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순천중앙교회의 태동과 발전

        차종순 ( Cha Chong-soon )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18 인문학술 Vol.1 No.1

        이 논문은 1900년부터 1920년대 중반까지 순천중앙교회의 교회가 시작되고 발전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서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술의 중심은 교회의 역대 교역자의 활동과 교회의 사회적 영향력에 둔다. 내용은 큰 줄기보다는 세세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고증을 하는 데 역점을 둔다. 순천지방은 군산, 전주, 목포, 광주와 함께 호남의 5대 기독교 거점 지역이다. 순천읍교회로 시작한 순천중앙교회는 순천지방 기독교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 순천지방은 다른 곳과 달리 자생적 신앙공동체가 발전하면서 기독교가 시작되었고, 교회를 통해 성장한 기독교계 인사들의 사회적 영향력이 매우 강했으며, 그만큼 선교사의 영향력이 매우 강한 특징이 있었다. 순천중앙교회를 연 사람은 조상학 조사이다. 1898년 11월 목포선교부에 가서 Dr. Owen에게 신앙을 얻은 그는 Owen의 조사로 목포, 송정리, 광주, 보성, 여천, 광양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1907년 4월 순천지방 교인들과 함께 금곡동 향교 뒤 샘 부근 양사재를 빌려서 예배를 드린다. 순천에서는 첫교회였다. 그러다 1908년 양사재를 일본군에게 빼앗기고 순천 영동에 초가를 매입하여 유내춘 장로의 인도 아래 예배를 시작하였다. 유내춘 장로는 순천중앙교회의 제1대 담임 교역자이다. 이 과정에서 1913년 프레스톤 선교사의 주도 아래 순천선교부가 개설되었다. 목포선교부와 광주선교부를 부흥시킨 프레스톤 선교사는 1909년부터 유내춘 장로의 도움을 받아 순천선교부 개설을 시작하였다. 결국 순천 북문밖 매산 등을 매입하고 교회, 학교, 병원이 함께 하는 선교기지로 출범하였다. 이때 젊은 선교사들 다수가 정력적으로 활동하였다. 1910년 3월에 매곡동에 20평 규모의 교회가 마련되면서 순천읍교회는 부흥되기 시작하였다. 교인들이 늘어나고 학교도 운영하였다. 김영진 장로 등 장로도 새로 세웠다. 이후 순천읍교회는 2대 방효원, 3대 정태인, 4대 이기풍 등 담임교역자들의 영도 아래 크게 발전하였다. 2대 방효원 목사는 아마 부임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조상학 조사로 인해 신앙을 받아들인 3대 정태인 목사는 1918년 7월 전라노회에서 순천읍교회의 담임교역자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이기풍 목사는 1920년 2월부터 1924년 2월까지 재직하였다. 그는 이 기간동안 전남노회장과 총회장을 역임하였다. 그가 있는 동안 교인이 크게 늘어나 교회를 신축하였고 장로를 새로 세우는 등 순천읍교회는 명실공히 순천지방의 중심 교회로 성장하였다. 1907년부터 시작된 순천읍교회는 초기에 목포선교부 출신 인물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1913년 순천선교부가 서게 되자 선교부의 “지역교회(Local Church)”로 기능하였다. 초기 개종자들의 자발적 자생적 신앙공동체로 출발하였다가 선교부 개설 후 복음선교와 함께 교육, 의료 선교가 함께하면서 지역의 순천지방 지도층 인사들의 구심점 기능도 하게 되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까지도 밝혀진 부분이 너무도 적다. 이후 이런 부분들은 구체적인 자료들을 모아 해결해 나가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the development of Suncheon Jungang Church(SJC) from 1900 to 1920s. The activities of SJC and its societal influence will be the focus of the argument, with emphasis on verifying historical details. Suncheon is one of Honam’s five main Christian footholds, along with Gunsan, Jeonju, Mokpo, and Gwangju. Unlike other areas, Christianity in Suncheon developed around an autonomous religious community, Christian figures had substantial societal influence, and missionaries were empowered with notable leverages. SJC was founded by Cho Sang-hak. In November of 1898, he received faith through Dr. Owen of Mokpo Missionary Branch(MB), and worked in Mokpo, Gwangju, Yeocheon, etc. Then, in April of 1907, Cho performed a worship in borrowed Yangsajae located behind Geumgokdong Hyanggyo, marking the first church in Suncheon. However, Yangsajae was taken away by the Japanese militia, and Cho thus continued his service in a thatched cottage near Yeongdong with Elder Yoo Nae-choon, the first minister to be in charge of SJC. In this process, the Suncheon MB was founded by Missionary Preston in 1913. Preston began the Suncheon MB with Elder Yoo. Preston consequently bought Maesan, establishing a missionary base consisting of a church, a school, and a hospital. In this period many young missionaries were active. In March of 1910, the revival of SJC began with the foundation of church in Maegok-dong. Afterwards, SJC flourished under guidance of many ministers such as Bang Hyo-won, Jung Tae-in, Lee Gi-pung. Minister Bang is speculated not to have been officially appointed as the minister-in-charge. Minister Jung, who received faith through Cho, was appointed as the minister in charge for SJC by Jeolla Elder Committee in July of 1918. Minister Lee Gi-pung was in charge during February of 1920 to February of 1924. He was also the head of Jeon-nam Elder Commitee during this period. Under his guidance, SJC became the pivotal church in Suncheon, with growing believers, newly-built church, and new additional Elders. In the initial stages of SJC, beginning in 1907, it was led by personnels from Mokpo MB, and in 1913 it operated as the Local Church for Suncheon MB. Founded initially by early converts as a autonomous religious community, SJC operated as a pivotal point for leading personnels of Suncheon after the founding of MB, incorporating education and hospital services along with the missionionary work. Unfortunately, majority of details remains yet to be discovered, which must be resolved through gathering detailed data.

      • 순천지방 최초 목사 임직자 : 정태인 목사의 삶과 목회

        차종순 ( Cha Chong-soon )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19 인문학술 Vol.3 No.-

        정태인 목사는 1873년에 태어나 1947년까지 한국 역사의 전환기를 살았던 인물이다. 전통적인 유학자의 집안에서 태어나 기독교를 받아들인 후 전라남도 보성군과 고흥군이라는 외진 시골지역에서 서구 선진 학문을 보급하고, 애국적인 국가관을 확립시킨 선구적인 지도자였다. 정태인 목사는 1905년 이후 오웬과 변요한의 조사로 활동하였으며, 1913년까지 크레인 선교사의 조사로 활동하다가 순천노회의 파송을 받아 무만리교회의 목사로 임직하였다. 무만리교회의 목사로 있는 동안 교세를 안정시키는데 주력하였다. 3ㆍ1운동기간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으나 1923년에는 안정된 교세를 바탕으로 상해임시정부에 군자금을 제공하였다. 이후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순천노회를 떠나 고흥읍교회, 구례읍교회, 제주도의 삼양리, 모슬포, 고산교회를 거쳐 다시 모교회인 무만리 교회로 1937년 다시 순천노회로 복귀하였다. 복귀이후 신사참배 문제에 대한 저항의 의미로 노회에 참석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정태인 목사는 그의 삶을 통해 한국교회가 나아갈 길을 미리 살아갔다. 이런 모습이 때로는 당시대에 오히려 거부를 당하기도 하였다. From 1873 and until his death in 1947, pastor Jung Tae-in lived during the most critical time in Korean history. Born into a traditional Confucian family but later accepting the Christian faith, Jung Tae-in disseminated western teachings and promoted patriotic views of Korea in the rural areas of Bosung and Goheung in southern Jeolla province. After 1905, Jung Tae-in served as an assistant researcher under Owen and Johanne Byun and for Missionary Crane until 1913. He then was appointed as a pastor to Moomanri Church, dispatched by the Sunchun Presbytery. During his tenure, he worked earnestly to stabilize the church. His role was limited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After stabilizing the church he contributed to campaign funds for the liberation movement in 1923. After serving at various churches: Goheung Church, Gooraeup Church, Samyanri, Moseulpo and osan churches in Jeju Island he returned to his home church Moomanri in 1937. There he declined to participate in the presbytery as an act of opposing Shrine Worship. Jung Tae-in lived an exemplary life that should be patterned by future Korean Christians. However, his lifestyle attracted opposition from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