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용량 조명연출을 위한 마스터-슬레이브 구조와 동기화 방안

        최성철(Choi, Seong-Cheol),이원호(Lee, Won-Ho),문병구(Moon, Byung-K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7

        현재의 실내 실외의 조명 산업은 반도체 LED를 이용한 R(빨강), G(초록), B(파랑)를 각각 제어 연출하여 대 형화, 시스템화 되어가고 있다. 조명 산업의 통신 제어 표준인 DMX512(ANSI E1.11) 프로토콜은 최대 512개의 조명 등 또는 24bit 트루 칼라로 표현할 경우 최대 170개의 조명등을 연출할 수 있다. 요즘 100개 이하의 조명등 연출은 소규모 연출로 분류되고 있어 본 논문은 1000개 이상의 대용량 조명 연출을 위하여 1대 마스터 컨트롤러에 최대 32 대의 슬레이브 컨트롤러를 연결할 수 있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슬레이브 컨트롤러들이 설계된 하 나의 연출을 달성하기 위한 동기화(synchronization) 방안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안은 마스터가 400 마다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고 슬레이브들은 이 신호를 수신하여 DMX512 출력의 기본이 되는 타이머를 초기화하여 동기화를 구 현하였다. 제안된 방안으로 설계 제작되어 상용화된 운영 사례를 소개한다. The indoor and outdoor lighting industry has become the bigger and more systemized using the semiconductor LED with each control R(Red), G(Green), B(Blue). The communication standard DMX512(ANSI E1.11) protocol of it can control and perform max. 512 lightings, especially 170 lightings in 24 bit true color. As the performance of below 100 lightings is distinguished small-size, this paper proposes a bigger capacity lighting performance above 1,000 using connection to 1 master to 32 slaves. Also, this paper proposes the synchronization method in order to accomplish a designed performance. In proposed method, the master sends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slaves every 400. Slaves receive this signal and use to initialize the timer becoming the basis of DMX512 output. The example of the developed products using proposed method and the operation is introduced.

      • KCI등재

        역사에서의 시간 : 코젤렉과 리쾨르의 시간담론을 중심으로

        최성철(CHOI, Seong-Cheol) 한국사학사학회 201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2

        역사에서의 시간은, 물리학 또는 철학에서 논의되는 시간 개념과 달리, 크게 (1) 자연적 시간과 (2) 역사적 시간으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다. 여기서 역사적 시간을 이해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크게 두 가지 논점이 눈에 띈다. 하나는 그것이 근대에 만들어진 개념, 즉 ‘근대적 시간’이 라는 것이고(코젤렉), 또 하나는 그것이 이야기를 담고 있는 시간, 즉 ‘서사 적 시간’이라는 것이다(리쾨르). 이 글은 역사적 시간을 바라보는 이 두 모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역사적 시간의 올바른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일의 역사가 라인하르트 코젤렉에 따르면, 1500년에서 1800년 사이, 사건으로 말하면 종교개혁에서 프랑스혁명까지의 시기 동안에 “역사가 시간화되었고, 그 끝에 우리의 현대를 특징짓는 독특한 종류의 가속화가 일어났다.” 근대에 수많은 역사적인 사건들을 경험하고서야 비로소 사람들은 역사에서 시간이 갖는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게 되면서 시간의식을 갖기 시작했고, 근대로 올수록 시간이 빨라졌다는 뜻이다. 굴곡진 역사적경험이 시간의식을 형성하도록 만든 원인자, 원동력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코젤렉에게 역사적 시간은 자연적 시간과 대립하면서 혁명과 같은 사건들의 경험을 통해 형성된 근대적 시간이자 수직적이고 통시적인 시간이었다. 한편 프랑스 철학자 폴 리쾨르에 따르면, ‘역사적 시간’은 객관적 시간과주관적 시간범주의 간극을 불완전하게나마 메워주는 매개적 시간이다. 여기서 ‘역사적 시간’이란 이야기로 꾸며진 시간, 즉 ‘서사적 시간’을 의미하고, 그렇기에 역사적 시간에는 이야기, 즉 서사가 핵심 구성요소를 이룬다. 삶을 살아가는 다양한 모습으로서 인간들의 이야기가 바로 시간이라는 좌표 안에 얽혀 들어감으로써 우주적 시간(객관적 시간)과 현상적 시간(주관적 시간)이라는 양 극단의 시간은 매개된다. 서사는 여기서 양 시간범주를 연결해주는 메신저이자 가교(架橋) 역할을 수행한다. 그래서 리쾨르는 “시간은 서술적 양태로 엮임으로써 인간의 시간이 되며, 이야기는 그것이 시 간적 실존의 조건이 될 때 그 충만한 의미에 이른다”고 주장한다. 시간과 서사는 씨줄과 날줄, 즉 형식과 내용으로 서로 엮이며 완전한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처럼 리쾨르에게 역사적 시간은 근본적으로 서사적 시간이자 수평적이고 공시적인 시간이었다. 역사적 시간은 분명 단수의 시간이 아니라, 매 시기마다, 그리고 사람마다 갖는 고유한 시간리듬에 바탕을 둔 복수의 시간이다. 역사적 시간은 인간의 삶과 경험 또는 서사로 구성되어 있기에 주관적 시간의 세계에 한 발을 담그고 있는 한편, 우주의 자연적 시간척도를 근거로 작업할 수밖에 없기에 객관적 시간 안에도 다른 한 발을 딛고 서 있다. 시간은 역사의 내용 을 먹고 사는 존재지만, 역사는 시간 없이 존재할 수 없다. Time in history, unlike in physics or philosophy, is divided generally in (1)natural time and (2) historical time. There are several way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time, but two of them arrest attention here to discuss deeply. One is that it is the concept created in the modern age, namely ‘modern time’(Koselleck), and another is that it was contained in the story, that is called ‘narrative time’(Ricoeur). This article aims to contribute to a prope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ime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two models. According to the German historian Reinhart Koselleck, between 1500-1800, during the period from the Reformation up to the French Revolution, “history was temporalized, it arose at the end an unique kind of acceleration that characterizes our modern times.” Only by experiencing a number of historical events in modern times, people began to recognize the meaning and value of time in history, to have time consciousness. The closer we come to the modern age, the faster the time goes by. Historical experience has become the main cause and the driving force to make the sense of time. Thus for Koselleck the historical time was a modern, vertical, and diachronic one formed through the experience of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revolution. Meanwhile, according to the French philosopher Paul Ricoeur, ‘historical time’ is mediating time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objective and the subjective time. The ‘historical time’ means here ‘narrative time’ filled up with stories. That is why the story, the narrative form must be a key component in historical time. The stories of human beings as various aspects of their lives take part both in cosmic time(objective time) and phenomenal time(subjective time), mediate then between the two times. The narrative plays a key role of messenger and cross-linking, which connects both of the time categories. Therefore, Ricoeur argues: “Time becomes a human time by being weaved in narrative form, the story reaches its fullness when it becomes a condition of temporal existence.” Time and narrative weave the fabric laced to each other in form and contents, make the complete structure. Thus for Ricoeur the historical time was essentially a narrative, horizontal, and synchronic one. Historical time is not a singular, but a plural one based on each person's unique feeling of time rhythm which could change in every time. Historical time is standing, on the one hand, on the area of subjective time which consists of people's lives and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on the realm of objective time in so far as historian should work with the natural time. The time is being to eat the contents of history, but history cannot exist without time.

      • KCI등재

        DMX512 프로토콜에서 자동주소를 갖는 지능형 조명 단말기 개발

        최성철(Choi, Seong-Cheol),이원호(Lee, Won-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4

        현재의 조명 산업은 반도체 LED를 이용한 R(빨강), G(초록), B(파랑)를 각각 제어 연출하여 대형화, 시스템 화 되어가고 있다. 조명 산업의 통신 제어 표준인 DMX512(ANSI E1.11)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조명 단말기를 구별 할 수 있는 주소가 필요하다. 기존의 방식은 이 주소를 조명 단말기에 어떠한 형태(Dip Switch, EEPROM에 저장, PROM에 저장)로든 부여하여 서로를 구별하고, 통신으로 전송되어온 자신의 색상 데이터를 통신 선로에서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통신 규약에 의하면 DMX512 통신 프로토콜의 전기적인 특성상 조명 단말기 32개 마다 스프리터 (splitter)가 필요하게 된다. 즉, 512채널이 전부 연결된다면 최대 16개의 스프리터가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은 DMX512 프로토콜에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든 단말기를 직렬로 연결하여 조명제어용 Auto-Addressing 갖는 지능형 조명 단말기를 개발하였다. 각 단말기에 주소 부여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였고, 스프리터의 사용 또한 필요없게 하였다. 또한 이 개발품을 반도체 LED 조명 단말기에 적용하여, ON-OFF제어, 디밍제어, 순차제어, 무지개 제어 등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상용화하였다. The lighting industry has become the bigger and more systemized using the semiconductor LED with each control R(Red), G(Green), B(Blue). The communication standard DMX512(ANSI E1.11) protocol of it basically needs the address which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lighting terminals. The conventional method has to give the address of the lighting any methods like dip switch, EEROM and PROM. Then the lighting terminal can receive RGB data from DMX512 communication. According to electrical characteristics DMX512 protocol has to the splitter every 32 lighting terminals. If 512 lightings is all connected, maximum 16 splitters are needed. This paper is solved above weakness in DMX512 protocol using serial connection all lighting terminals. Also I developed the intelligent lighting terminal with auto-addressing. This was solved the inconvenience of the address assignment and the usage of the splitter. The developed products is applied and selled the semiconductor lighting terminals using ON-OFF control, dimming control, sequential control and rainbow control.

      • KCI등재

        신문화사로서 홀로코스트 문학 : 빅토어 프랑클, 장 아메리, 루트 클뤼거의 회고록을 중심으로

        최성철(Choi, Seong-Cheol) 한국독일사학회 2021 독일연구 Vol.- No.46

        ‘홀로코스트 문학’은 홀로코스트라는 구체적인 현대적 사건을 소재와 주제로 삼는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요소와 성격을 많이 내포하는 문학 장르다. 즉 이 장르에서는 ‘문학’보다도 ‘역사’에 더 많은 방점이 찍힌다. 그러나 사정이 이러한데도 홀로코스트 문학은 그동안 사료로 또는 사서로 인정받지못하면서 제도권 역사학계 안에서 거의 주목받지도 못했고 연구되지도 못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 홀로코스트 문학작품, 특히 생존작가의 회고록이나 전기를, 역사학 연구를 위한 자료나 역사서로 읽을 여지가있는지 여부를 검토하고자 했다. 이 작업을 위해서 필자는 빅토어 프랑클의『죽음의 수용소에서』, 장 아메리의 『죄와 속죄의 저편』, 루트 클뤼거의『삶은 계속된다』 등 세 명의 홀로코스트 생존작가들의 회고록 세 편을엄선했다. 연구 결과, 이들 세 문학작품이 각각 ‘일상사’, ‘심성사’, ‘미시사’ 라는, 20세기 후반에 사회사에 대한 반발로 등장한 신문화사의 연구 조류와합치하거나 그 조류에 근접해 있는 작품들로 독해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분명 홀로코스트 문학작품을 신문화사적 역사서로 단정 짓는 것은 무리일지 모른다. 하지만 이들 작품은 최소한 홀로코스트 연구를 위한, 신문화사적 사료나 사서에 근접한 인문학 자료로 간주되어야 한다. ‘Holocaust Literature’ contains more historic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than any other literary genre because it uses a specific modern event called the Holocaust as its source and subject. In other words, in this genre, more emphasis is placed on ‘history’ than ‘literature’. However, despite these circumstances, Holocaust literature has not been recognized as a historical document or as a history book, and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and has been rarely studied in the historical academia. In view of these circumstances,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room for reading Holocaust literature, especially memoirs or biographies of surviving writers, as materials for historical research or as history books. For this work, I carefully selected three memoirs of Holocaust surviving writers: Victor Frankl’s Man’s Search for Meaning, Jean Améry’s Jenseits von Schuld und Sühne, and Ruth Klüger’s weiter leben. Eine Jugen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se three literary works can be read as works that are correspond to or close to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lltagsgeschichte), ‘the history of mentalities’ (histoire des mentalités), and ‘microhistory’ (microstoria), respectively: to ‘the new cultural history’ which appeared in the late 20th century as a reaction to ‘social history’. Obviously, it may be exaggerative to conclude that these Holocaust memoirs are works of the new cultural history. However, these works should be regarded, at least, as historical sources for the study of the Holocaust or as humanities works close to history books.

      • KCI등재

        드로이젠과 역사주의

        최성철(Seong-Cheol Choi) 한국사학사학회 2011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4

        드로이젠은 평생 (1) 18세기 계몽주의 역샤학, (2) 독일 관념철학, (3) 19세기 실증주의 역사학 등 ‘세 개의 사조(思潮)’와 맞서 싸우면서 자신의 학문 세계를 구축해나갔다. 첫 번째 전선으로부터는 ‘역사에 대한 낭만주의적 견해’가, 두 번째 전선으로부터는 ‘역사학 방법론(Historik)’이, 세 번째 전선으로부터는 ‘해석학적 이해이론’이 각각 도출됐다. 그는 이 세 개의 사상적ㆍ이론적 토대 위에서 그 자신의 고유한 역사주의 이념에 도달했다. 먼저 드로이젠은 역사관찰의 대상을 ‘인륜 세계’로 규정하고, 이 대상을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자연과학과 구별되는 ‘연구적 이해’라는 방법을 도입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인륜 세계 안의 모든 크고 작은 일들은 그것이 어떻게 생성되고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가 중시된다. 그것은 ‘개체’와 ‘발전’에 바탕을 둔 랑케적 역사주의가 아니라, ‘기원’이나 ‘과정’에 근거한 비코적 역사주의의 노선을 따른 것이다. 더 나아가 그는 역사연구의 단위가 되는 ‘개체’보다도 개체와 전체와의 종합적이고 변증법적인 관계를 더 중시했고, 그러다보니 자연히 ‘개체의 고유성’만이 아니라 ‘발전적 연속성’도 함께 강조했으며, 궁긍적으로 역사가의 자기소거를 통한 역사연구의 객관성과 보편성을 지향하기보다는 그것의 불가능성을 통찰하고 주관적 자기인식에 기초한 주지주의적 관점을 견지하면서 독일적 역사주의와 많이 다른 길을 걸어 나갔다. 급기야 드로이젠은 현대의 포스트모던적 역사관에서 표방하는 태도와 접점을 이루는 사상까지 보유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실제의 역사와 그에 대한 기록으로서의 역사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존재한다는 주장, 인식에 이르는 방법이 인식 대상의 수만큼이나 다양할 수 있다는 생각, 역사가 단지 역사를 관찰하는 사람들의 마음속의 이미지와 생각에 불과할지 모른다는 통찰 등은 19세기가 아닌 20세기적 사유에 속한다. 바로 이런 점들은 드로이젠의 역사적 견해가 시대를 초월해서 통용될 수 있는 보편적 역사주의로 이해되도록 만든다. 소독일주의적, 민족주의적 색깔에도 불구하고, 독일적 역사주의 노선보다는 비코적 또는 현대석 역사주의 노선을 더 많이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드로이젠의 역사주의는 오늘날 우리에게 커다란 의미와 가치를 던져준다. 비코에게서 연원하는 원초적 의미의 역사주의를 19세기에 와서 여타의 독일 역사주의자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새롭게 리모델링하면서 한 차원 격상된 역사주의 이념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나는 이것을 ‘드로이젠적 역사주의‘라고 부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true nature of Droysen’s historicism from various angles and to find its significance that could still have influence on the present academic world. At first, Droysen had, in historical view and research, many common features with Vice: he defined “moral world (sittliche Welt)” as the object of historical study and introduced the method of “understanding by inquiring (forschend zu verstehen)” which is entirely different from that of natural science. It was for the method important to see any matter of moral world always in terms of its birth, course, change, etc. This was not the Rankean historicism in which the concepts such as “individuality“ and “development” played a core role, but the Vicoan historicism based on the notions such as “origin” and “process.” Futhermore, Droysen attached more importance to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whole than to the individual in itself as unit of historical study. In result, he emphasized not only the uniqueness of an individual but also its developmental continuity and saw into the impossibility of an objective historical observation and research instead of having an illusion that historian could come to the pure objectivity of historical view by self-elimination. In this respect also, he went a different way from Ranke. At last, Droysen expressed the thoughts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trend of post-modernism of our own days. His ideas that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real history and the written history, that there are as many ways to cognition as objects of cognition, and that history might be nothing but an image or an idea of the past times, belong no longer to the nineteenth but the twentieth century. All these aspects make Droysen’s historical thoughts an ‘universal historicism’ which could offer us suggestions as to look out over history as a whole. I name it “Droysenean Historicism.

      • KCI등재

        역사와 서사

        최성철(CHOI Seong Cheol) 한국사학사학회 2017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5

        It is often said that history is narrative. This paper is designed to get answers to questions: what kind of narrative is history, what functions and features does it have? In conclusion, history is not a fictional narrative, but a factual narrative, and in fact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ositive narrative’ which is based on thorough or independent evidences. ‘History as a positive narrative’ is basically, in many respects, differentiated from other kinds of narrative, especially from a fictional and from a scientific one. First, we explore the ‘goal.’ Historical narrative aims at the fact, although it may later be revealed to be false, but fictional narratives are based on fiction, though they can be revealed later to be true. So whereas a fictional narrative is a fictional story that pretends to be a truth, a historical one is a ‘narrative seeking the truth’, or “non-fiction novel” (P. Veyne). Science, on the other hand, aims at perfect, realistic, truthful investigations and explanations of the real world. In this case historical narrative is much closer to the science than to the literature. Next is the ‘target.’ The object of history is not a fictional figure as in fiction. It deals specifically with people, events, and items that existed. If we deal with an object that is not empirical, it should be called fiction, not history. On the other hand, history is closer to science than to literature, since science takes concrete, empirical, and positive beings of the real world, not imaginary or fictional worlds. However, if one goes to ‘method’, things will change. As we know, there is no definite scientific method in history. The critics of historical material (Quellenkritik), also known as the representative research method, are also used differently by historians. Moreover, the ‘narrative’ style of historical writing no longer allows history to remain comfortable in the realm of science. No matter how objective and empirical it tries to convey the narrative without any literary inspiration, history can not but be closer to literature than to science, unless historians completely give up narrative. As a result, it is undesirable to misunderstand that history as positive narrative is just a science because it has the positivity. So it is once again confirmed that history locates itself at the boundary between literature [art] and science. But I am boldly moving away from existing scholarly opinion that history has been defined as both literary and scientific, and will present a new predicate: history is neither academic nor literary, but a third independent field with all the qualities of these two domains . 흔히 역사는 서사라고들 말한다. 본 논문은 만일 역사가 서사라면, 도대체 어떤 종류의 서사이고, 그 기능은 무엇이며, 어떠한 특징을 갖는가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기획되었다. 결론부터 말하면, 역사는 서사이되, 픽션서사가 아니라 사실서사의 영역에 속하고, 사실서사 중에서도 나름 증거자료(사료)에 입각해 기술되는 이른바 ‘실증서사(positive narrative)’라고 할 수 있다. ‘실증서사로서 역사’는 다음과 같이 많은 부분에서 다른 종류의 서사들, 무엇보다 픽션서사 그리고 과학서사와 차별화되어 있다. 먼저 ‘목표’를 보면, 역사서사는 나중에 그것이 거짓으로 드러날망정 사실을 목표로 삼지만, 픽션서사는 나중에 그것이 진실로 드러날지 언정 픽션을 근거로 한다. 그래서 픽션서사가 ‘진실을 가장한 허구적이야기’라면, 역사서사는 ‘진실을 추구하는 서사’, 즉 ‘허구가 아닌 소설’(P. Veyne)이다. 한편 과학은 연구 대상의 완벽한 사실적, 진실적해명 또는 설명을 목표로 두기에, 적어도 목표만 보면 역사서사는 과학에 매우 가까이 기울어 있다. 다음으로 ‘대상’을 보면, 역사의 서술 대상은 픽션에서처럼 가상의 인물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실존했던 인물, 사건, 항목들을 취급한다. 만일 실증성을 띠지 않는 대상을 다룬다면 그것은 이미 역사가 아니고 픽션으로 불려야 할 것이다. 한편 과학도 역시 상상이나 가상의 세계가 아니라 현실 세계의 구체적이고 경험적이며 실증적인 존재자를 대상으로 삼기에, 이 점에서도 역사는 문학이 아니라 과학 쪽에 더 가까이 다가가 있다. 그러나 ‘방법’으로 가면 사정이 달라진다. 주지하다시피 역사에는 딱히 확정된 과학적 방법이 없다. 그나마 대표적인 연구방법으로 알려진 사료비판 또한 역사가들마다 제각각 다르게 활용된다. 더구나 연구결과를 풀어낼 때 사용하는 ‘서사’라는 서술방식은 더 이상 역사를 과학의 영역에 편안히 머물도록 놔두질 않는다. 아무리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내용만을 문학적 감흥 없이 무미건조하게 전달한다 하더라도, 역사가 서사를 완전히 포기할 수 없는 한, 역사는 과학보다는 문학에 더 가까이 서 있을 수밖에 없다. 결국 실증서사로서 역사가 나름 실증성을 갖는다고 해서 곧바로 과학으로 오인받아서는 곤란하다. 이로써 역사는 문학과 학문 사이, 예술과 과학 사이의 경계지점에 존재한다는 점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그러나 나는 역사가 이제 문학이면서 동시에 학문이라고 정의되어 왔던 기존의 학문론적 관행을 과감히 탈피해, ‘문학도 학문도 아니면서 이 두 영역의 특질들을 모두 갖는 제3의 독립적인 영역이다’라는 새로운 술어로 재정의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비코와 부르크하르트

        최성철(Choi, Seong-cheol) 한국사학사학회 2005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11

        Vico and Burckhardt are known as the persons who criticized bitterly the dominant discourse system of their days, developed their own unique thoughts, and transcended, for being verified as great thinkers posthumously, their own times. Based on this statement,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both thinkers. At first, Vico and Burckhardt were both criticizers of the present. The former delivered an attack against the Cartesian thought system and the natural science, the latter against the Hegelian philosophy of history and the Rankean historicism. And then they made their own concepts and methods for the completion of their own studies. For example, in case of Vico, ‘eternal ideal history’ (storia ideale eterna), ‘natural law of all nations’, ‘rational political theology [civil theology]’, typifization or patternization, imagination and fantasy, comparison and analogy etc. In case of Burckhardt, ‘transection’ (Querdurchschnitt), ‘repetition’, ‘type’, ‘continuity’, ‘potence’, ‘crisis’, ‘the historical’ (das Geschichtliche), typifization or categorization, contemplation (Anschauung), dialectical approach etc. Grounded on these concepts and methods, Vico and Burckhardt completed consequently their own science named as ‘historical anthropology’ which could be formed only by a sharp insight into the relation of history and human beings. A probable difference between them, if any, is that the former emphasized the historical changeability of human nature and the latter tried to find unchangeable and typical human natures in history. At any rate, Vico definitely contributed to the rise of ‘historicism’ in the next century and Burckhardt had an indirect influence upon the rise and growth of the ‘new cultural history’ of our times. In conclusion, Vico and Burckhardt both belong to the thinkers who exemplify the fact that in the arena of science or ideology a change from one paradigm to another is accomplished not always in a revolutionary mode on a high level of ‘dominant discourse’, but in a continuous way on a middle level of ‘multiple thoughts’.

      • KCI등재

        폴 발레리(Paul Valéry)와 ‘통합적’ 유럽

        최성철(Seong-Cheol Choi) 통합유럽연구회 2010 통합유럽연구 Vol.-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construct Paul Valéry s thought about the identity and integration of ‘Europe’ in inquiring its appearance background, contents, and problems. It came out of the catastrophic circumstances such as World War I, political division and independence of small and medium-sized nations in Europe, and fascist (totalitarian) movements in the 1920 and 1930 etc. In a word, it resulted from the total crisis of european civilization.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se difficulties, Valéry proposed and demanded the integration of Europe by virtue of an european identity made out of the conception of ‘Europe’, ‘European People’, and ‘European Spirit’ which he has in his own words defined. His plan focused on the cultural integration of europe, where nations and states were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divided more and more. But his discourse on european integration remained only in a vague idealism in setting political considerations aside. Furthermore he laid excessive emphasis on the european spirit and the superiority of european people, which opens always the possibility to go the wrong way named ‘Europeanism’ or ‘European Nationalism.’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