의 시각으로 조선 천주교의 탄생과 초기 성장을 주목해왔다. 그러나 1989년 스페인 예수회사 루이즈 데 메디나(Ruiz-de-Medina) 신부의 『한국천주교 전래의 기원』이란 저서가 출판되자, 필자는 단지 1592년과 1784년의 기원설에 관한 논쟁을 넘어 또 다른 부분의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양 선교사들은 16세기부터 무슨 까닭으로 한반도에 포교하고자 했는지, 이 부분에 대해 질문을 제기해야 한다.천주교의 조선 도입은 16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동아시아에서 일어난 국제적 정세의 상황 변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도단체와 선교사들은 동아시아의복음화를 확장하기 위해 수시로 새로운 계획을 세웠다. 한반도와 관련된 계획들은 일반적으로 전도단체 본부가 아니라 선교사들에 의해 개인적으로 세워진 것이었다.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일본에 파견된 서양 선교사들은 한반도를 통해 중국 북부로 가는 길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반대로 17세기 중반부터는 중국에 파견된 예수회 선교사들이 천주교가 심하게 박해 받던 일본으로 가는 길을 중국과 조선을 통해 열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 모든 시도들은 최종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실패하고 말았다. 이 사례는 모두 청나라 정부의 도움을 받아 ``조선 가교``를 이용하여 동북아시아에 천주교 네트워크를 구축하려고 하였던 예수회 선교사들의 경우이다. 반면 비밀리에 파견되었던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들은 1830년대 중국과 조선 그리고 류큐제도 사이에 그들 자신의 동북아 네트워크를 세울 수 있었다는 점에서 조금은 더 운이 좋았다. 그들은 19세기 중반에 결국 일본에 이르렀는데, 이는 선교사들의 기량 덕분이 아닌, 1853-1854의 페리(Perry) 제독의 일본개항에 의해서였다. 한편, 선교사들의 마음 속에 조선의 이미지는 종국에 "누락된 가교"에서 "최종목표"로 변해갔다. 이곳에서 독실한 유럽 가톨릭 신자들은 순교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들을 낳았고, 동시에 "리얼한" 선교 경험들을 체험할 수 있었다. 순교 문학의 형태로 프랑스에서 출판된 조선에서의 경험들은 19세기 프랑스 대중의 영성에 대한 표현이기도 하면서 자극제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300년 동안 한반도를 중국과 일본 사이의 가톨릭 가교로 만들려고 하면서 직면하였던 어려움들은, 중국과 일본이 서양 세력에 문을 연 바로 그 시점에, 결국 조선을 "은둔의 나라"라는 전형적 이미지로 고착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16세기부터 19세기 사이에 선교사의 밀입국 시도들은 무슨 까닭으로 어렵게 여겨졌으며 실패하였을까? 입국과 선교의 성공 여부는 선교사의 진출 전략보다 현지 신자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 중국의 경우 천주교는 1724년부터 19세기중엽의 아편전쟁까지 금지되었으나 서양 선교사들은 그 동안 계속해서 현지 안내자의 도움으로 밀입국에 성공하였다. 반면에 17세기 중엽부터 일본에 밀입국 시도하였던 선교사들은 해변에 도착하자마자 곧바로 붙잡혔으며 포교하지도 못하였다. 왜냐하면 의지하고 믿을 수 있는 현지 신자가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조선의 경우도 18세기말까지 예수회사들은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조선 신자가 주변에 없어, 공식적으로 입국 시도를 하였어도 매번 실패를 했다. 그 후 1830년대부터 밀입국 시도가 성공한 근본적인 원인은 예전에 비해 의지하고 믿을 수 있는 독실한 현지 안내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는 학자들이 16-19세기 천주교 선교사의 조선 진출 전략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서양 선교사, 중국 교우와 조선 교우의 삼각관계를 탐구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앞으로도 계속 그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할 방침이다. Scholars have long emphasized the unique character of the early Korean Catholic Church by pointing out the fact that it was born and that it grew up without the help of foreign missionaries until the 1830s. The failure of the effort to plant the Christian faith in Korea has been mostly described in a pure chronological perspective, but some historians have also tried to explain the reasons of this failure, i.e. the impossibility to cross the Sino-Korean border as well as the lack of foreign priests available to establish a new mission on the Korean soil. These aforementioned statements are justified to a certain extent, but since they all investigate this issue out of a regional context, they actually fail to provide a complete view of the process of the Korean Church`s origin. It is indeed inaccurate to assert that missionaries just failed to plant the Christian faith in Korea. A detailed analysis of missionaries` correspondence in China and Japan reveals that many of them used to present Korea as a very promising harvest field for the propagation of the Christian faith. But why would these missionaries regard the mysterious Choson Korea as such a valuable place for Catholic missions, while European navigators used to consider this land as a landlocked country where every foreigner coming ashore was held prisoner or reduced to slavery? Here I argue that the potential "evangelical fruits" produced by Korea were not the final aim of missionaries but a pretext for those who were searching to establish an East Asian Catholic network between China and Japan, since the peninsula appeared as the natural bridge between the mainland and the archipelago. It was thus necessary to elaborate a specific strategy and a particular discourse on Choson Korea in order to attract new missionaries and rich donators. The content of this strategy and this discourse however did not remain unchanged since it progressively evolved according to the changing situation of Christianity in East Asia between the 16th and the 19th century. This is what I will analyze in three successive points. Firstly, I demonstrate that, between the mid-sixteenth century an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many Jesuit missionaries working in Japan started to look for a path to reach Beijing via the Korean peninsula. These missionaries were actually strongly convinced that their most urgent task in East Asia was to convert the Chinese emperor to Christianity. Taking the Roman Empire as a model, they hoped that the emperor would become a new Constantine and choose Catholicism as state-religion for China and all the tributary countries belonging to the Sinocentric order. Secondly, I show that the situation of Catholicism underwent a complete reversal during the 17th century. While missionaries tended to secure their position in China, the Tokugawa regime launched its eradication policy of Catholicism leading to countless stories of martyrdom. This promptly led Westerners to consider the unreachable Japan as a new Rome where missionaries could relive the experience of the primitive Christian Church. Since the Southern maritime road - through the China Sea - had proved to be unsuccessful, it soon became clear that the Northern terrestrial road through Korea was the only remaining option for a safe trip to Japan. In consequence, missionaries who had set Catholic missions in North China endlessly searched to encounter Korean envoys in Beijing and to request the Manchu emperors to send them on duty to Korea. Missionaries` correspondence makes it clear that the evangelization of the peninsula was not their final aim. On the basis of outdated and imprecise documents, they actually hoped to reach the Japan House(Waegwan) in Pusan and gain a hypothetic path to the archipelago. Lastly, I point out that the harsh Korean antichristian policy of the early 19th century had several consequences on missionary strategies and dreams. While Korea was usually considered as a necessary step toward Japan, the peninsula progressively tended to be represented as a potential substitute to Japan, thus replacing this final goal by an equivalent holy place for martyrs and clandestine priests. The accounts of the French priests from the Missions-Etrangeres de Paris(M.E.P.) provide a large range of examples of this dual vision. However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missionaries finally failed, at least partly, in their projects and the difficulties to establish the peninsula as a Catholic bridge between China and Japan eventuall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building the stereotyped image of Korea as a "hermit king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